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신라][통일신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헌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모죽지랑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3.19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
1. 제망매가의 원문과 해독
2. 제망매가의 전문 풀이
3. 제망매가의 작자 - 월명사
4. 제망매가의 작품해제
1) 작자
2) 연대
3) 형태
4) 성격
5) 표현
6) 사상적 배경
7) 제재
8) 주제
9) 의의
5. 제망매가의 시어와 시구 풀이
6. 제망매가의 요점
7. 제망매가의 이해

Ⅲ.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처용가
1.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2. 처용가의 작품해석

Ⅳ.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헌화가
1. 헌화가의 원문
2. 헌화가의 작품이해

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모죽지랑가
1. 모죽지랑가의 원문
2. 모죽지랑가의 배경 설화

Ⅵ.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과 해독
2. 원왕생가의 작품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신라 유리왕 5 년에 지었다. 작자와 가사가 전해지지 않았다.
(儒理王) 五年....是年 民俗歡康 始製도率歌 此歌樂之始也
(유리왕) 5년. 이 해에 민속이 환강하여 비로소 도솔가를 지으니, 이것이 가악의 시초가 되었다. 그러나 나라를 편안하게 하자는 의도에서 부른 `두릿노래`(편안하게 하는 노래)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다. 이는 후에 월명사가 지은 노래도 도솔가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지기 때문에 이는 한 편의 작품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경향 또는 갈래를 지칭한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짧으나마 漢字로 기록되어 있는 迎神歌(고대가요 `도솔가`)와도 달라서 노래도 전하여 있지 못한 이 두솔가는 참으로 막연하기 짝이 없지만 어쨌든 이 노래도 집단적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춤도 추고 노래도 부르면서 나라가 잘 다스려지는 것을 즐거워하며 노래한 민요적 성격을 띠운 문학이었으리라는 것은 틀림없을 것이다.(구자균, 한국평민문학사, 민족문화사,1982)
참고적으로 `도솔`은 범어(梵語) `tusita`에서 온 말로 지족(知足), 묘족(妙足), 희족(喜足), 희락(喜樂) 등으로 의역하는데, 이는 미륵보살이 사는 하늘이라는 뜻이다. `도솔천`이라는 명칭이 유사에서도 `미륵보살의 정토`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도솔가`의 `도솔`이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고는 확언할 수 없다.

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
1. 제망매가의 원문과 해독
제망매가(祭亡妹歌)

生 死 路 隱 생사로(生死路)
此 矣 有 阿 米 次 肹 伊 遣 예 이샤매 저히고
吾 隱 去 內 如 辭 叱 都 나 가다 말ㅅ도
毛 如 云 遣 去 內 尼 叱 古 몯 다 닏고 가닛고.
⇒ 죽음에 대한 허망함(두려움)과 망매(亡妹)에 대한 혈육의 정[기(起)]
於 內 秋 察 早 隱 風 未 어느  이른 매
此 矣 彼 矣 浮 良 落 尸 葉 如 이에 뎌에 러딜 닙,
一 等 隱 枝 良 出 古  가지라 나고
去 奴 隱 處 毛 冬 乎 丁 가논 곧 모론져
⇒ 삶의 무상함(인생의 허무에 대한 불교적 무상감[서(敍)]
阿 也 彌 陀 刹 良 逢 乎 吾 아야 미타찰(彌陀刹)아 맛보올 나
道 修 良 待 是 古 如 도(道) 닷가 기드리고다.
⇒ 불교에의 귀의심[결(結)]
참고문헌
김승찬(1986), 향가문학론, 서울 새문사
박노준(1989), 신라가요의 연구, 열화당
임기중(1992), 향가해독과 문학적 평가, 동국대출판부
윤영옥(1995),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이임수(2003), 월명의 삶과 예술, 경주문화축제위원회
정렬모, 향가연구, 한국문화사
최철(1993),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출판부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 처용가는 처용이 지은 향가로 신라 헌강왕 5년 897년에 지어진 8구체 형식의 향가이다.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처용이 외출한 사이에 역신이 그 아내를 빼앗은 것을 보고 이 노래를불렀더니 역신이 처용에게 잘못을 빌었다는 내용이다. 당시 시대적 배경과 내용을 서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신라 제49대 헌강왕. 신라 제 49대 왕.처용무가 크게 유행하였으며 사치와 환락에 흘러 신라의 쇠퇴기에 들었음때의 일이다.이 때는 이미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문학
  • 시대에도 사대부들에 의해 계속 창작되었다. 구체적 사물을 나열하면서 감흥을 찾는 경기체가는 서정시가 아니고 교술시이다. 시조는 서정시였던 향가를 대신해 신흥 사대부가 창안한 새로운 전형적 서정시이다. 고려 말기에 주로 충적 탄로등을 노래하며 등장한 이 시조는 ,정읍사>나 에서 그 원형적 모습을 찾을 수 있다. 3장 6구 45자 내외의 짧은 형식의 4음보 정형시로서 세련된 한시에 맞서 사대부의 미의식에 맞는 형식미와 표현미를

  • [고전문학사] - 찬기파랑가 -해독과 풀이에 대한 연구
  • 향가는 큰 의의를 갖는다. 우리 선조들이 이를 통해 말하고자 했던 문학적 감각과 시대상에 대한 생각, 당시 사람들의 사고와 관념, 종교적 의식 등 향가를 통해 역사의 단면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는 다른 향가들에 비해 그 배경 설화와 관련 문헌, 이야기가 부족한데, 이러한 이 시가의 특징이 신라시대 고전문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더 많은 가능성을 부여할 것이라 생각된다. 비록 현대에 와서 이 시가에 대한 분분한

  • [향가][향가 형식][향가 개념][향가 성격][향가 역사][향가 명칭][향가 문법][향가 내용]향가의 형식, 향가의 개념, 향가의 성격, 향가의 역사, 향가의 명칭, 향가의 문법, 향가의 내용 분석(향가, 향가 형식)
  • 향가의 개념〈도솔가 兜率歌〉나 〈사뇌가 詞腦歌〉를 포함한 이 시기의 모든 시가를 총칭하는 말로 신라가요․신라시가․사뇌가라고도 한다. 중국의 시(詩)나 불교의 범패(梵唄)에 대해 우리 고유의 시가, 시골노래라는 개념으로 향가라고 했다. 신라인들은 향가를 숭상했는데,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향가도 많았다. 일반인들이 유희와 오락으로 삼는 도구였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대중포교의 수단으로 사용했다. 통일신라시대 말 진성여왕대에

  • [국문학]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 14수 외
  • 신라 경덕왕 때-작자: 충담사-성격: 추도가, 추모가, 서정시-주제: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추모함, 기파랑의인품에 대한 찬양과 그의 뒤를 따르려는 결심-의의: 제망매가와 함께 표현 기교 및 서정성이 돋보이는 향가의 백미, 사뇌가(詞腦歌)라는 명칭이 붙어 ´찬기파랑 사뇌가´라고도 불림☆도천수관음가원문膝 兮古召 二尸掌音手乎支內良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 千隱手 叱千隱目 兮 一等下叱放一等 兮除惡支 二于萬隱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