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처용가 - 향유층 고대어 현대어 표기 작품 해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4.24 / 2015.04.24
  • 19페이지 / fileicon pptx (파워포인트 2007이상)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고려 처용가
목차서론작품을 선택한 이유본론향유층고대어 표기현대어 표기작품 해석결론느낀 점창작시
서론작품을 선택한 이유1) 종이가 4번 줄에 오지 않아 수업시간에 정해야 해서 급했다.2) 처용이라는 이름이 익숙하였다.
본론(작품 해석)고려 처용가는 신라 처용가에 뿌리를 두고 오랜 기간 동안 서서히 바뀌어 처용연극, 처용무로 발전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나라와 백성의 평안함을 도모하고 재앙을 물리치자는 의미에서 해마다 팔관회, 연등회, 나례 등의 행사를 거행했는데, 이러한 행사들은 모두 궁중에서 행해지는 굿놀이였다. 중국에서 전래된 나례는 12세 이상 16세 이하의 어린아이에게 가면을 씌우고 창, 방패, 몽둥이를 들고 악공의 연주에 맞추어 춤추고 노래하며 잡귀를 물리치는 의식이다. 처용가는 이러한 행사에서 불리어진 노래로, 공식적인 행사 외에도 궁전의 향연이나 양반 사대부들의 집에서 일상적인 놀이로 행해지기도 했다.나례
본론(고대어 표기)신라성대(新羅盛代) 소성대(昭聖代)천하대평(天下大平) 나후덕(羅候德)처용(處容) 아바이시인생(以是人生)애 상불어(常不語)하시란대이시인생(以是人生)애 상불어(常不語)하시란대삼재(三災)팔난(八難)이 일시소멸(一時消滅)하샷다 어와 아븨즈이여 처용(處容) 아븨즈이여만두삽화(滿頭揷花) 계우샤 기울어신 머리예아으 수명장원(壽命長遠)하샤 넙거신 니마해산상(山象) 이슷 깅어신 눈섭에애인상견(愛人相見)하샤 오알어신 누네풍입영정(風入盈庭)하샤 우글어신 귀예홍도화(紅桃花)가티 븕거신 모야해오향(五香) 마타샤 웅긔어신 고해아으 천금(千金) 머그샤 어위어신 이베백옥유리(白玉琉璃)가티 해어신 닛바래인찬복성(人讚福盛)하샤 미나거신 타개칠보(七寶) 계우샤 숙거신 엇게예길경(吉慶) 계우샤 늘의어신 사맷길헤설매 모도와 유덕(有德)하신 가사매복지구족(福智具足)하샤 브르거신 배예홍정(紅呈) 계우샤 굽거신 허리예동락대평(同樂大平)하샤 길어신 허튀예아으 계면(界面) 도라샤 넙거신 바래누고 지이셰니오 누고 지어셰니오바랄도 실도 업시 바랄도 실도 업시 처용(處容) 아비를 누고 지이셰니오마아만 마아만 하니여십이제국(十二諸國)이 모다 지어셰욘아으 처용(處容) 아비를 마아만 하니여 머자 외야자 녹리(綠李)여빨리나 내 신고흘 매여라아니옷 매시면 나리어다 머즌 말동경(東京) 발근 다래새도록 노니다가드러 내 자리를 보니가라리 네히로섀라아으 둘흔 내해어니와둘흔 뉘해어니오이런저긔 처용(處容) 아비옷 보시면열병대신(熱病大神)이아 회(膾)ㅅ가시로다千金을 주리여 處容 아바七寶를 주리여 處容 아바千金 七寶도 마오熱病神을 날 자바 주쇼셔山이여 매히여 千里外예處容 아비를 어여녀거져아으 熱病大神의 發願이샷다
본문(현대어표기)3)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바늘도 실도 없이, 바늘도 실도 없이처용 아비를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많고 많은 사람들이여열두 나라가 모이어 만들어 세운아아, 처용 아비를 많이도 세워 놓았구나. 4) 버찌야, 오얏아, 녹리야빨리 나와서 나의 신을 매어라.아니 매어 있으면 나올 것이다 재앙의 말5) 신라 서울 밝은 달밤에밤새도록 놀다가돌아와 내 자리를 보니다리가 넷이로구나아아, 둘은 내 것이거니와,둘은 누구의 것인가?6) 이런 때에 처용 아비가 보시면열병대신 따위야 횟감이로다.천금을 줄까? 처용 아비여칠보를 줄까? 처용 아비여천금도 칠보도 다 말고열병신을 나에게 잡아 주소서.7) 산이나 들이나 천리 먼 곳으로처용 아비를 피해 가고 싶다.아아, 열병 대신의 소망이로다.1) 신라 성대 밝고 거룩한 시대천하가 태평한 것은 나후의 덕이다.처용 아비여이로써 늘 인생에 말씀 안 하시어도이로써 늘 인생에 말씀 안 하시어도세상 모든 재앙(삼재, 팔난)이 단번에 없어지시도다 2) 아아, 아비의 모습이여 처용 아비의 모습이여머리 가득 꽃을 꽂아 무거워 기울어지신 머리에아아, 목숨 길고 오래되어 넓으신 이마에산의 기상과 비슷하신 무성하신 눈썹에애인을 바라보는 것 같은 원만하신 눈에바람이 찬 뜰에 들어 우글어지신 귀에복숭아꽃같이 붉으신 얼굴에오향 맡으시어 우묵하신 코에아아, 천금을 머금으시어 넓으신 입에백옥 유리 같이 흰 이에사람들이 기리고 복이 성하시어 앞으로 나온 턱에칠보를 못 이기어 숙이신 어깨에길경(처용무의 소품)에 겨워서 늘이신 소매에지혜 모이어 덕이 있으신 가슴에복과 지혜가 모두 넉넉하시어 부르신 배에붉은 패옥에 겨워서 굽어지신 허리에함께 즐겨 크게 평안하시어 기신 다리에아아, 계면조에 맞추어 춤추며 도는 넓으신 발에
본론(작품 해석)고려 ‘처용가’는 처용의 기원에서부터 제작 과정, 찬양, 역할 등이 나타나 있으며, 작품 속에 인물과 사건-처용아비와 열병신의 대립, 투쟁에서의 승리 등-이 나오기 때문에, 서사적 구조를 지닌 노래로 볼 수 있다.고려처용가의 서사 구조‘태평성대’라는 시기적 배경처용의 모습 묘사처용의 모습을 많이 세움멎, 오얏, 녹리에 대한 명령과 위협역신의 침범(신라 처용가 1~6구 삽입부분)열병신에 대한 공격열병신이 도망감
본론(작품 해석)⑴ ‘멎, 외얏, 녹리’의 의미고려 ‘처용가’는 처용의 모습을 길게 묘사하고 찬탄한 것에 이어 ‘멎, 외얏, 녹리’을 불러냄으로써 급작스런 시상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머자 외야자 녹리야”라고 하여 ‘멎, 오얏, 녹리’를 불러내고 이어 명령과 가정과 위협이 뒤따르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호칭-명령-가정-위협’이라는 전형적인 구지가형의 주술 어법이 구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멎, 오얏, 녹리’는 ‘능금, 오얏, 돌배’라는 과일들이다. 흔히 과일들에는 재생성, 생산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인식되어 풍요와 관련된다. 그런데 이렇게 전형적인 구지가형의 어법을 취하는 주술에서 주술을 거는 대상은 요구를 들어줄 수 있는 대상인 신격의 매개자로 나타난다. 고려 ‘처용가’에서는 “머자 외야자 녹리야”라고 부름으로써 ‘멎, 오얏, 녹리’를 대상으로 주술을 걸고 있다. 따라서 ‘멎, 오얏, 綠李(녹리)’는 풍요신의 매개자 역할을 담당한다. 주목할 것은 과일들에 대한 명령과 위협이 신격으로서의 처용을 묘사한 것과 그 모습이 많이 세워진 것에 대한 찬탄 다음에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서사적 흐름과 관련지을 때 ‘멎, 오얏, 녹리’는 ‘처용’의 매개자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풍요와 생산의 신격인 처용을 불러오기 위해 그 매개자인 ‘멎, 오얏, 녹리’를 위협한다는 것은 풍요 또는 생산과 관련된 재앙이 발생했음을 뜻한다.4) 버찌야, 오얏아, 녹리야빨리 나와서 나의 신을 매어라.아니 매어 있으면 나올 것이다 재앙의 말
본론(작품 해석)⑵ ‘처용’의 존재처용의 모습과 위엄 및 능력을 찬양하는 이 부분은 고려 ‘처용가’에서 긴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처용의 모습을 묘사하면서 ‘수명장존, 복성, 유덕, 복지구족, 동락태평’ 등의 처용의 속성을 직접 제시하여 처용이 위대한 인격신임을 부각시키고 있다.⑶ ‘열병신’의 정체‘처용’이 온갖 종류의 재앙을 해결할 수 있는 벽사신이면서도 풍요와 생산을 주관하는 신격인 점으로 미루어 ‘열병신’이란 온갖 종류의 재앙과 재난을 통틀어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열병신을 물리친다는 것은 개인의 병이나 위난을 해결, 국가적인 재앙을 해결하는 등의 벽사적 의미, 그리고 풍요와 관련하여 자연적 재앙을 소멸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렇게 보면 고려 ‘처용가’는 국가적 위난을 구하는 기능, 액막이용,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적 성격의 노래로 규정할 수 있다.
결론조사하면서 느낀점처음에 처용이라는 이름이 익숙하여 선택하였는데 봉변을 당했다.발표를 들으면서 동동보다 긴 시가 없을 줄 알았는데 세보니까고려처용가가 더 길어서 당황스러웠다. 하지만 조사를 하면서느낀 점은 앞에서 발표한 신라처용가와 고려처용가는 비슷한소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상황이나 당시의문화적 특징에 의해 많은 것이 변했다는 것이 재미있었다.
창작 시하이브 테크 밝고 거룩한 시대천하가 태평한 것은 스웜의 덕이다.디파 아비여이로써 늘 인생에 말씀 안 하시어도이로써 늘 인생에 말씀 안 하시어도세상 모든 재앙(바이오닉)이 단번에 없어지시도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 향가 레포트
  • 서리가 내린 땅과 푸른 색의 잣나무가 그것이다. 공간적으로도 수평적인 것들인 구름, 시내, 냇가, 지상 등과 수직적인 달, 시내 속의 달, 마음의 끝, 잣나무 등이 꽉 짜인 공간적 조형미를 구축하고 있다. 냇물, 조약돌, 서리, 잣나무 등 찬기파랑가가 지닌 이러한 고도의 상징적 표현은 향가의 문학성이 매우 높았음을 짐작하게 하며, 고려 시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애상적인 면이 전혀 없고 미래 지향적이고 진취적인 기상과 의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
  • 고려속요(3) 경기체가2. 고려속요의 내용별 주요작품 분석(1) 연주(戀主) - 정과정곡(2) 모정(母情) - 사모곡 상저가 (3) 무축(巫祝) - 처용가 (4) 삶의 고뇌(苦惱) - 청산별곡(5) 연정(戀情) - 쌍화점만전춘별사이상곡동동(6) 풍유(諷諭) - 유구곡(7) 이별(離別) - 가시리서경별곡(8) 송도(頌禱) -정석가3. 경기체가(1) 경기체가의 개념 (2) 경기체가의 형식적 특성과 율격 (3) 경기체가의 형식 유형과 변화 (4) 경기체가의 작자와 향유층 (5) 주요작품 - 한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Ⅰ. 고려속요1. 개관2. 청산별곡1) 청산별곡의 구조 및 내용(1) 청산별곡의 구조(2) 청산별곡의 각 연별 내용(3) 작품의 율격상 특징2) 작가층 및 성격(1) 작가층(2) 청산별곡의 성격3. 처용가1) 노래말의 어석연구2) 노래말의 성격과 의미 검토3) 고려 처용가의 변전과 문학적 해석(1) 처용가의 변전과 문화사적 의미(2) 고려 처용가의 문학사적 해석4. 정과정Ⅱ. 경기체가1. 개관2. 개념과 생성3. 경기체가의

  • 이상곡 - 작품소개
  • [고전시가] 향가
  • 표기되어 삼국 시대 말기부터 고려 초까지 유행하였던 한국 고유의 定型詩歌를 말한다.2.2 향가의 명칭에 대한 견해⑴ 초기 ▶ 唐樂 또는 漢詩歌에 대해 우리 시가를 낮추어 부르는 말. 신라통일 후 사대 주의사상에 기인하여 발생한 당악에 대한 자국의 노래에 붙여진 명칭⑵ 근래 ▶ 자기비하적인 의식이 내재해 있지 않은 말로서 ‘나라의 노래’ 더 나아가 ‘우 리나라의 노래’로 해석☞『삼국사기』『삼국유사』등 고문헌에 쓰인 ‘鄕言’ 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