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통일신라]통일신라시대 향가 - 도솔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모죽지랑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찬기파랑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원왕생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헌화가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3.16 / 2019.12.24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통일신라시대 향가 - 도솔가
1. 도솔가의 원문과 해독
2. 도솔가의 작품배경 및 이해

Ⅱ. 통일신라시대 향가 - 제망매가
1. 제망매가의 원문
2. 제망매가의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Ⅲ. 통일신라시대 향가 - 모죽지랑가
1. 모죽지랑가의 원문과 해독
2. 모죽지랑가의 작품 풀이
3. 모죽지랑가의 작품 해제
1) 작자
2) 연대
3) 형식
4) 성격
5) 제재
6) 주제
7) 의의
8) 출전
4. 모죽지랑가의 시어 및 시구 풀이
5. 모죽지랑가의 감상 길라잡이

Ⅳ. 통일신라시대 향가 - 찬기파랑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2. 찬기파랑가의 작품해설
3. 찬기파랑가의 짜임
1) 문사(1-3행)
2) 답사(4-8행)
3) 결사(9-10행)
4. 찬기파랑가의 의의
5. 찬기파랑가의 감탄사 ‘아으’

Ⅴ. 통일신라시대 향가 - 원왕생가
1. 원왕생가의 원문
2. 원왕생가의 작품이해

Ⅵ. 통일신라시대 향가 - 헌화가
1. 헌화가의 원문과 해독
2. 헌화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통일신라시대 향가 - 도솔가

1. 도솔가의 원문과 해독

今日此矣散花唱良 오늘 이에 산화를 불러
巴寶白乎隱花良汝隱 뿌리온 꽃아, 너는,
直等隱心音矣命叱使以惡只 곧은 마음의 명을 부리옵기에
彌勒座主陪立羅良 미륵좌주를 모셔라!

2. 도솔가의 작품배경 및 이해

신라 35대 경덕왕 때 지어진 월명사의 도솔가는 두 개의 해가 나타나 열흘이나 없어지지 않자 이를 퇴치해 달라는 왕의 부탁을 받은 월명사가 지은 노래이다. 월명사는 미륵의 가피력에 호소함으로써 천재지변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어 왕에게 이런 노래를 지어 바쳤던 것이다. 이런 가정은 미륵의 현신으로 보이는 한 동자가 나타나 왕과 월명사에게 실증적 증거를 보였다는 설화 후반부의 내용에 근거를 둔 것이다. 하늘의 두 해 중 하나는 현재의 왕에 도전할 세력의 출현을 예견해준다. 이러한 세력의 출현은 혼돈을 빚고, 그래서 이 혼돈을 조정할 행위가 필연적으로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왕권에 도전하려는 세력들에 의한 사회적 혼란을 조정하기 위하여 행해진 의식이 산화공덕이고, 이 의식에서 불려진 노래가 <도솔가>이다. 그러나 이 산화공덕은 순수한 불교적인 관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재래의 천신숭배사상이 미륵하생관념(彌勒下生觀念)을 받아들였고, 그것이 변용되어 미륵좌주로 나타나, 계를 지으라고 함에 향가로 대신하는 양상이 나타난 것이다. 즉, 이 <도솔가>는
참고문헌
김선기 / 향가의 새로운 풀이
김상억(1998) / 향가, 명문당
강길운(1995) / 향가신해독연구, 서울 학문사
서재극(1995) / 신라향가의 어휘연구, 형설출판사
신재홍 / 향가의 해석, 집문당
조동일(1997) /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황패강(2001) /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보광문학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학사] - 찬기파랑가 -해독과 풀이에 대한 연구
  • 원왕생가>, 세상을 떠난 누이에 대한 그리움과 인생에 대한 고찰을 그린 , 효성왕에 대한 원망의 마음을 담은 , 희명이라는 자가 눈먼 자식을 위해 천수 대비 앞에서 불렀다는 , 도둑떼를 만난 원재가 오히려 그들을 물리치고 회개시켰다는 내용인 , 왕이 백성을 다스려 편하게 한다는 , 그리고 화랑 기파랑을 찬양하고 흠모하는 노래인 가 있다. 3)향가의 작가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의 문화는

  • [국어] 처용가, 도솔가의 문학적.민속학적 측면
  • 분석했을 때 당시 불교신앙과 무교신앙이 복합적으로 발전하고 있었으며, 무교신앙이 융성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당시 천연두의 발병으로 인하여 부족이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Ⅲ. 도솔가1. 내용오다 이에 산화 블러보보싶힝 고자 너는,고딪 밑힝밑 命ㅅ 브리이악彌勒座主 모리셔 벌라.오늘 이에 散花 불러솟아나게 한 꽃아 너는, 곧은 마음의 命에 부리워져彌勒座主 뫼셔 羅立하라.도솔가는 월명사가 지은 향가로서 신라 경덕왕 19년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문학
  • 시대의 문학후삼국의 쟁패를 거쳐 고려의 통일로 민족의 내부적 통합이 다시 이루어졌다. 우리 민족의 판도가 한반도 내로 국한되었지만 단일 민족과 단일 국가의 전통이 세워진 것이다. 전반적으로 고려의 문학은 민족어 문학보다는 상대적으로 한문 문학이 융성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고려 시대는 민족어 문학이 새로운 문학 형식의 창조를 위한 모색을 다각도로 시도한 시기이기도 했다.신라의 향가는 고려

  • [향가][향가 형식][향가 개념][향가 성격][향가 역사][향가 명칭][향가 문법][향가 내용]향가의 형식, 향가의 개념, 향가의 성격, 향가의 역사, 향가의 명칭, 향가의 문법, 향가의 내용 분석(향가, 향가 형식)
  • 향가의 개념〈도솔가 兜率歌〉나 〈사뇌가 詞腦歌〉를 포함한 이 시기의 모든 시가를 총칭하는 말로 신라가요․신라시가․사뇌가라고도 한다. 중국의 시(詩)나 불교의 범패(梵唄)에 대해 우리 고유의 시가, 시골노래라는 개념으로 향가라고 했다. 신라인들은 향가를 숭상했는데,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향가도 많았다. 일반인들이 유희와 오락으로 삼는 도구였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대중포교의 수단으로 사용했다. 통일신라시대 말 진성여왕대에

  • [고전시가] 향가
  • 헌화가 . 314. 모죽지랑가 365. 찬기파랑가 446. 원가 527. 제망매가 . 568. 원왕생가 . 609. 안민가 6410. 우적가 .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