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려속요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5.26 / 2019.12.24
  • 9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5,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고려가요의 개념 2

2. 전승 2

3. 특징 2

4. 속요의 형식적 특성 3

5. 속요의 내용적 특성 3

6. 속요의 양면성 4

7. 민요적 맥락에서 바라본 고려속요 5

8. 작품강독 6
1) 사모곡 6
2) 상저가 8
3) 동동 10
4) 쌍화점 15
5) 만전춘별사 18
6) 서경별곡 21
7) 가시리 28
8) 정석가 35
9) 이상곡 44
10) 정과정 47
11) 유구곡 53
12) 처용가 54
13) 청산별곡 58
14) 도이장가 65
15) 한역속가 66
16) 한역속요 84
17) 한역참요 90
9. 마무리 97
※참고문헌※ 98
본문내용
1. 고려가요의 개념
고려시대에 창작된 시가(詩歌)로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줄여서 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한림별곡(翰林別曲)》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등의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 《청산별곡(靑山別曲)》 《서경별곡(西京別曲)》 《만전춘(滿殿春)》 《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반면, 경기체가와 속요는 형태상 분명한 공통점이 있다 하여, 고려시대의 시가를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가요나 장가라는 명칭보다는 󰡐별곡󰡑이라는 명칭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있다. 즉, 신라 사람들이 자기네의 노래를 향가(鄕歌)라고 일컬은 것과 마찬가지로, 고려 사람들 중국계(中國系)의 악부(樂府)니 악장(樂章)이니 하는 정악(正樂) 또는 아악(雅樂)에 대하여 자기네의 노래, 즉 속악(俗樂) 또는 향악(鄕樂)의 노래 이름을󰡐별곡󰡑 이라는 말을 붙여졌기 때문이다.

2. 전 승
1) 전 승
고려속요는 개인에 의해 편찬된 가요집이 현재 전하는 것이 없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음악을 정리하면서 예전의 악보나 가사집을 참고하여 고려사악보를 만들었고, 향찰로 적혀 있었을 노 랫말을 훈민정음으로 옮겨 놓음으로써 오늘날의『악장가사』,『시용학악보』,『악학궤범』에 실린 고려가요를 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고려속요의 노랫말이 조선에 들어와 악장으로 불리는 것은 고려에서 널리 불린 것 가운데 조선조 문인 학자의 안목을 거쳐 선발되었으므로 일단 문 학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신동욱, 「高麗時代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여증동, 「韓國文學史」, 螢雪出版社, 1974.
윤영옥, 「韓國의 古詩歌」, 문창사, 1995.
이경희, 「高麗詩歌의 情緖」, 開文社, 1986.
장사훈, 「國樂大事典, 世光音樂出版社, 1984.
전규태,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982.
정병욱,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1996.
최미정,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9.
최용수, 「고려가요 연구, 최용수」, 계명문화사, 1993.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한국문학편찬위원회, 「韓國文學槪說」, 螢雪出版社, 2004.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pian***
    (2018.11.04 21:47:18)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가사 부전 속요에 대한 일고찰
  • 〓 목 차 〓1. 속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2. 가사 부전 속요에 대한 일고찰1) 서 론2) 가사 부전 고려 속요의 세계(1)고려조 당대 군왕을 찬양한 노래-金剛城, 楊州, 長湍, 定山(2)고려 조 당대 특정 인물과 관련 된 노래-冬栢木, 月精花, 長生浦, 叢石亭(3) 고려 왕업의 지명과 관련 된 노래-大洞江, 西京, 松山, 禮成江 (4) 불교와 관련 된 노래- 無㝵(5) 기타- 元興, 安東紫靑3) 결론※ 그 밖의 가사 부전 작품◉ 고려 속요 ◉1. 속요

  • 고전시가론 - 경기잡가, 12 유산가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소춘향가
  • 고려 때에 유행하던 속요 도 한 달에 한 절을 준 그 이다. 정월에서부터 12월까지 한 달에 한 장씩 주어 풍속과 생활을 읊은 그 도 그렇고, 청상과부의 1년을 두고 애끓는 수심을 엮은 도 그렇다. 형식과 이름이 오래일 뿐 아니라 서울의 도 어지간히 오래된 소리인 것은 가사에서도 음조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 성경린,- 서울의 속가 인용▣ 달거리의 시김새 ▣ 요점 정리•연 대: 미상•작 자:

  • 고전시가론 레포트 - 향가의 이론적 정리,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
  • 고전시가론 레포트- 차 례-1. 향가의 이론적 정리 2.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3.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4. 모죽지랑가, 원왕생가, 원가, 제망매가 5. 혜성가, 도천수대비가, 안민가, 찬기파랑가 향가의 이론적 정리 1. 향가의 명칭과 개념향가는 신라 사람들이 즐겨 창작하고 불렀던 노래 유산을 하나의 장르로 묶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현재까지 남아 전하는 작품은 모두 26수로서, 『삼국유사』에 14수가 전하고 『균여전』에 보

  • 고전시가론3공통) 가사의 발생 과정 가사의 변모 과정을 전기임진왜란 이전와 후기임진왜란 이후로 구체적인 작품을 거론하면서 정리하시오0k
  • 검토와, 개개 작품들의 문예학적 연구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참고자료-『고전시가론』 교재워크북 및 방송 강의-『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고전문학한문학연구회 편,고려대학교,집문당,1995)-「가사개념의 재고와 장르고」(이태극,『국어국문학』 27,1964)-가사문학론 (이능우, 일지사, 1977)-국문학전사 (이병기백철, 신구문화사, 1957)-조선신문학사조사 (백철, 수선사, 1947)-한국가사문학연구 (정재호 편저, 태학사, 1996)

  • 고려속요 작품 조사
  • 가론』, 새문사, 1984. -김쾌덕, 『고려속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2006.-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박태상신연우이강엽, 『국문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3. -이가원外, 『原譯 향가/여요』, 서음출판사, 1985. -이성주, 『증보 고려시대의 가요』, 민속원, 1998.-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최미리, 「高麗俗謠의 愛情 表出 樣相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최미정, 「고려 속요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