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훈민정음을 창제한 인물, 창제 원인, 창제 원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9.07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
목차
Ⅰ. 훈민정음을 창제한 인물


Ⅱ. 훈민정음 창제 원인

☞훈민정음을 창제하게 된 시대적 정황과 인물

1)유교와 언어관

2)한자 및 차자 표기법의 불편

3)학문 진흥 수단

4)중국에 대한 외교와 역학

5)열국의 문자와 언어정책에 대한 관심

6)세종의 개인적 성격

☞정인지 서문에 관하여


Ⅲ. 훈민정음 창제 원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훈민정음을 창제한 인물

훈민정음은 1446년(세종 28) 창제되었으며, 《훈민정음예의본(訓民正音例義本》과 글자를 지은 뜻과 사용법 등을 풀이한《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으로 2권 2책이며 국보 제 70호이다.

‘훈민정음해례 서’를 보면 훈민정음에 대해서 알 수 있다.
‘계해년(세종 25년(1443)) 겨울에 우리 임금께서 정음(正音) 28자를 새로 만드시고 보기(例)와 뜻(義)을 대략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 하셨다’라는 부분이 나온다. 이를 통해 훈민정음(글)에 관해 알 수 있다. 정음은 세종 25년(1443년) 겨울에 만들어 졌으며, 정음을 만든 사람은 세종대왕이며, 처음 만든 정음의 글자 수는 28자 이다. 새로 만든 글자의 이름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하며, 이를 지은 사람도 세종대왕이다. 여기에서 ‘우리 임금께서 정음 28자를 새로 만드시고’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강신항,『수정증보 훈민정음 연구』,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권재선,『훈민정음(글월의 구성 분석적)이해』, 대구: 우골탑, 1998.
-한태동,『(한태동선집)세종대의 음성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전남대학교 어학연구소 편,『훈민정음과 국어학』, 서울: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2.


※참고 사이트
http://osan.hs.kr/~chosun/main.php3?maid=1&mid=7
http://100.naver.com/100.php?id=174787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
  • 인물로 《화산별곡(華山別曲)》 《태행태상왕시책문(太行太上王諡冊文)》을 지어 조선왕조의 건국을 찬양하였다. 저서로 《춘정집(3권 5책)》이 있다. 《태조실록》의 편찬과 《고려사》 개수(改修)에 참여하였고 《낙천정기(樂天亭記)》 《헌릉지문(獻陵誌文)》을 지었다. 시호는 문숙(文肅).(출처 : 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화전별곡(花田別曲) 요점 정리● 형식 : 경기체가 전 6장● 연대 : 조선 중종● 작자 : 김구● 주제 : 해남에 귀양가서 그

  •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
  • 언어의 중요성과 현재의 문제점을 통해 한자 병용 찬성의 근거를 더한 후, 한글 전용을 비판하는데 텍스트 2(한자 병용 반대)에서는 한자 병용 찬성을 비판하는 것의 근거를 나열하는 것으로 텍스트를 전개 하고 있다. 텍스트 1보다는 텍스트 2가 응집성이 더 잘 드러나는데, 이는 텍스트 2가 한글 정책과 국제적인 맥락에서 보이는 한자 병용에 대한 반대의 이유를 하나씩 드러내고 있는데 비해, 텍스트 1에서는 한자 병용 찬성의 이유를 문화 위기, 인성

  • 한국문학사 정리 (고대, 중세, 근대 문학)
  • 원리는 웃음의 미학이라 할 수 있다. 현실의 모순에 대한 날카로운 반어, 중세적 고정 관념을 거리낌 없이 추락시키는 풍자, 고달픈 생활에 대한 해학 등이 주 내용을 이루며 해학미를 구사하고 있다. 또 이 시기에 지난날의 시조를 수집 정리하는 가집 편찬이 평민 가객들 사이에서 성행하였다. 즉, 김천택의 청구영언을 비롯하여 김수장의 해동가요, 박효관 안민영이 함께 엮은 가곡원류가 있으며, 그 밖에도 고금가곡, 남훈태평가, 동가선 등 많은

  • [국어학] 중세국어사 연구
  • 훈민정음>은 신문자(新文字)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와 운용법, 그리고 실제적인 사용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문자사뿐 아니라 세계의 문자사에서 기념비적인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신문자의 제자 원리와 운용법이 고도의 음성학적 지식과 음운론적 관찰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해례본 은 문자론의 차원 및 언어학적 차원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1. 원문2. 개관 (네이버 사전에서 더 붙이든가 해서 년

  • [한국사의이해 기말] 1. 1862년 농민봉기, 광무개혁, 일제 통치방식, 모스크바 3상회의, 2. 내가 존경하는 인물, 3. 역사 전환점 사건
  • 창제의 기초가 됨으로써 한글은 일찍이 인류가 만든 가장 독창적인 문자 체계가 된 것이다. 세종대왕은 여러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한글 창제를 통해 우리 민족과 인류의 문화에 영원히 남을 금자탑을 세운 것이다. 김만태(2012).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 시대와 철학.4) 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에 대해 서술세종대왕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음소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