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 경기잡가, 12 유산가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소춘향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4.24 / 2015.04.24
  • 3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고전시가론
Ⅱ. 경기잡가
지역 및 지방적인 가락소리에 따라 경기잡가서도잡가남도잡가로 구분하는데 경기잡가는 서울·경기도 지역에서 불리는 잡가를 말한다. 경기잡가는 12잡가와 휘모리잡가로 나뉜다. 12잡가는 다른 속요(俗謠)보다 사설이 길다는 뜻에서 긴잡가라고도 부르는데, 입창(立唱)은 춤이 따르지만 잡가는 그렇지 않아 좌창(坐唱)에 들며 대체로 느린 도들이장단 또는 세마치장단에 경기도 토속가락으로 되어 있다. 조선 말기에 공예인상인기녀 들이 즐겨 불렀고, 사계축(四契軸: 지금의 서울역에서 만리동 고개 및 청파동에 이르는 지역에 살던 남자 소리꾼들)에 의해 널리 보급되었다고 한다.
《국악대전집》에서는 경기잡가의 범위를 <서울의 속가>라는 항목 밑에 <긴잡가>와 <휘모리잡가>라는 부속항을 설정하고, 긴잡가에 19곡, 휘모리잡가에 10곡을 수록하고 있다. 즉 12잡가는 긴잡가에 포함된 곡들로 소개되어, 경기잡가가 12잡가에 한정되어 있지 않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12잡가는 원래 유산가적벽가제비가소춘향가선유가집장가형장가평양가 등 8곡인 팔잡가뿐이던 것을, 정가(正歌)인 12가사에 준하기 위하여, 나중에 달거리십장가출인가방물가 등 소위 잡잡가 4곡을 더해 12곡으로 만든 것이다.
휘모리잡가는 주로 삼패와 소리꾼 사이에서 널리 불린 소리로서, 예전에 소리꾼들이 한곳에 모이면 긴잡가를 부르고 다음 선소리 즉 입창을 부르고 제일 마지막으로 이 휘모리잡가를 불렀다 한다.
1. 12잡가
잡가의 한 갈래로 서울·경기도 지방에서 불리던 12가지 노래. 사설이 길다는 뜻에서 긴잡가라고도 하며, 앉아 부르기 때문에 좌창(坐唱)이라고도 한다. 〈유산가 遊山歌〉·〈적벽가 赤壁歌〉·〈제비가〉·〈소춘향가 小春香歌〉·〈집장가 執杖歌〉·〈형장가 刑杖歌〉·〈평양가 平壤歌〉·〈선유가 船遊歌〉·〈달거리〉·〈십장가 十杖歌〉·〈방물가 房物歌〉·〈출인가 出引歌〉이다. 〈유산가〉에서 〈선유가〉까지를 8잡가(八雜歌)라 하고, 〈달거리〉 뒤의 4가지 잡가를 잡잡가(雜雜歌)라고도 한다. 조선 말기에 발생한 것으로 서울의 청파동 일대인 사계(四契) 축 소리꾼들 사이에서 많이 불렸다. 1900년대의 추교신(秋敎信)·조기준(曺基俊)·박춘경(朴春景) 등이 명창으로 알려져 있다. 음악적 특성은 〈달거리〉와 〈집장가〉를 제외한 대부분 노래의 한 장단이 6/4박자이다. 〈달거리〉·〈출인가〉 등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은 폭넓은 요성(搖聲)이 중간음에 오는 등 서도(西道)의 창법과 선법이 쓰이고 있다. 십이잡가는 〈유산가〉처럼 가사(歌辭)에서 온 것도 있으며, 〈소춘향가〉처럼 판소리에서 온 것도 있다. 따라서 문학적 성격을 하나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1) 유산가(游山歌)
화란춘성(花爛春城)하고 만화방창(萬化方暢)이라.
때 좋다 벗님네야 산천(山川) 경개(景槪)를 구경을 가세.
죽장망혜 단표자(竹杖芒鞋單瓢子)로 천리강산 들어를 가니,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요점
  • 고전시가=고전시 현대시≠ 현대시가, 한시≠한시가1.2. 고전시가의 영역과 장르체계 (p.5~)①장르-상대시가, 향가, 속요, 경기체가, 악장, 시조, 가사, 잡가 8종②영역- 우리말 , 즉 국문시가에 한정③고전시가의 역사적 전개과정; 6,7c 통일신라~고려전기; 향가->고려후기; 속요, 경기체가->조선초기 (15c);악장, 경기체가->16c; 고려 말엽부터 이어져온 시조, 가사(가사는 사대부 지식인 중심)->19c 기 층민 중심의 잡가(시조, 가사와 병존)는 개화기 지나서도

  • [소리와 문화] 민요의 개관 및 경기민요 조사
  • 잡가라 한다. 경기긴잡가의 특징은 경기 특유의 율조로서 대개 서경적 혹은 서정적인 긴사설로 비교적 조용하고 은근하며 서민들의 애환을 담은 서정적인 표현이 많다. 조선시대 서울 장안의 소시민들의 모임장소인 ‘공청’ 또는 ‘깊은사랑’을 통해 12잡가가 발생하였으므로 공청소리문화의 특색을 잘 담고 있는 귀한 문화재이다.12잡가에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소춘향가, 선유가, 집장가, 형장가, 평양가,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 달거리가 있

  • 잡가 장르론 연구
  • 경기잡가는 맑고 깨끗한 느낌을 그 특징으로 하고, 다시 12잡가ㆍ휘몰이잡가ㆍ산타령으로 구분된다. 12잡가는 12가사의 영향을 받아 명칭도 12를 따랐고 곡조도 닮은 곳이 많은데, 긴 잡가라고도 하며, 앉아 부른다 하여 좌창(坐唱)이라고도 한다. 12잡가는 남자층의 경우 서울 청파동 일대 사계축의 소리꾼에 의하여, 여자층의 경우는 더벅머리 삼패(三牌)에 의해 전창(傳唱)되었다. 이러한 십이잡가의

  • 잡가 연구 레포트
  • 12잡가는 남자층의 경우는 서울 청파동 일대 사계축의 소리꾼에 의하여, 여자층의 경우는 더벅머리 삼패에 의해 전창(傳唱)되었다.12잡가 중에서 , , , , , , ,등은 8잡가라 하고 , , ,등은 잡잡가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창법은 아악과는 거리가 멀고 서도 소리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몇 곡조만이 경기 민요의 스타일을 갖고 있다. 12가사에 비해 경쾌

  • 십이잡가 연구 - 특징과 의의
  • 잡가’‘坐唱’이라고도 불리는 십이잡가는 경기도에서 생기고 전승되었다. 원래 「유산가」「적벽가」「제비가鷰子歌」「소춘향가」「선유가」「집장가」「형장가」「평양가」 八雜歌였는데, 正歌인 십이가사에 준하기 위하여 나중에 雜雜歌인 「달거리月令歌」「십장가」「방물가」「출인가」 네 곡을 더해 열두 곡으로 만들었다. 김문기, 『韓國古典詩歌原典』, 태학사, 2001, 496쪽본고에서는 잡가의 형성 배경을 통해 십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