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1.24 / 2019.12.24
  • 38페이지 / fileicon ppt (파워포인트 2003)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서론
2.향가에 대한 고찰
1) 향가의 명칭과 특징
2) 향가의 형식과 율격
3) 향가의 작품세계
3. 향가의 후대적 전승 및 수용
1) 향가의 범위와 소멸 기준
2) 향가계열 고려가요의 작품
4. 향가의 현대적 수용
1) 현대시로의 변용
2) 문화콘텐츠로의 변용
5. 결론
본문내용
향가라는 명칭은 자기폄하의 의미가 아니라 자국의 노래, 우리노래라는 뜻으로 ‘향(鄕)’자는 본향(本鄕), 자국(自國), 우리 고유의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

개인의 서정을 노래-제망매가

생사의 길은
이에 있음에 머뭇거리고
"나는 갑니다"말도
못 다 이르고 가는 것이냐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여기 저기 떨어질 잎같이
한 가지에 나고
가는 곳 모르는구나
아아, 미타찰에 만나 볼 나
도 닦아 기다리겠다.



-월명사가 죽은 누이의 사십구재(四十 九齋)를 지내면서 부른 10구체의 노래.
-마지막 줄에서 시상의 비약을 이룩하는 다섯 줄 향가 특유의 짜임새를 아주 잘 살려, 이별의 노래가 만남을 기약하는 노래가 됨.


정과정곡

전강 내님믈 그리와 우니다니
중강 山졉동새 난 이슷요이다
후강 아니시며 거츠르신 아으
부엽 殘月曉星이 아시리이다
대엽 넉시라도 님은  녀져라 아으
부엽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2엽 過도 허믈도 千萬 업소이다
3엽 힛 마러신뎌
4엽 읏브뎌 아으
부엽 니미 나 마 니시니잇가
5엽 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괴오쇼셔


-10구체 향가를 수용하면서도 향가의 악곡과는 다른 형식의 악곡을 취하게 되면서 독창적 성격의 악곡
-<헌화가>의 다양한 수용의 이면에는 수로부인의 절대적인 미가 있음. 절대적인 아름다움이라는 것은 시인들에게 매력적인 소재로 작용.
-서정주 <수로부인의 얼굴>: 수로부인의 아름다움을 보다 우회적으로 형상화 시킨 시.
-문효치 <나의 수로>: 화가의 실패를 통해 수로의 절대적인 아름다움을 형상화.
-신규호 <당돌한 실수>: 우리가 보통 떠올리는 수로는 정숙한 귀부인의 모습을 하고 있겠지만, 위의 시에 등장하는 수로는 남성의 성적 욕망을 자극하는 여인으로 오히려 적극성을 띠고 있음.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속요의 여음의 종류와 기능
  • , 『국어국문학연구』6, 원광대, 1980.장성수, 「고려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경북대 석사학위 논문, 1990.정경란, 「고려속악의 여음」,『한국학대학원논문집』제11호, 1996정경의, 「고려속가의 여음 연구」, 부산대 석사학위 논문, 1997.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 양상」,『전농어문연구』제10집, 1998정종진, 「고려속요의 존재방식으로 본 여음考」, 한국고전연구학회, 『한국고전연구』제12집, 2005.

  • 고려속요의 여음의 기능과 특징
  • 여음으로 보자고 개념 정리 하였다. 김쾌덕님은 , ,등에 쓰인 ‘나’은 여음으로 볼 수 없으며, ‘나’은 무의미어로서 조흥의 역할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가요에서 유의어로 기능하며 문장의 주요성분이라고 밝혔다.참고문헌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양상” 「전농어문연구」 제 10집,1988김쾌덕 “여음에 대한 한 고찰” 「최동원선생회갑기념국문학논총」1983

  • [전통서정론] 고려가요
  •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정출헌.「고려가요의 층위(層位)와 그 전승양상(傳承樣相),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 1998.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 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양상」, 전농어문연구 제 10집, 1988차주환 역. 『고려사 악지』,을유문화사, 1972.최동원 외. 『한국문학개론』, 삼영사, 1992.최미정. 「고려속요의 수용사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0.황패강, 윤원식, 『한국고대가요』, 새문사, 1991.

  •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과 기능(여음의 의미, 여음의 종류, 여음의 기능, 여음의 계열별 고찰, 여음의 특성)
  • 후대적 변모 양상」,『전농어문연구』 제10집,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85. 여음의 특성1) 반복성반복성은 여음에서 同韻反復과 類韻反復, 同語反覆과 類語反復 同句反復과 類句反復으로 들 수 있다. 여기에 다시 두운반복과 말운반복, 두어반복과 말어반복을 들 수 있으나 우리 고려 속요의 반복은 회귀반복이다. 제1연의 여음이 제2연에 다시 다음 제3연으로 반복 회귀하는 형태이다. 2) 음악성반복성에서 느낄 수 있는 여음들의 조화와 음

  • [고전시가작품론] 고대가요 목록
  • 향가의 해독을 위한 시론 , 『배달말』 16, 배달말학회, 1991.尹徹重, 彗星歌 硏究, 『陶南學報』 13, 陶南學會, 1991.李姸淑, 安民歌考, 『韓國文學論集』, 韓國文學會, 1991. 정영주, 향가 가림자리토씨 연구, 『建國語文學』 15, 건국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91.지헌영, 『鄕歌麗謠의 諸問題』, 太學社, 1991.허문섭, 『고대가요.고대한시』, 大提閣, 1991.黃浿江, 慕竹旨郞歌 硏究, 『語文硏究』 21, 어문연구학회, 1991.1992나정순, 삼국유사 소재 향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