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윤리교육 - 자연론적 오류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8.28 / 2019.12.24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 목 차 ==
Ⅰ. 서 론․․․․․․․․․․․․․․․․․․․․1
Ⅱ. 자연주의 이론의 오류와 결함 ․․․․․․․․․2
Ⅲ. 결 론․․․․․․․․․․․․․․․․․․․․4
※ 참고문헌․․․․․․․․․․․․․․․․․․5
본문내용
Ⅰ. 序論
自然主義는 때로 事實的 陳述에서 道德的 判斷을 이끌어 내는 이름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自然主義를 이렇게 파악하는 것은 그 이론을 너무 엉성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事實”이라는 것이 무엇인가가 매우 애매하기 때문이다. 語源上으로 보면 “事實”이라는 것은 명백히 행해진 것을 가리킨다. 이 점에서 事實은 理論이라든지 虛構라든지 의견이라는 것과 대조된다.
이렇게 보면, 아마 “事實”과 “價値”가 대조되는 것은 무엇이 가치 있는 것인가 하는 것이 意見의 문제라고 생각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러나 “먼저 고통이 惡이라는 事實을 인정하고 이야기를 시작하자”든가 “사람은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것은 명백한 事實”이라든가 하는 것은 일상 쓰는 말로서는 조금도 여러가지 않다. 또 한편, 經驗的 觀察은 推測이라든가 虛構라든가 意見의 문제가 “아닌”것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事實의 문제”라는 것이 觀察可能하다는 것과 의미상의 관련을 가지게 된 것은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
그러나 善하다든가 바람직하다든가 하는 것은 인간의 활동에서 관찰 가능하게 나타나는 事物도, 關係도, 性質도 아니며, 그 뿐만 아니라 善하다든가 바람직하다는 陳述이 관찰 가능한 것에서 직접 推論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인간의 본성에 관한 사실적 법칙 역시, 그것이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인 한, 무엇이 선하며 바람직한가를 推論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 인간은 理性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동물과 구별되기 때문에 인간은 理性을 開發 “해야 한다”는 주장은 그 주장에 內面的으로 숨어 있는 前提 - 말하자면, 인간은 다른 동물이 가지고 있지 않은 고유한 能力을 개발해야 한다는 - 가 명백히 진술되고 또 그것이 타당한 것일 때 비로소 타당한 주장이 될 수 있다.
일단 이 前提를 명백히 진술해 놓고 보면 과연 理性을 개발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물건을 붙잡을 수 있는 손가락 근육을 개발해야 할 것인가가 문제되며, 따라서 이 기본적인 근거가 무엇인가 하는 문제가 남는다. 그러면 이러한 문제가 어떻게 해석되고 비판받는지 살펴보자.

Ⅱ. 자연주의 이론의 오류와 결함
어떤 事實的 法則이라 하더라도 倫理學的 原理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을 때는 마찬가지 문제를 가지게 된다. 예컨대 홉스는 인간은 평화를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간단한 規則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 주장의 근거로서 인간은 本性에 있어서 權力에 대한 慾望과 타인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으려는 慾望, 그리고 그와 동시에 죽음에 대한 恐怖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밀은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바란다는 근거에서 인간은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들은 모두 “무엇을 해야 하는가”하는 實際的 質問에 대한 대답을, “무엇이 어떻게 되어 있는가”하는 理論的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추론하고 있다는 論理的 難點을 가지고 있다. 역사상 그러한 論議의 形式에 관한 각성이 생기기 시작했을 당시에, 흄은 오늘날의 용어로 “倫理學의 自律性”이라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倫理學 이론으로서의 自然主義는 암암리에 또는 명백하게, 前提 속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아무 것도 結論으로 導出될 수 없다는 엄격한 連續的 推論의 요구조건을 무시하는 것이다. 前提 속에 某種의 行動을 권장한다든지 某種의 嗜好를 표현하는 實際的 原理가 포함되지 않은 한, 어떻게 그런 종류의 實際的 判斷이 結論으로 도출될 수 있단 말인가?
어떤 행동이 가지고 오는 결과를 기초로 하여 그 행동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장하려고 하는 結果主義 理論도, 만약 그 행동의 결과 중에서 어떤 것이 판단에 중요한 관련을 가진다는 倫理學的 原理가 진술되지 않는다면, 앞에서 말한 것과 동일한 반론을 받게 된다. 예컨대, 날카로운 도구로 다른 사람을 찌르는 것은 그 사람에게 고통을 주기 때문에 道德的으로 나쁘다는 주장이 있다고 하자. 이 주장이 타당한 것이 되려면 고통이란 바람직하지 않다는 前提가 있어야 한다.
여기에 대하여 어떤 사람은, 그렇게 하면 그 사람이 피를 흘리게 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행동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피는 붉기 때문에, 그 행동은 이 단조로운 세상에 붉은 빛깔을 덧붙이는 결과가 되며, 따라서 그 행동은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이러한 따위의 주장은 미친 사람이나 할 수 있는 주장이라고 생각될 것이다. 그것은 고통이 最小限으로 되어야 한다는 원리가 붉은 빛깔이 最大限으로 되어야 한다는 원리보다 더 명백한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주장은 비록 미친 사람의 주장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행동의 結果 중에서 어떤 것이 도덕적 판단의 근거로서 합당한가를 밝히는 倫理學的 原理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 原理 중에서 어떤 것은 성립하고 또 어떤 것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 대하여 自然主義 理論家들은 위의 예가 곧 자기들이 강조하고자 하는 바를 부각시킨다고 답변할지 모른다. 말하자면, 結果 중에서 어떤 것이 중요하고 어떤 것이 중요하지 않은가 하는 것은 인간의 本性에 관한 “事實”이다. 붉은 빛을 내는가 아닌가 하는 結果보다 고통을 주는가 아닌가 하는 結果를 인간이 더 중요시하는 것은 바로 그 事實 때문이다. 이러한 답변에는 일면의 진리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 때문에 自然主義의 주장 전체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으로 말하여 인간이 어떤 것을 “바란다”는 사실이 곧 그것이 “바람직하다”는 충분한 근거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만약 프로이드의 말이 옳다면, 인간은 누구든지 자기의 어머니를 유혹하고 자기의 아버지를 죽이려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목 차 ==
Ⅰ. 서 론․․․․․․․․․․․․․․․․․․․․1
Ⅱ. 자연주의 이론의 오류와 결함 ․․․․․․․․․2
Ⅲ. 결 론․․․․․․․․․․․․․․․․․․․․4
※ 참고문헌․․․․․․․․․․․․․․․․․․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교육학] 교육학이론에서의 본질주의
  • 교육의 본질이 될 수 있다. 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치는 아동의 요구와 사회실재에 선행해서 존재하는 이데아 즉 이성적 사유이다. 그러므로 이성적 사유, 절대관념의 파악을 위한 지적 훈련의 중요성을 인정하게 된다. 둘째, 실재론적 본질주의는 실재론의 독립의 원리를 전제하고 있다. 즉 외적 대상이 정신작용과 관계없이 객관적으로 실재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소 유물론적이며 자연론적 입장을 포함하면서 자연과 사회현상의 객관적 법칙

  • [교육철학] 20세기 전반의 미국교육(진보주의,항존주의,본질주의,재건주의)
  • 20세기 전반의 미국교육 진보주의 ․ 항존주의 ․ 본질주의 ․ 재건주의 ▶ 목 차 ◀Ⅰ 진보주의 (progressivism)1. 진보주의의 개념2. 진보주의의 등장 배경3. 진보주의의 교육 사상4. 진보주의의 대표적 인물5. 진보주의의 교육사적 의의와 비판점Ⅱ 항존주의 1. 항존주의의 개념2. 항존주의의 등장 배경3. 항존주의의 교육 사상4. 항존주의의 대표적 인물5. 항존주의의 교육사적 의의와 비판점Ⅲ 본질주의 1. 본질주의의 개념2. 본질주의의 등장

  • 가슴속에 품어볼 만한 칸트 철학
  •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칸트의 딜레마와 관련해 삽화와 함께 이런 사례가 제시되어있다.한 여인의 집에 크게 부상당한 독립군이 몸을 숨겨달라고 부탁하며 찾아왔고 여자는 그를 숨겨주었는데, 곧이어 그를 뒤쫓는 일본군이 혹시 그가 여기 있냐고 여인에게 물었다. 이 상황에서 여인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사실을 말하면 독립군이 죽게 되므로,‘생명은 소중하다.’는 진리를 어기게 되고, 없다고 한다면 거짓말을 하게 되므로‘정직’이라는 준칙을

  • 칸트와 도덕교육
  • 교육하여야 한다는 것이다.2.사례 및 분석당신은 인간의 생명이 왜 소중하다고 생각하는가? 사실 인간의 생명이 소중해야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다만 우리가 어릴 적부터 그렇게 배워왔을 뿐이다. “인간의 생명이 소중한 이유는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런 식의 순환논리의 오류마저 범하며 우리는 무수히 인간의 생명이 소중함을 배워왔다. 어쩌면 이것을 세뇌라고 하는 편이 더 맞는 표현인지도 모르겠다. 그로 인해서 우리는 인간의 생명을 소

  • [서양의 윤리사상] 소크라테스, 아퀴나스, 칸트, 밀, 사르트르의 윤리- 인간탐구, 기독교, 의무론적, 공리주의, 상황 윤리설
  • 윤리적인 행동의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넷째, 공리의 원칙에 대한 반박이다.벤담이나 밀의 주장은 실제로 모든 사람들이 쾌락을 택하고, 고통을 피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은 쾌락을 추구해야 하고, 고통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사실이 그러니까 마땅히 그래야 한다’ 라는 논리다.이렇게 사실로부터 당위성의 근거를 찾으려고 하는 이론을 자연주의 윤리설이라고 부르고, 영국의 철학자 무어는 이것을 자연주의적 오류라고 한다.사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