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1.24 / 2019.12.24
  • 3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향가에 대한 고찰
1. 향가의 명칭과 특징
2. 향가의 형식과 율격
3. 향가의 작품세계

Ⅲ. 향가의 후대적 전승 및 수용
1. 향가의 범위와 소멸 기준
2. 향가계열 고려가요의 작품

Ⅳ. 향가의 현대적 수용
1. 현대시로의 변용
2. 문화콘텐츠로의 변용

Ⅴ. 결론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노래는 혜심의 <기사뇌가>로 제목에 ‘사뇌가’라는 말이 있어 먼저 흥미를 갖게 된다. 한시로는 오언 고시라 볼 수 있으나, 5언을 1행으로 보면 10행이 된다는 사실과 관련해 볼 때 본래 작품은 10행으로 된 향가인데 그것을 한시로 옮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기사뇌가>는 내용상 ‘4행+4행+2행’의 3단락으로 분단되는 10구체 향가의 전형적 형식을 갖추고 있어 궁중 악곡의 가사로 편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시기까지도 사뇌가의 형식 혹은 악곡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 2단락과 3단락 사이에 당연히 와야 할 감탄사가 한역시 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오언시로 번역하다보니 감탄사까지 고려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4) <비단가>

世人之臂長復長 세상 사람 팔은 길고도 길다
東推西推無歇辰 동서로 밀면서 쉴 때가 없네
山僧之臂短復短 산승의 팔뚝은 짧고도 짧아
平生不解推何人 평생토록 남에게 뻗을 줄도 모른다
太凡世上臂短者 세상 모든 팔이 짧은 사람은
人皆白首長如新 사람마다 평범하면서도 항상 새롭다
而況今昨始相識 더구나 어제 오늘 처음 알고서도
肯顧林下窮且貧 이 林下의 가난한 이 보살피려 하네
我臂旣長未推人 내 팔이 길었더라도 남 밀칠 줄 모르리니
人臂推我誠無因 남의 팔 나를 밀치니 참으로 이유 없네
鳴呼安得吾臂化爲千尺與萬尺 아아 어떻게 내 팔이 천 척 만 척 되어
坐使四海之內皆吾親 앉아서 천하 사람 내 친구 만들 수 있으랴

이 노래가 우리 말로 지어졌다는 사실은 앞에서 살펴본 혜심의 <기사뇌가>의 전례와 관련지어 볼 때 향가로서 먼저 지어졌던 것으로 볼 수 있어 흥미롭다. 즉 먼저 우리말로 지어 불렀다가 뒤에 한시 형태로 번역한 것이다. 또한 이 노래는 7언으로 10행이 이어진 후 감탄사가 나오고, 11언 9언이 이어진다.
<비단가>의 경우 <기사뇌가>와는 달리 감탄사까지 한역하고 있는데, 이는 7언으로 10행이 이어진 후 마지막 2행에 이르러서는 7언을 고집하지 않음으로 해서 감탄사까지 포용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기사뇌가> <비단가> 등의 작품이 한역된 채로만 전하는 것은 이와 같이 향찰이 한문화되는 추세로 인해 우리말로 지어졌다가 바로 한역되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정할 수 있다. <한송정><벌곡조><정과정곡>과 같은 그 이전의 작품들은 조선초기까지 구전되다가 한글 창제 이후에야 기록되었다고 보기는 힘들고 <도이장가>의 경우에서 보듯이 신라의 향찰에서 변화된 모습이기는 하나 향찰로 기록되어 전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민간에서 전승되던 당시에는 구전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문인층 작자에 의해 궁중 악곡으로 편입되면서 부터는 당연히 가사의 기록 단계를 거쳤을 것이다.
무신정권기 직후까지 향가가 향유되었다는 사실은 <비단가>나 <기사뇌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확인되지만, 이는 승려 작가들 사이에서의 일이고 문인들의 경우는 보다 빠른 시기에 향가를 짓지 않게 되었을 것이다. 앞에서 살폈던 것처럼 의종조의 작품인 <정과정곡> 이후로 문인층의 향가 작품은 보이지 않는데 그 가운데서도 예종의 <벌곡조>와 정서의 <정과정곡>은 민간에 전승되던 향가 형식의 노래를 차용한 것으로 생각되므로 문인층에서 순수한 창작가요로서 향가의 맥은 이른 시기에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소멸기 향가는 향찰표기의 양상이 신라시대 향가와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10구체 향가의 3분단되는 형식이 4분단되는 것과 같이 단락구조에 변동이 오면서 그 길이가 점차로 늘어나고 감탄사의 위치에 변동이 나타나는 등의 변화를 보였는데, 이 가운데 <정과정곡>에서 나타난 ‘아소님하’라는 감탄사의 존재나 단락구조의 변화 및 행수의 증가는 고려가요 가운데 향가 계열 작품의 형식을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2. 향가계열 고려가요의 작품

참고문헌
■ 논문&단행본
김광순 외, 『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2009
김선기,『옛적 노래의 새풀이』, 보성문화사, 1993
김학성․권두한, 『신편 고전시가론』, 새문사, 2007, p.106
박경주, 「계승적 관점에서의 향가-고려가요 형식 고찰」, 『관악어문연구』Vol.17,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박경주, 「고려시대 향가 전승과 소멸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시가연구』Vol.4, 한국시가학회, 1998
박노준, 「향가 (鄕歌) , 그 현대시로의 변용 - 헌화가 (獻花歌), 서동요 (薯動謠)를 대상으로」, 『한국시가연구』, Vol.5, 한국시가학회, 1999,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원용문, 「향가 명칭에 대한 논의」, 『청람어문학』, Vol.14, 청람어문교육학회,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05
이윤선, 「향가<처용가>와 고려<처용가>의 인물 변이 양상과 그 의미」, 『문학과 언어』Vol.31, 2009

■ 참고사이트
http://mybox.happycampus.com/tngusdlek99/718808
http://www.seelotus.com/frame_g.htm
http://blog.daum.net/ed-kwn/8914318
http://www.seelotus.com/frame_g.htm
http://blog.dreamwiz.com/kssu85/12485687
http://cafe.naver.com/munhakac.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2
SBS 서동요 홈페이지
(http://wizard2.sbs.co.kr/resource/template/contents/tpl_iframetype.jsp?vProgId=1000162&vVodId=V0000318149&vMenuId=1002804 )
http://blog.naver.com/i1bthere?Redirect=Log&logNo=40003312622
http://blog.naver.com/jisimy/10016631816
울산 처용 월드뮤직페스티벌, 축제 인사말(http://www.cheoyong.or.kr)

■ 인터넷 기사
불교신문(2390호/2008.1월1일자), 신년특집, 임나정 기자
(http://www.templestay.com/newsevent/temple_news_view.asp?cat_seq=7&news_seq=85022&page=21’, / )
모아진(2004), ‘창작가곡의 밤’으로 제 109회 정기연주회를 갖는 서울시합창단, 박지혜 기자
(http://olv.moazine.com/rviewer/index.asp)
데일리안 (2008.11.07), 처용가-황조가 대중가요로 다시 탄생, 이충재 기자.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33066)
한국경제(2000,06.20) ‘테크노 세상’에 온 월명스님..연출가 이윤택 신작 뮤지컬 ‘도솔가’ 공연, 장규호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246431)
익산시민뉴스, 초등생이 펼치는 ‘서동요’ 마당극
(http://blog.naver.com/uritown?Redirect=Log&logNo=60025157808)
연합뉴스(2009.05.20), [스테이지2010] 처용의 이야기 <아름다운 남자>, 강일중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oid=001&aid=0002669101)
국립극장 기자단, 처용의 노래 : 처용설화의 재해석, 진실한 사랑의 노래 - 세계 국립극장 페스티벌 국내우수작, 김주희 기자
(http://blog.naver.com/nbkmm/10069270904)
연합뉴스(2010.03.11), 울산 처용문화제 ‘처용 비보이’ 공연, 서진발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163365)
스포츠칸&경향닷컴(2007.02.11), 주몽‘男男커플’시청자도 축복, 강석봉 기자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702112128423&sec_id=540201)
연합뉴스(2006.09.15), 울산 대표축제 처용문화제 개막, 서진발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oid=130&aid=0000011154)
코카 대학생 블로그 기자단, 귀신쫒는 남자, 처용설화, 임동국 기자
(http://blog.naver.com/kocca2008?Redirect=Log&logNo=60058164772&vid=0)

*각주에서 인터넷 기사는 주소를 표시하지 않고 참고문헌에서만 표시했습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속요의 여음의 종류와 기능
  • , 『국어국문학연구』6, 원광대, 1980.장성수, 「고려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경북대 석사학위 논문, 1990.정경란, 「고려속악의 여음」,『한국학대학원논문집』제11호, 1996정경의, 「고려속가의 여음 연구」, 부산대 석사학위 논문, 1997.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 양상」,『전농어문연구』제10집, 1998정종진, 「고려속요의 존재방식으로 본 여음考」,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제12집, 2005.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 여음으로 보자고 개념 정리 하였다. 김쾌덕님은 , ,등에 쓰인 ‘나’은 여음으로 볼 수 없으며, ‘나’은 무의미어로서 조흥의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가요에서 유의어로 기능하며 문장의 주요성분이라고 밝혔다.참고문헌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양상” 「전농어문연구」 제 10집,1988김쾌덕 “여음에 대한 한 고찰” 「최동원선생회갑기념국문학논총」1983

  • [전통서정론] 고려가요
  •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정출헌.「고려가요의 층위(層位)와 그 전승양상(傳承樣相),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 1998.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 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양상」, 전농어문연구 제 10집, 1988차주환 역. 『고려사 악지』,을유문화사, 1972.최동원 외. 『한국문학개론』, 삼영사, 1992.최미정. 「고려속요의 수용사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0.황패강, 윤원식, 『한국고대가요』, 새문사, 1991.

  •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
  • 후대적 변모 양상」,『전농어문연구』 제10집,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85. 여음의 특성1) 반복성반복성은 여음에서 同韻反復과 類韻反復, 同語反覆과 類語反復 同句反復과 類句反復으로 들 수 있다. 여기에 다시 두운반복과 말운반복, 두어반복과 말어반복을 들 수 있으나 우리 고려 속요의 반복은 회귀반복이다. 제1연의 여음이 제2연에 다시 다음 제3연으로 반복 회귀하는 형태이다. 2) 음악성반복성에서 느낄 수 있는 여음들의 조화와 음

  • [고전시가작품론] 고대가요 목록
  • 향가의 해독을 위한 시론 , 『배달말』 16, 배달말학회, 1991.尹徹重, 彗星歌 硏究, 『陶南學報』 13, 陶南學會, 1991.李姸淑, 安民歌考, 『韓國文學論集』, 韓國文學會, 1991. 정영주, 향가 가림자리토씨 연구, 『建國語文學』 15,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91.지헌영, 『鄕歌麗謠의 諸問題』, 太學社, 1991.허문섭, 『고대가요.고대한시』, 大提閣, 1991.黃浿江, 慕竹旨郞歌 硏究, 『語文硏究』 21, 어문연구학회, 1991.1992나정순, 삼국유사 소재 향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