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서정론] 고려가요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9.07 / 2019.12.24
  • 3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3,6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고려가요 개관
2. 주요 작품 소개
2.1. 동동
2.2. 가시리
2.3. 서경별곡
2.4. 사모곡
2.5. 상저가
2.6. 정읍사
2.7. 쌍화점
2.8. 만전춘별사
2.9. 정석가
2.10. 처용가
2.11. 청산별곡
3. 고려 가요에 대한 논의
3.1. 명칭 및 장르론
3.2. 작자 및 수용자론
3.3. 형식 및 발생론
3.4. 형태 및 율격론
3.5. 미의식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가요(高麗歌謠)

1. 고려가요 개관

1.1. 명칭 및 개념
고려 시대 문학의 주류는 단연 한문학 이었다. 향가 문학이 쇠퇴한 후 한자에 의한 귀족들의 한시(漢詩), 시화(詩話), 설화(說話) 등의 다양한 한문학이 문학사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밖에도 경기체가, 고려가요, 시조 등의 문학이 성립되었는데 이것들은 전 시기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것들이었다. 고려 시대의 문학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고려가요 양식인데, 이 민중의 노래는 사대부 문학과 이중구조를 이루면서 조선조 평민 문학으로 그 전통을 이루고 있다.
고려가요는 고려시대에 창작된 시가로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 또는 '고속가(古俗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한림별곡(翰林別曲)〉,<관동별곡(關東別曲)〉,〈죽계별곡(竹溪別曲)〉등 한문계(漢文系) 시가는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하고,〈청산별곡(靑山別曲)〉,〈서경별곡(西京別曲)〉,〈만전춘(滿殿春)〉,〈가시리〉 등의 시가를 흔히 속요라 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광순,『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1996.
김문태,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양상」, 『조선시가연구』 제5집, 한국시가학회, 1999.
김선기, 「고려 속요의 소위 구전설에 대한 비판」,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제25집, 1994.
김종서, 『고려사절요』, 민족문화추진회, 1985.
김준영, 『한국고전문학사』(5판), 형설출판사, 1982.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김학동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김학성, 「고려가요의 작자층과 수용자층」, 한국학보 제31집, 일지사, 1983.
김학성, 『국문학의 연구』, 성대출판부, 1987.
김학성, 『한국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1997.
김학성. 「고려가요의 작자층과 수용자층」, 일지사, 한국학보, 1983.
김홍규. 「고려속요의 장르적 다원성」, 한국시가연구 창간호. 한국시가학회, 1997.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국학자료원. 1994.
성 현. 『용재총화』, 민족문화추진회. 솔, 1997.
성호주, 「고려속요의 재조명과 연구사적 반성」, 수련어문학회 수련어문논집 제12권, 1985.
유종국, 「고려속요 원형 재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99권, 1988.
이남구, 「高麗俗謠의 餘音硏究」,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82
임주탁.「수용과 전승 양상을 통해 본 고려가요의 전반적인 성격」, 진단학회. 진단학보, 1997.
장성수, 「高麗俗謠 餘音의 樣相과 機能」,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1990
전규태,『고려시대의 가요 문학』, 새문사. 1982.
정병욱,『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정출헌.「고려가요의 층위(層位)와 그 전승양상(傳承樣相),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 1998.
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 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양상」, 전농어문연구 제 10집, 1988
차주환 역. 『고려사 악지』,을유문화사, 1972.
최동원 외. 『한국문학개론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인문어학 향가의 이해
  • 고려 시대에 지어진「보현십종원왕가」는 불교의 힘으로 대중을 교화시키는 동시에 질병을 낫게 하기 위하여 지은 11수의 노래로『균여전』에 실려 있다.보현십종원왕가 11수 : 예경제불가, 칭찬여래가, 광수공양가, 참회업장가, 수회공덕가, 청전법륜가, 청불주세가, 상수불학가, 항순중생가, 보개회향가, 총결무진가2.향가집으로 「삼대목」이 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참고 문헌】김광순 외,「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김정주, 「신라

  • [시가작품론] 고려속요의 여음 - 기능과 분류
  • 고려가요에서는 흔하지 않은데 이는 고려가요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하는 노동요가 적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다른 말로 하면 고려가요 가운데 개인적인 서정을 노래한 것들이 많이 전수되었다는 것을 뜻한다.7) 대치의 기능여음으로 언어나 악기가 수행하여야 할 기능을 대치한 경우가 있다. 앞에서 여음이 시가 내의 연과 연을 구분해 주는 기능을 가졌음을 보았는데, 이때 사용된 여음들은 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것이 많다. 이를테면

  • 경기체가의 이해
  • 有美一人兮 觀其志 觀其行 俯仰 庶無愧 可使 懦夫者立 窮與達 其有命 非獨 先生之 不遇時 아름다운 이여! 뜻을 보고 행동을 살펴보매행동거지에 부끄러움 없어, 나약한 사람도 뜻을 세우게 할 만하구나.곤궁과 영달은 운명이리니, 오직 선생만이 때를 만나지 못한 것은 아니리라.Ⅳ. 주요 작품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 이론, 집문당, 1992박경주, 경기체가 연구, 이회문화사, 1996임기중 외5인, 경기체가 연구, 태학사, 1997Ⅴ. 참고문헌62

  • 가람嘉藍이병기의 이해
  • 전통적, 감각적, 회화적, 서정적 성격을 가지며 선경 후정과 시선의 이동이라는 구성방식을 취한다.3.「수선화(水仙花)」풍지(風紙)에 바람 일고 구들은 얼음이다조그만 책상(冊床) 하나 무릎 앞에 놓아두고그 위엔 한두 숭어리 피어나는 수선화(水仙花)투술한 전복 껍질 바로 달아 등에 대고따뜻한 볕을 지고 누워 있는 해형수선서리고 잠들던 잎도 굽이굽이 펴이네등(燈)에 비친 모양 더욱이 연연하다웃으며 수줍은 듯 고개 숙인 숭이숭이하이

  • [국문] [국어] 가사에 대하여
  • 서정, 서사, 희곡을 의식하면서 동시에 국문학의 특수성도 함께 고려한 것이다. 연구 초기에 조윤제가 국문학의 체계를 세우는 과정에서 2분법, 3분법, 4분법으로 수정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가 ‘가사’ 장르 때문이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른 한편으로 가사의 장르론은 곧바로 전체 국문학 체계와 직결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이어서 조동일(趙東一)은 이론으로 체계화된 획기적인 장르 이론을 세운다. 그는 ‘장르론의 원리는 장르 상호간의 관계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