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모죽지랑가, 도솔가, 찬기파랑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8.28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1. 募竹旨郞歌

2. 導率歌

3. 讚耆婆郞歌


Ⅲ. 結論

※ 參考文獻

본문내용
Ⅰ. 序論

新羅時代의 鄕歌는 오직 『三國遺事』에만 실려 있고 高麗 時代 鄕歌는 『均如傳』에 실려 있다. 上代 歌謠와 마찬가지로 『三國遺事』 속의 鄕歌 14편도 散文 記錄과 함께 전하고 있으며 說話 속의 一部로 존재하기 때문에 노래를 제대로 解釋하기 위해서는 노랫말 자체의 語釋을 통한 意味 解釋도 중요하지만 背景 說話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또한 日本의 상대가요집 『萬葉集』과 『삼국유사』 향가와의 관련성도 주목할 만하다. 한편 향가는 노래로 불린 양식이었음을 상기하여 음악적인 고려도 필요하다.
그럼 본 과제물에서는 제시된 新羅鄕歌 25수중 “모죽지랑가”, “도솔가”, “찬기파랑가” 이 3편의 지은이, 지은연대, 내용, 주제를 설명해보기로 하겠다.


Ⅱ. 本論

1. 募竹旨郞歌

모죽지랑가의 지은이는 得烏이며, 지은 연대는 여러 가지 해석이 엇갈리고 있으나 모든 것을 파악할 때 죽지랑이 타계한 다음에 지어진 것으로 신라 33대 효소왕때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용을 알아보면 ‘六名句體’에 해당되는 작품으로 그 解讀上의 意味의 差異가 매우 큰 작품 중의 하나라서 조심스럽게 解釋하지 않으면 알될 것이다.
이 내용을 의역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는 봄 그리매
모 것 우리 시름
아 나토샤온
즈 살쯈 디니지
눈 돌칠 이예
맛보디 지리
郞여 그릴  녀올걸
다붖굴허헤 잘밤 이시리

여기서 ‘募’는 그리워한다는 뜻이다. 그리워 한다는 것은 그 대상이 눈 앞에 있지 않을 때 쓰는 말이다. 竹旨郞과는 서로 떨어져 이는 상태에서 竹旨郞을 그리워하면서 지은 것이 이 노래이다. 앞의 노래 전체를 대분하여 두 단락으로 구분하자면 제4구 까지를 하나로, 나머지 전부를 다른 하나로 볼 수 있다. 첫번째 단락에서는 통일삼국 이후 정치사회의 정세변이에 따라 권세의 자리에서 실각한 한 정치인이자 노화랑의 이미 기울기 시작한 모습을 구성진 가락으로 노래하고 있고, 둘째번 단락에서는 郞의 처지가 비록 그 지경에까지 되었다 해도 그를 끝까지 추앙하는 마음에는 추호의 변함이 없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 노래의 주제는 신라가요중 화랑을 찬양하고 사모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 노래는 모두 2편이 있다. 그 2편의 작품이 다른 노래들과 비교해 볼 때 문학적으로 매우 뛰어난 수작임엔 틀림없다. 그러나 애석한 것은 화랑을 노래한 이들 가요가 그 내용이 모두 힘이 없어 보이기는 처량하거나 가냘픈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모죽지랑가’가 그렇다.


2. 導率歌

도솔가의 지은이는 월명사로서 월명사는 신라시대 경덕왕(742-765)대의 사람이다. 지은연대는 경덕왕 19년(760)이라 밝혀지고 있다.
도설가의 내용은 경덕왕 19년 경자 4월 초하루, 해가 둘이 나타나서 열흘이 가도록 없어지지 아니 하였다. 천문관이 임금에게 아뢰여 말하기를 인연이 있는 스님을 청하여 산화공덕을 하면 풀릴 수 있다 하였다. 그래서 제단을 朝元殿에 깨끗이 꾸며 놓고 임금이 靑陽樓에 나가 앉아서 인연이 있는 스님이 지나가리를 기다렸다. 마침 월명사가 언덕 남족 길로 가고 있었다. 임금이 그를 부르라하여 재단을 열고 의식을 시작하게 하니, 월명사는 아뢰기를 저는 다만 화랑의 무리에 속하여 있기 때문에 오직 향가만 알 뿐이고 범패노래는 알지 못합니다 했다. 임금이 말하기를 이미 인연 있는 스님이 되었으니 향가를 쓰더라도 무방하다고 하였다. 월명사는 이말을 듣고 도솔가를 지어 불렀다. 노래말은 아래와 같다

오 이에 散花 블어
 고자 너는
고  命ㅅ 브리디
彌勒座主 뫼셔롸
참고문헌
※ 參考文獻


1. 『향가의 문학적 해석』, 최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2. 『향가 해석』, 홍기문, 대제각, 1991

3. 『향가에 나타난 서민의식』, 이응재, 백문사, 1990

4. 『지상강좌』, 윤용식, 한국방송대학교, 1998

5. 『향가문학론』, 김승찬, 새문사, 1993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레포트 - 향가의 이론적 정리,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
  • 찬기파랑가Ⅰ.혜성가혜성가는 신라 진평왕 16년(594) 에 융천사(融天師)가 지은 향가이다. 10구체 향가로 『삼국유사』권6 에 노래와 그 연기설화(緣起說話)가 실려 있다. 이 노래 이름에 대하여 @@@(梁柱東)은 ‘혜성가’라 하였고 오구라(小倉進平) 오구라신페이 Ogura Shinpei小倉進平 - 일본의 언어학자한국어학자(1882~1944)로 경성대학교와 도쿄대학교교수를 지냈으며, 향가와 이두를 연구하였다.는

  • 문학사 정리
  • 국어의 구사 속에 뛰어나게 형상화 됨(2) 원천 : 하층 민중이 창작, 향유하다가 궁중에서 재편됨 → 민중의 노래 + 궁중에서 필요한 내용 - 무신란과 몽고란으로 고려 지배 체제의 이념적 긴장이 와해된 모습을 보여줌 (3) 전승 : 구전되어 전승되다가 한글 창제 후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등에 정착, 궁중음악으로 향유- 증거 : 1)동일한 내용의 가사가 두 고려속요에 나타남(서경별곡2연-정석가6연)2)여음사용 3)민요특유의 구조인

  • [국문학] 향가 레포트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咽鳴爾處米 열치매 열어 젖히니露曉邪隱月羅理 나토얀 딪리 나타난 달이白雲音遂于浮去隱安 下 힝 구룸 조초 힝가다 안디하 흰구름 쫑아 떠가는 것이 아닌가⇒ 작자가 달에게 묻는 말沙是八陵?隱汀理也中 새파링 나리여힝 새파란 냇물에耆郞矣 史是史藪邪 耆郞(기랑)잎 즈힝 이슈라 기랑의 모습이 있어라逸烏川理叱 惡希 일로 나릿 짜힝힝 지금부터 냇물의 조약돌에郞耶持以 如賜烏隱 낭(郞)잎 디니다샤온 기파랑이 지

  • [고전문학] 향가와 풍월도(헌화가. 모죽지랑가를 통해 본 풍월도)
  • 모죽지랑가, 헌화가, 원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불교계열 향가 원왕생가, 도천수대비가, 우적가, 보현십원가주사계열의 향가 혜성가, 도솔가, 처용가안민가 : 경덕왕 때 충담사가 지은 10구체의 사뇌가로서 현존 25수 중 유일하게 유교적 성격이 나타나 있는 노래이다. 문학사적 의의국어시가의 濫觴(남상)단연형 시가의 정형성과 원류창작가요문학의 始原(시원) 민족문학의 의식확립필사본 화랑세기노태돈 교

  • 고전시가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 도솔가」에서 산화(散花)는 부처를 모시기 위한 종교적, 주술적 색채가 짙은 의식이지만, 진달래꽃에서는 가는 임을 영화롭게 하기 위한 것일 뿐 종교적. 주술적 의미는 없다. 출처: EBS 교육방송교재 전공국어연습 2형성평가2작자, 작품, 독자의 관계를 지도하려고 한다. 다음 작품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가) 오 이에 산화(散花) 불어본 고자 너는 고  명(命)ㅅ 브리디미륵좌주(彌勒座主) 뫼셔라(나) 경덕왕 19년 경자 4월 1일 해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