[시가론] 헌화가 작품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2.17 / 2019.12.24
  • 1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사 검토
2.1 견우노옹(牽牛老翁)
2.2 수로부인(水路夫人)
2.3 암소(牽牛)
2.4 주선(晝饍)
3. 작품의 원전 및 특성 검토
4. 역사 문헌적 검토(배경설화 분석)
5. 텍스트 확정
5.1 원문
5.2.1 1행 - ‘紫布岩乎邊希’
5.2.2 2행 - ‘執音乎手母牛放敎遺’
5.2.3 3행 - ‘吾盻不喩慚盻伊賜等’
5.2.4 4행 - ‘花盻折叱可獻乎理音如’
5.2.3 우리가 본 《獻花歌》
6. 작품분석
7. 결론

#별첨 《삼국유사》수로부인조

본문내용
●수로부인조 원전
水路夫人
聖德王代 純貞公赴 江陵太守(今溟洲) 行次海汀晝饍 傍有石嶂 如屛臨海 高千丈 上有躑躅花盛開 公之夫人水路見之 謂左右曰 折花獻者其誰從者曰 非人跡所到 皆辭不能 傍有老翁牽牸牛而過者 聞夫人言 절기화 역작가사헌지 기옹부지하허인야 便行二日程 又有臨海亭 晝饍次海龍忽攬夫人入海 公顚倒躃地 計無所出 又有一老人 告曰 故人有言 衆口鑠金 今海中傍生 何不畏衆口乎 宜進界內民 作歌唱之 以杖打岸 ■可見夫人矣 公從之 龍奉夫人出海獻之 公問夫人海中事 四七寶宮殿 所饍甘滑香潔 非人間煙火 且 夫人衣襲異香 非世所聞 水路姿容絶代 每經過深山大澤 屢被神物掠攬 衆人唱海歌 詞曰 구호구호출수로 략인부녀죄하극 여약패역불출헌 입망포략번지끽 노인헌화가왈 紫布岩乎 辶寸 希執音乎手母牛放敎遣 吾肹不喩慚肹伊賜等 花肹折叱可獻乎理音如

( 󰡔三國遺事󰡕 권 2 <紀異> )



4. 역사 문헌적 검토 - 배경설화 분석

<헌화가>는 《三國遺事》수로부인 설화 뒷부분에 기록되어져 있으며, <해가> 뒤에 수록 되어져 있다. 이러한 사실을 두고 일부 연구자들은 일연이 <헌화가>를 <해가>보다 가볍게 생각하고 다룬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윤영옥 , 신라시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2, P175
그러할 것이 헌화가 설화와 해가 설화가 기록되고 바로 <해가>의 가사가 전해지고 <헌화가>의 가사가 전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록 가사의 선후를 가지고 찬자의 관심 정도와 작품의 가치여부를 판단하는 일은 위험하다고 생각 된다. 가사를 해당 설화의 말미에 기록한 것은 <헌화가>뿐 아니라 <혜성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 <도천수관음가> 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로부인 설화 말미에 두 가사를 몰아서 기록한 점 역시 이상할 것이 없으며, 그에 대한 의미부여 또한 무의미하겠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 해 두고 <헌화가>와 <해가>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자.
<헌화가>와 관련한 수로부인의 설화는 다음과 같다.

‘성덕왕 때 순정공이 강릉(지금의 명주)태수로 부임하는 도중 바닷가에서 주선을 하였다. 그런 데, 그 옆에 바위 봉우리가 병풍처럼 바다에 임해 있었는데, 높이가 천 길이나 되고 그 위에 철쭉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공의 부인인 수로가 보고서 좌우의 사람에게 말하기를
“누가 저 꽃을 꺾어다 주겠느냐?”라고 했더니 따르는 이들이
“그곳은 인적이 이르지 못하는 곳입니다.”라고 하고, 모두들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그 옆에 어떤 노옹이 암소를 끌고 지나가다가 부인의 말을 듣고 꽃을 꺾고
또한 노래를 지어 바치었는데, 그 노옹이 어떤 사람인지는 알 수 없었다.’

‘다시 이틀 길을 갔는데, 또 바닷가에 정자가 있어서 점심을 먹던 차에 바다용이 갑자기 부인 을 납치해 바다 속으로 들어갔다. 순정공은 비틀거리며 땅에 주저앉았으나 뾰족한 수가 없었 다. 또한 노인이 말하기를,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도솔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도천수관음가-통일신라시대 향가
  • 힘은 불교의 관음사상의 기반 위에서 더욱 영역을 확장시키고 탄탄한 믿음으로써 인식될 수 있었던 게 아닐까 한다. 참고문헌박노준 :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신재홍 : 향가의 해석, 집문당, 2002이종춘 : 서동요의 새로운 이해, 한국언어문학 제22집, 한국언어문학회윤영옥 :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1998정경섭 :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2003정병욱 :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0황패강윤원식 : 한국고대가요, 새문사

  • 삼구육명(三句六名)의 풀이
  • 시가론, 새문사, 2002) 김문기, 『삼구육명의 의미』, 『어문학』46호, 한국어문학회, 1985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8성호경, 『삼구육명에 대한 고찰』, 『국어국문학』86호, 1981황패강, 『사뇌가 양식의 고찰』, 『국문학논집』제9집, 檀國大, 1978김사엽, 『향가의 문학적 연구』, 계명대학교출판부, 1979양희철, 『고려향가연구』, 새문사, 1988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권』, 지식산업사, 2005권동수, 『삼구육명의 의미에 대한 연구

  • [고전시가] 헌화가(獻花歌) 작품분석
  • : 소는 당시 귀중한 재산이므로, 소를 가진 노인을 재산가, 세도가 등으로 봄.8. 작품의 전체적 감상1) 표면적 해석 : 남성화자인 한 노인이 미모의 여인 수로에게 반하여 꽃을 꺾어 바치며 부른 소박한 구애의 노래2) 신화적 해석 : 통상적 남녀관계로 해석하지 않음 (노인과 부인의 연령과 신분의 차이에서 비롯) 목차1. 원문과 음독2. 해독3. 현대역4. 배경 설화5. 작품 정리6. 4구체 향가가 가지는 민요적 특성7. 의미 & 상징성8. 작품의 전체적 감상

  • 남북한의향가 레포트
  • 작품은 동해의 용왕과 관련된 전설과 악한 것을 내쫓는 민속적인 노래를 바탕으로 하여 창작된 노래라고 볼 수 있다.→문제점북한의 또 다른 책에서는 처용이란 인물을 분석하며처용이가 벼슬을 한 전후 행동과 그의 몸 차림으로 보아 그는 결코 농민이나 수공업자나 노예층의 출신은 아니었다. 그렇다고 해서 정치적 개혁을 단념하고 벼슬과 미인 안해를 거절하고 인민 대중 속에 숨어 풍의적인 노래와 춤을 추고 다닌 그의 생활이 또한 상층 지배계

  • 현대인에 의해 재탄생한 황조가 - 비평과 상상사이
  • 시가론>>, 신구문화사, 1982, p.52이 기록을 통해 가 유리왕의 기록에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여러 국문학자들은 배경설화와 관련지어 혹은 관련짓지 않고 다양한 작품 분석을 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1. 역사적 맥락에서 읽기대부분의 글이 작품분석에 있어 ‘역사성’을 중시하고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크게 서정시와 서사시, 집단창작과 개인(유리왕)창작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애초에 한시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