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론] `도미설화` 연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2.25 / 2019.12.24
  • 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 차
1. 〈都彌說話〉의 전승 양상

2. 〈都彌說話〉의 構造

3.〈都彌說話〉의 類型에 따른 作品 分析

(1) 官奪民女型 說話

(2) 愚夫賢女型 說話

(3) 烈女型 說話

4. 都彌說話의 현대적 受容과 變容

(1) 敍事文學으로의 현대적 受容

(2) 다른 매체로의 變容

본문내용
3.〈都彌說話〉의 類型에 따른 作品 分析

〈都彌說話〉는 기본적으로 민담적 話素(motif)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도미 처의 貞節, 도미 처의 지혜, 개루왕의 여성 불신과 시험, 도미의 추방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특히 앞의 두 話素는 기존의 다른 민담에서도 나타나는 話素이며, 또 하나의 유형으로 나타나기도 하는 것들이다. 도미 처의 貞節은 사실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핵심적인 話素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官奪民女型 說話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話素이다.
이처럼 〈都彌說話〉에 나타나는 話素의 유형은 하나가 아닌 여러 개로, 어떤 話素를 중심으로 볼 것인가에 따라 〈都彌說話〉의 유형을 나눠볼 수 있다.

(1) 官奪民女型 說話
官奪民女型 說話란 ‘관리가 평민의 여자를 빼앗으려는 사건을 담은 설화’이다. 〈都彌說話〉에 나타나는 도미 부부는 신분이 낮은 백성이고, 반동 인물인 개루왕은 권력의 최상층에 위치한 신분이라는 점에 초점을 가지고 해석해 보면, 지배자인 개루왕과 피지배자인 도미 부부의 대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여성의 절개를 믿지 않는 개루왕이 자기의 주장대로 일이 풀리지 않자 이와 별개로 애초 도미의 처를 빼앗으려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권력을 휘두른다. 결국 개루왕은 도미의 두 눈을 뽑아 내쫓고 도미의 처를 강제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학] 한국문학사 정리 - 장덕순 한국문학사, 이야기국문학사 중심으로
  • 문학 Ⅲ. 결 론 Ⅰ. 서 론문학사는 모름지기 그 삶의 연속체로서 한 개의 고립적 사상이 아니고 한 생명체의 부분이며 거기는 전체의 생명이 부분적으로 잠재하고 있어 밖으로 아무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듯한 모든 부분적인 문학적 사상도 그것을 세로 또 가로 한데 편록하면 완전한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다. 조윤제『한국문학사』동국문화사, 1963.문학사는 구비문학부터 현대문학에 이르기까지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장르별로 많은 연구와 함

  • [구비문학론] `춘향가`의 이면 분석
  • 연구 :열녀춘향수절가심청전흥부전배비장전」,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5~77.이상택 외 (2005), 「한국 고전 소설의 세계」, 돌베개, p132.이영태 (2002).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불교적 내용에 관한 연구 : 신재효 본을 중심으로 . 中央大學校 大學院.장성원(1999), 「춘향전에 나타난 인물의 형상과 갈등 양상 연구」, 강릉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2~69쪽.조동일 (1978),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우리 문학과의 만남』

  • [국문학사] 국문학사 시대구분
  • 설화로 후에 판소리 수궁가 및 소설 별주부전의 근원 설화가 됨삼국사기조신 설화전설인간의 욕망은 헛된 꿈이라는 불교적 주제를 담고 있는 환몽 설화삼국유사신 라 : 조신설화, 김현감호, 연오랑세오녀, 효녀지은, 방이설화, 손순매아고구려 : 구토지설, 온달설화, 호동왕자설화백 제 : 도미설화2. 고려 시대의 문학국내적으로는 신라 문화를 계승하고 밖으로는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여 문화의 융성기를 맞이하였다. 우리 문자가 없던 시절

  • 구비문학의세계4공통) 한국의 전설 자료 1편과 민담 자료 1편을 선택(총 2편)하여 자료를 소개하고 각각의 자료들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고찰하시오0k
  • 설화라고도 하며, 《탐라지(耽羅誌)》에는 설만두고(雪慢頭姑)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또한 18세기 장한철(張漢喆)이 지은 에 사람들이 한라산을 보고 살려달라고 비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그때 그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 선마고(詵麻姑)이다. 마고에 빌었다는 의미로 선문대할망이 한자 선마고로 표기된 것이다. 한국구비문학(韓國口碑文學)에서는 한국에 내려오는 설화 등을 모아 신이담으로 분류하는데 신이담에는 기

  • 구비문학의세계4공통) 한국의 신화 전설 민담 자료를 각각 1편씩(총 3편) 선택하여 각각의 대상 자료를 읽고 느낀 점과 의미 등을 서술하시오0K
  • 설화라고도 하며, 《탐라지(耽羅誌)》에는 설만두고(雪慢頭姑)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또한 18세기 장한철(張漢喆)이 지은 에 사람들이 한라산을 보고 살려달라고 비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그때 그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 선마고(詵麻姑)이다. 마고에 빌었다는 의미로 선문대할망이 한자 선마고로 표기된 것이다. 한국구비문학(韓國口碑文學)에서는 한국에 내려오는 설화 등을 모아 신이담으로 분류하는데 신이담에는 기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