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의미고찰 및 적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향가의 의미고찰 및 적용
1. 향가의 개념
향가란 보통 중국 시가에 대한 대칭으로써 신라 초기부터 고려 전기까지의 우리의 말과 글(향찰)로 표기한 우리의 노래를 통칭한다. 향가라는 명칭 외에도 당시 도솔가, 사뇌가, 사내, 시뇌 등 여러 세분된 명칭이 사용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사뇌가에 중점적으로 향가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뇌가의 개념에 대해서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10구체 정형시 향가군을 가리키는 장르점 개념으로 받아들인다. 그 특성으로는 첫째, 전편은 3장으로 되어있으며, 제 1·2장은 각 4행으로, 제 3장은 2행으로 되어있으며 둘째, 제 3장을 ‘낙구’ 또는 ‘구’ 라고 부르며 그 첫머리에는 아야 또는 그 밖의 감탄사를 쓰는 것으로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다음에 제시되어있는 향가의 몇가지 용어를 근거로 개념에 대하여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전하고 있는 향가에 적용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향가의 용례 1)詞淸句麗, 2)其意甚高, 3)意精於詞 故云腦, 4)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5)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1)詞淸句麗 : 가사의 구절이 맑고 아름답다.
2)其意甚高 : 그 뜻이 매우 높다
이 글은 『균여전』, 譯歌現德分者에 실린 글로써 균여의 향가를 한시로 번역한 최행귀의 글의 일부에 나오고 있는 용어이다
<<詩構唐辭 磨琢於五言七子 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 論聲則隔若參商 東西易辨 據理則敵如矛盾 强弱
難分……我邦之才子名公解吟唐什 彼士之鴻儒碩德 莫解鄕謠……鄕札似梵書連布 彼士難……十一首
鄕歌 詞淸句麗 其爲作也 號稱詞腦 可欺貞觀之詞精若賦頭 堪比惠明之賦>>
한시는 중국 글자로 엮어서 다섯 자, 일곱 자로 다듬고, 향가는 우리말로 배열해서 삼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 문법교육의 연구동향과 발전방향 -문법교육의 필요성과 초등문법교육의 비판과 개선을 중심으로
  • 및 습관7차국민공통기본국어●국어의 본질-언어특성-국어특질 -국어 변천●국어의 이해와 탐구-음운 -낱말 -어휘 -문장 -의미 -담화●국어에 대한 태도-동기 -흥미 -습관 -가치●국어의 규범과 적용 -표준어와 표준 발음 -맞춤법 -문법다. 7차 국어과교육과정 언어영역 내용 체계표1학년2학년3학년4학년5학년6학년국어의 이해와 탐구언어국어(1)언어가 창조적으로 쓰임을 알기(1)언어에 규칙성이 있음 알기(2)언어가 기호임을 알기음운 (1

  •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국어(하) 1. 국어가 걸어온 길(1) 고대국어 교수-학습 지도안
  • 의미있게 배열되어 있는 체계․ 형태 ․ 음운상의 특징을 견주어 계통을 알 수 있다. ※ 첨부3. PPT 화면※ 첨부4. 판서 계획1. 국어가 걸어온 길1) 고대국어● 언어는 끊임없이 변하는 역사성을 지녔음을 설명할 수 있다.● 국어의 계통 및 형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첨부5. 교수설계모형 분석(ADDIE 모형)◆ 분석◇ 학습자분석 대상: 수원외국어고등학교 1학년 5반 학생 32명 선행지식 대단원의 첫 차시라 선수학습은

  •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
  • 목 차Ⅰ. 서론Ⅱ. 향가에 대한 고찰1. 향가의 명칭과 특징2. 향가의 형식과 율격3. 향가의 작품세계Ⅲ. 향가의 후대적 전승 및 수용1. 향가의 범위와 소멸 기준2. 향가계열 고려가요의 작품Ⅳ. 향가의 현대적 수용1. 현대시로의 변용2. 문화콘텐츠로의 변용Ⅴ. 결론Ⅵ. 참고자료Ⅰ. 서론향가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적는 향찰표기에 의해 기록되어 전하는 신라 및 고려시대의 시가를 말하는 것으로, 『삼국유사』에 실린 14수와 『균여전』에 실

  • [고전시가] 향가
  • 향가 개관1. 들어가는 말鄕歌 歌(가)는 지배계층의 노래로 특별한 훈련을 거친 사람이 부르고 악기의 반주에 맞추어 부르며, 후대에는 의미가 확대되어 일반적으로 노래를 가리키게 되었다. 반면 謠(요)는 공동체 구성원이면 누구나 부르는 피지배계층의 노래로 악기의 반주없이 부르고 정해진 曲式이 없다. 는 신라시대에 만들어지고 불려진 노래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현존하는 鄕歌는 고려 때 지어진 『三國遺事』에 기록이 되어 있으니 鄕歌 연

  • [향가] 향가 심층 고찰
  •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3마디’와 ‘6마디’는 향가중에서 어떤 詩型을 말하는 것일까? ‘3마디’와 ‘6마디’는 1行을 이루는 마디의 수이므로 자연 ‘3마디’는 短型의 가락이고 ‘6마디’는 長型의 가락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니, ‘3마디’는 종래 이른바 4句體 鄕歌의 가락이고 ‘6마디’는 8句體 鄕歌의 가락이라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는 것은 漢詩의 경우와 같이 두 詩型의 行數가 같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파악했으리라 생각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