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이해 청나라의 정치 문화사 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중국 둥베이[東北(동북)] 지방에서 일어나 명(明)나라에 이어 중국을 지배한 만주족(滿洲族)의 왕조(1616∼1912). 한족(漢族)이 아닌 이민족으로서 중위안[中原(중원)]을 통일하여 통치한 2번째 국가이며, 중국 역사상 최후 왕조이다.
1.청의 정치제도
뒤떨어진 소수민족이었던 만주인이 광대한 중국을 제압할 수 있었던 것은, 그 민족을 개병(皆兵)으로 만들어 압도적인 군사력을 바탕으로 하는 한편, 재래 중국사회의 계급지배 위에 타고 앉아 그것과 기본적으로 유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8기의 병제와 중요한 관직에 있어서의 만한병용(滿漢倂用) 정책을 제외하고는 청나라는 명왕조의 관제를 거의 그대로 답습하였다. 우선 중앙에 최고 정무기관인 내각 대학사(內閣大學士), 그 집행기관인 6부 5시(寺) 및 감찰기관인 도찰원(都察院)을 두어 각각 황제 직속으로 하였으나, 얼마 안되어 중가르부 토벌 때에 용병의 신속과 군사기밀 보장을 위해 내각의 실권자를 선발, 군기처(軍機處)가 신설되자 실권은 그 곳으로 넘겨졌으며, 건륭 초기에는 독립된 기관으로서 군사 국무의 최고 권한을 겸유하기에 이르렀다. 또 이번원(理藩院)이 신설되어, 몽골 신장[新疆] 시짱[西藏] 등 소위 번부(藩部)의 일을 관장하였다. 서양 제국과의 교섭도 당초에는 그 밑에서 조공국(朝貢國)과 같은 대우로 전락했으나, 말엽에 이르자 업무의 확대와 제국의 압력에 따라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國事務衙門)이 설치되었고, 곧 이어 1901년에는 외무부로 승격하였다. 말기 몇 년 동안에는 이 밖의 관제개혁도 시행되었으나, 만인(滿人) 중심의 집권주의는 한인(漢人) 관료의 이반을 초래하여, 오히려 붕괴를 재촉하기만 하였다.
지방 관제에서는, 최고 행정구획인 성(省) 밑에 부(府)가 있고, 부는 다시 주(州) 현(縣) 청(廳)으로 나누어졌으며, 별도로 성 직속의 주 청이 있었다. 성에는 포정사(布政使) 안찰사(按察使)가 있어 민정(民政) 감찰을 분담하였으며, 전대(前代)에 임시 관직으로 나타났던 총독 순무(巡撫)를 최고의 지방관으로서 두었는데, 총독을 1, 2개 성에 1명, 순무를 거의 1개 성에 1명씩 둔 것은 청왕조의 특색이었다. 성에는 또한 제독(提督) 총원(總員) 학정사(學政使) 도원(道員) 등이 있어서 각각 군사 교육 성 내의 업무를 분담 처리하였다. 부 주 현에는 지부(知府) 지주(知州) 지현(知縣)이 있었으며, 이들 밑에 백성은 주로 보갑제(保甲制)로 조직되어 있었다. 백성으로부터 수탈을 일삼던 정부는 커다란 역사적 변화로서 재래의 인두세(人頭稅)와 같은 계보의 정은(丁銀)을 폐지하고, 토지의 단일체계, 즉 지 정은제(地丁銀制)가 옹정(雍正) 초년을 계기로 거의 전국적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왕조가 전통적인 일군만민(一君萬民) 체제를 사실상 폐기하고, 기초과정에 있어서의 지주제(地主制)의 진전을 용인한, 그 위에 기초를 둔 것을 의미한다. 지 정은이 국가 세입 전체에 차지하는 비중은 건륭 연간에는 거의 70 %에 달하였으나, 이에 버금가는 주요 세목인 염과(鹽課:제염업자와 그 상인에 대한 과세) 관세(關稅:통과세)의 2가지가 점차로 증가하였는데, 특히 청 말에는 관세가 현저히 늘어났다. 태평천국의 난 진압의 군비로 신설되어, 양무운동(洋務運動)의 재원으로도 쓰던 이금(釐金)도 이 일종이다. 이와 같은 국가재정의 수탈을 가능케 하는 경제외강제(經濟外强制)의 기초를 이루고 이민족 지배를 지탱케 한 것은 청왕조 특유의 병제인 8기(八旗)였다. 즉 만주인을 모두 병사로서 홍(紅) 백(白) 황(黃) 남(藍) 및 그것에 테두리가 달린 8가지 기색(旗色)으로 나눈 세습적인 단체로 편성하였다. 뒤에는 만주인뿐만 아니라 몽골 한군(漢軍)의 8기까지 더하여 합계 24기(旗)로, 기적(旗籍) 20만에 이르렀으나, 그래도 광대한 영토를 경략(經略) 수비하기에 부족하였으므로, 한인만으로 편성된 녹영(綠營:綠旗)을 설치하고 총독과 순무에 의해 통솔되었다. 팔기의 구성원, 즉 기인(旗人)에게는 기지(旗地)가 지급되어 경제적 자급이 배려되었다. 그러나 경작자로는 한인이 진출, 빈궁해진 기인(旗人)은 기지를 전당잡히거나 팔아넘기는 일이 많아짐으로써 8기제도는 붕괴되기 시작하였고, 그 무력함은 백련교의 난에서 백일하에 드러났다. 이 때 민간의용군인 향용(鄕勇)이 나타났는데, 이들은 태평천국의 난에서 큰 역할을 하였다. 그 후 청왕조도 뒤늦게나마 연군(練軍:8기와 녹영에서 선발)과 서양식으로 편성한 신군(新軍)을 양성하였으나, 연군과 신군사이에서 혁명파의 반란이 일어나 신해혁명의 발단이 되었다.
2.청의 문화:
사상·서적간행
고증학(考證學)이 대표적인 학문이었는데 이것은 이민족 지배를 유지하기 위하여 취한 사상통제의 산물이었다. 처음 성조는 반만(反滿)사상을 억압하고 민심 수습을 위하여 명나라에 이어 주자학을 정통적인 관학으로 삼아 한민족문화에 친숙해졌다. 한편 명나라 말 이래의 학자 고염무·황종희·왕부지 등은 재야에서 반만주족적인 민족의식이나 정치이념이 깃든 서적들을 저술하였다. 청나라 정부는 이에 엄격한 태도로 임하였으며(文字의 獄, 禁書) 서적의 편집사업을 빙자하여 국가검정작업을 시행하였다. 이로 인하여 반만사상은 지하로 잠적하였고, 고염무에게서 시작된 고전의 실증적·비판적 연구는 고전이 지녔던 격렬한 경세(經世;정치적 실천사상)의 뜻을 잃으며 학술의 주가 되었다. 사학(史學)의 전대흔(錢大昕), 철학의 대진(戴震), 문자음운학의 단옥재(段玉裁) 등 학자가 배출되었고, 성조의 《강희자전(康熙字典)》, 성조·세종의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고종의 《사고전서(四庫全書)》 등 대규모 문화사업이 이루어졌다. 고증학은 중국학술사상의 정점이었으며, 근대과학사상의 싹도 보호·육성되었으나, 곧 그 비실천성으로 인하여 선종 이후 중국사상의 위기 속에서 경세를 중시하는 공양학파(公羊學派;近文學)인 캉유웨이·량치차오 등이 변법자강의 실체운동을 불러일으켰다. 고문학파(古文學派)에서도 증국번·장즈둥 등의 송학(宋學) 부흥운동으로 이어졌다. 이들을 중심으로 하여 수행된 양무운동 사상은 <중체서용(中體西用)>사상으로 특징되며 그 뒤 옌푸[嚴復(엄복)] 등에 의한 서양사상의 본격적인 소개와, 서양유학에 의한 신사상·신학문으로 청나라 문화는 실질적으로 막을 내렸다. 쑨원의 민족·민권·민생의 삼민주의(三民主義)가 그 결정체이다.
문학
원(元)나라·명나라에 이어 희곡·소설이 크게 발달하였는데, 희곡에서는 《장생전전기(長生殿傳奇)》 《도화선전기(桃花扇傳奇)》가 2대 명작으로 손꼽히며, 중국 고전극의 집대성인 경극(京劇)으로 공연되었다. 소설은 《요재지이(聊齋志異)》 《부생육기(浮生六記)》 외에 《유림외사(儒林外史)》 《홍루몽(紅樓夢)》의 2대 장편이 저술되었다. 이 작품들은 모두 옛 중국사회의 만주인 귀족이나 중국인 관료의 가정 및 인물을 구체적으로 그렸다. 또 청나라 말기에는 린수 등에 의해 서양 근대소설이 소개되는 한편, 《관장현형기(官場現形記)》 《노잔유기(老殘遊記)》 《이십년목도지괴현상》 등 관료의 부패상을 폭로하는 소설이 등장하였고, 《신보(申報)》 《소보(蘇報)》 《익문록(益聞錄)》 등 신문이 발행되기 시작하였다.
회화·서예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현대중국의 이해] 중국의 음식에 관한 보곳
  • 중국 시장에서 흔히 볼수 있는 전갈, 뱀, 지네등의 음식을 보고 혐오스럽다고 단정짓기보단, 그들의 음식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편이 더 적절하리라 생각한다.2) 색과 향신료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중국 요리의 독특한 맛을 내고 있다.중국 요리에 쓰이는 조미료와 향신료의 종류가 다양하고 그것을 적절히 이용하는 조리법은 다른 나라 요리에서 볼 수 없을만큼 풍부하다. 간(단맛), 셴(짠맛), 쏸(신맛), 신(매운맛), 쿠(쓴맛)의 오미를 복잡미묘하게 배합

  • 한국유교의 기본 이해, 역사, 나아가 한국에 미친 영향과 기독교와의 비교
  • 열어가야 할 것이다.참고문헌- 한국의 종교의식과 예절, 문화체육부, 김영두 외 10명, 1995.- 한국 현대의 유교문화, 금장태,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한국 유교의 이해, 금장태, 민족문화사, 1989.-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김경일. 바다출판사, 1999.- 현대인의 유교읽기, 조남욱외 3명. 아세아문화사, 1998.- 비교종교학 개론, 김은수, 대한기독교서회, 2006.사이트http://blog.daum.net/mokryeon/6448759사이버유교박물관 http://www.yugyo.orghttp://cafe.naver.com/folklore12

  • 사회과학 출사표의 분석적 이해
  • 이해를 도모해 보았다. 작품 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반성함으로써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이 글에서는 제갈량의 「출사표」에 대한 보다 정치한 이해를 위해 표문의 장르적 특징과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개관을 바탕으로 작품을 분석했다. 신하가 임금께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표문은 논리적 명확성과 함께 문예미가 담보되어야 하는 특징을 가진 장르이다. 따라서 작품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그러나 전자와 후자

  • [종교 레포트] 한국 유교
  • 정치적 사상 체계를 지칭한다. 한 무제(武帝) 때인 기원전 136년에 국교(國敎)가 된 이래 청(淸)나라가 망할 때까지 역대 조정의 지지를 얻으며, 정교일치(政敎一致)의 학문으로 중국의 사회 문화 전반을 지배해 왔다. 또한 한자문화권인 한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에도 전해져서 큰 영향을 주었다. ‘유교’라는 말은 삼국시대 유 불 도 삼교(三敎)의 조화를 지칭할 때 사용한 말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2. 한국 유교의 역사lbid, p. 14

  • [국문학작가교육론] 자하 신위의 시세계
  • 법으로는 초장을 기구에 배당하거나, 종장을 전구, 결구에 배당하였고, 시조의 1장을 생략, 혹은 시조 3장과 한시 3구 외에 한시 1구를 덧붙이는 방법, 그리고 완전히 내용을 새롭게 쓰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이는《경수당전고》 권49에 수록되어 있다. 신위의 를 전체적으로 검토할 때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점은, 정(情)보다는 경(景)을 강조하고, 인간을 주어로 하는 문장을 사물을 주어로 하는 문장으로 환치시켰다는 점이다. 단지 사물이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