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려속여 `정과정곡`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2.03.08 / 2019.12.24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차
1. 본문 및 해석
2. 충신연주지사 <정과정곡>
• 정서는 어떤 인물인가
• <정과정>이 만들어진 배경
• <鄭瓜亭曲> 에 대한 기존의 견해
• <鄭瓜亭曲>의 해석
3. 만일 정서가 지은 정과정이 아니었다면?
• 화자는 지금 그리움에 울고 있다
• 그렇다면 화자는 임과 왜 헤어지게 되었는가
• 이 노래를 부른 화자는 과연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 꼭 ‘정서’라는 틀 안에서 해석해야 하는가


본문내용
가장 처음으로 <정과정>이 문헌에 알려진 것은 이제현(1287-1367)이 <동국사영>의 하나로 <鄭中丞謫居東萊對月彈琴>을 읊고 별도로 <소악부>에도 올리면서부터이다. 그 뒤로 민사평, 한 수 등의 유수한 고려조 시인들이 잇달아 그 시제를 따라 시를 지었을 정도로 고려조에 이미 <정과정>은 사대부 사이에서 그 처절하고 한탄 어린 곡조와 가사가 널리 알려져 있었다.
조선조에 들어서도 동래 지방과 연고가 있거나 이곳을 지나친 적이 있는 인물들이 <정과정>을 주제로 읊은 시는 끊이지 않았다. 조선 후기 이규경은 “오늘날의 정과정 계면조는 애상에 젖어서 사대부로서 배워 익히지 않는 이가 없다” 고 하였다. <정과정>에 대한 조선조 사인들의 반향을 알 수 있는 말이다. 시가 지어진지 600여년이 지난 18세기 후반에도 고려시대의 노래 <정과정>이 조선 사대부 사회에서 얼마나 많은 인기가 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기록이다. 한편, 궁중에서 악공을 시취할 때도 <삼진작 : 정과정>의 악보를 통하여 했다고 하였고, 나아가 궁중의 연회석상에서도 연행되기도 하였다는 기록은 일반 사대부뿐만 아니라, 궁중에서도 이 시가 향유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과연 <정과정곡>이 이렇게 높은 평가를 받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참고문헌
이정선, 『<정과정>의 편사와 문학적 해석』, 한국언어문화학회, 1996 p.99-133
정경주, 『정서의 생애와 충신연주지사로서의 <정과정>』, 동양한문학회, 1994
이형대, 󰡔<怨歌>와 <鄭瓜亭>의 시적 인식과 정서󰡕,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999
김풍기, 󰡔鄕歌와 高麗俗謠의 서정 표출 양상과 그 의미󰡕,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95.11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p. 360.
여기현, 『<정과정>의 향유 양상과 ‘접동새’의 문학적 변용』. 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부. 2008
강명혜,『고려속요·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북스힐. 2002.1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요점
  • 고려시대의 노래에서 파생된 곡으로 악조가 공부(공 部), 엽부(葉部),를 참고하여 에 의해 해석하면, 후반부의 엽부가 분리, 독립된 악곡으로 발 전한 것이 대엽곡의 모태로 짐작(영조때엔 세조조의 음악을 근거로 편찬한 대악후보(大樂後譜)에 만대 엽의 악보 수록은 독립된 곡으로 향유했을거라 짐작가)만대엽(16c까지 성행->중대엽(17c~18c엔 성악곡으로의 기능상실)-> 삭대엽(17c후반부터 성악곡으로 부상, 중대엽과 함께 연창되다 1

  • 고려속요 작품 조사
  • 고려가요 악장연구』, 태학사, 1997. -김명준, 『악장가사연구』, 다운샘, 2004.-김명호,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김쾌덕, 『고려속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2006.-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박태상신연우이강엽, 『국문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3. -이가원外, 『原譯 향가/여요』, 서음출판사, 1985. -이성주, 『증보 고려시대의 가요』, 민속원, 1998.-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최미리, 「高

  • [고전시가론] 가사부전속가
  • 1장. 서론속가(俗歌)는 고려시대의 「靑山別曲」ㆍ「西京別曲」ㆍ「雙花店」ㆍ「가시리」ㆍ「動動」 등과 같이 속악(俗樂)의 가사(歌詞)로 사용된, 우리말로 불려진 시가류(詩歌類)를 지칭하는 말이다. 내용상 나누어 보면 풍유의 속가, 구나의 속가, 한역속가, 가사 부전의 속가 등이 있다. 이 중 가사가 전해지지 않는 가사 부전의 속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가사 부전의 속가는 문자로 전해지지 않아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깊이

  • [고전시가론] 악장
  • 고려의 음악을 정리하여 새로운 예악을 정비하는 일이었다 실제로 집현전의 연구 활동 가운데 이에 대한 것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는 사실은 조선 왕조가 예악 정비 사업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를 시사하는 것이다.한우근․이태진 공편, ꡔ사료로 본 한국문화사ꡕ, 일지사, 1984, pp.130~131.는 점은 음악에 의한 유교 입국의 이상을 잘 반영하는 현상이다.그런데 일순간에 새로운 시가 장르를 생성해낸다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이

  • [고전시가론] 가사문학
  • 고전시가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3 @ 金壹煥, 朝鮮歌辭文學論, 계명문화사, 1990@ 류연석, 歌辭文學의 硏究, 국학자료원, 2003@ 윤덕진, 가사읽기, 태학사, 1999@ 韓國文學編纂委員會, 韓國文學槪說, 螢雪出版社, 2002@ 한종호, 가사집, 문예출판사, 2000@ 李東英,「歌辭文學의 發生的 硏究」, 석사학위논문 (고려대, 1964)@ 전태열, 「가사의 장르적 성격연구」, 학위논문 (건양대, 2004) @ http://munsu.new21.org@ http://www.korstudy.com@ http://www.ljh60.com.ne.kr45@ http://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