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 찬기파랑가(향가), 통일신라시대 모죽지랑가(향가)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4.16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통일신라시대 처용가(향가)
1. 처용가의 원문
2. 처용가의 작품이해

Ⅱ. 통일신라시대 도솔가(향가)
1. 도솔가의 원문
2. 도솔가의 작품해독

Ⅲ. 통일신라시대 제망매가(향가)
1. 제망매가의 원문
2. 제망매가의 표현상 특징
3. 제망매가에 나타난 주술성
4. 추모의 정을 담은 향가와의 비교
5. 한용운의 <님의 침묵>과의 비교시 유사점
6. 짜임

Ⅳ. 통일신라시대 찬기파랑가(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1) 찬기파랑가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찬기파랑가의 배경 설화

Ⅴ. 통일신라시대 모죽지랑가(향가)
1. 모죽지랑가의 원문과 해독
2. 모죽지랑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통일신라시대 처용가(향가)

1. 처용가의 원문

處容歌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
二兮隱吾下於叱古
二兮隱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何如爲理古

2. 처용가의 작품이해

굿노래이면서 연극의 대사이기도 한 작품이다. 처용이 굿을 했고, 헌강왕도 왕이 차차웅이던 시기의 기능을 재현하고자 했다.(박노준, "신라가요의 연구", 열화당, 1982)
원래 처용가의 배경설화에 따르면 역신이 처용의 얼굴이 그려진 곳이라도 가까이 하지 않겠다는 말을 하게 된다. 우리나라 무속의 `부적`의 기원일 것이다. 귀신도 무서워 멀리 떨어져나갈 정도라면 당연히 무서운 표정이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전해지는 `처용무` 중 처용탈은 원래 무서운 표정을 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고려 처용가` 중 `有德하신 처용아바`의 구절대로 후대에는 유덕한 모습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규 - 향가문학연구, 경인문화사, 2003
김학성 - 처용설화의 형성과 변이과정, 민속학회, 1977
박노준 - 옛사람 옛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양희철 -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임기중 외 - 새로읽는 향가문학, 아세아 문화사, 1998
홍기문 - 향가해석, 과학원, 1956
홍기삼 - 향가 설화문학, 민음사, 1997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개론] 신라가요 속의 화랑의 다양한 면모 고찰 -애정관계 중심으로
  • 향가의 作品群 중에서도 신라시대, 우리 민족의 고귀한 정신과 민족 통일의 귀감이 되었으며, 하나의 전통으로 숭앙되어 왔던 ‘花郞’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화랑은 우리나라 고대사의 精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진취적이고 雄渾한 기상과 함께 민족의 기상을 대변하고 응집된 민족력을 과시한 표본임이 분명하다. 일연의 『삼국유사』에서 ‘화랑’을 소재로 한 작품에는 「찬기파랑가」와 「모죽지랑가」가 있다. 이들

  • [향가][신라][통일신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헌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모죽지랑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분석
  • 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헌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모죽지랑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분석Ⅰ. 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1. 제망매가의 원문과 해독2. 제망매가의 전문 풀이3. 제망매가의 작자 - 월명사4. 제망매가의 작품해제1) 작자2) 연대3) 형태4) 성격5) 표현6) 사상적 배경7) 제재8) 주제9) 의의5. 제망매가의 시

  • 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
  • 향가-현존하는 향가의 의미와 성격 분석-Ⅰ. 머리글향가는 삼국시대에 발생하여 통일신라시대 때 성행하다가 고려 초기에 이르러 소멸한 한국 고유의 정형시가로서 향찰 및 이두, 곧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서 표기된 노래이다. 향가란 사뇌가, 도솔가, 또는 자국의 노래인 신라시대 고유의 노래를 뜻하는 말이다. ‘其意甚高’란 그 뜻이 높은 것을 뜻하며 경덕왕이 충담사의 향가 에 대하여 나타낸 말이다.‘詞淸句麗’는 가사가 맑고

  • [국어] 모죽지랑가, 도솔가, 찬기파랑가
  • 모죽지랑가와 도솔가, 찬기파랑가는 鄕歌 작품이 작품성이 뛰어난 작품으로서 각각 지은연대가 비슷하며, 지은이는 주로 승려와 화랑으로 구성되어 있다.작품내용과 주제에 있어서는 그리움과 주술적인 내용, 그리고 인간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향가는 신라시대에서부터 고려시대에 까지 25수의 작품이 전해지고 있으며, 향가는 문학사적이나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찰하기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우리말이 아닌 이두

  •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 나갔으며, 처용가의 경우에는 부족이 도솔가의 경우에는 바다의 중요성을 느끼면서 海神이 중요하게 느겼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1. 『鄕歌文學論과 作品硏究』, 나경수, 집문당, 19942. 『삼국유사 신역』, 이가원, 태학사, 19913. 『신라 향가의 어휘 연구』, 서재극, 계명대학교 출판부, 19754. 『향가 해독법 연구』, 김완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5. 『문학으로 본 처용가「대동문화연구」(별집1)』,정병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1972.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