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경제] 茶山 丁若鏞의 經濟改革論- 閭田論을 중심으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8.03.17 / 2019.12.24
  • 0페이지 / fileicon zip (압축파일)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졸업] [경제] 茶山 丁若鏞의 經濟改革論- 閭田論을 중심으로
하고 싶은 말
졸업논문계획서와 졸업논문이 함께 첨부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목차
目 次

1. 序 論 1

2. 茶山 이전의 土地改革論 2
2.1. 磻溪 柳馨遠의 土地改革論 2
2.2. 星湖 李瀷의 土地改革論 2
2.3. 燕巖 朴趾源의 土地改革論 3

3. 茶山의 土地改革論 3
3.1. 閭田論의 제기와 그 목적 5
3.2. 閭田論의 내용 6
3.3. 閭田論에 있어서의 士工商의 문제 7
3.4. 閭田論 구상의 한계성 8

4. 茶山과 諸土地改革論과의 비교분석 9
4.1. 茶山의 井田論과 閭田論의 關係 9
4.2. 閭田論 과 均田論 限田論과의 비교분석 10

5. 結 論 11

參 考 文 獻 13
본문내용
茶山 丁若鏞은 조선봉건왕조가 붕괴과정에 있던 18세기 후반에 태어나 오랜 관료생활과 유배생활을 통해서 당시 사회의 諸矛盾을 몸소 체험한 유교주의 관료학자였으며, 한국 실학을 집대성한 실학의 거봉으로서 우리나라 사회의 경제사상 전체에 특이할만한 업적을 남겼다. 茶山이 활동하던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엽은 국내적으로는 정치․경제적으로 협잡과 부패가 심각하였으며 이는 당쟁과 어울려 국가와 민족의 곤궁이 극에 달하여 도처에서 민란이 일고 있었다. 대외적으로는 서구의 자본주의 경제세력이 잠입되고 있었으며, 서구 정신의 본체인 기독교 사상의 이식이 이루어지고 있던 시대였다.
이와 같은 시대적 狀況에서 농촌경제는 극도로 피폐하여 농민의 생활은 곤궁이 막심함으로서 조선후기의 농업문제는 그 심각성이 날로 더해 가고 있었다. 당시 농업문제로 떠오른 중요한 문제는 권문세가와 호족들의 土地兼倂과 地主小作制에 따른 土地所有 문제가 가장 큰 문제였다. 다음으로 식장의 농민착취와 遊食兩班士族의 문제, 그리고 농업기술의 개량문제 등이 해결되어야 할 우선 과제였다. 조선왕조가 창업된 이래 壬辰․丙子 兩亂은 왕권의 정치․경제적 기반을 흔들어 놓은 치명적 外侵이었다. 이 엄청난 外侵을 겪으면서 왕토의 젖줄인 농업은 피폐해져서 回復不能의 장기적 과제로 대두되면서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위정자들은 이를 발전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들의 치부의 기호로 삼았으며, 말단 吏胥들까지 가세하여 농민은 餓死직전에 이르렀다.
이러한 때에 茶山은 선배 실학자들의 土地改革論으로는 문제의 해결을 기대할 수 없음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한층 더 철저한 관점에서 출발하고자 했다. 그의 사회개혁사상의 바탕은 바로 민의 입장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의 경제사상은 農을 천하의 근본으로 보는데 있으며, 국부의 근본 또한 농업에 있다고 보아 농업을 강조하고 農業정책의 핵심은 土地問題에 있다고 보고 있다.
참고문헌
參 考 文 獻

姜萬吉, 「韓國近代史」, 창작과 비평사, 1980
姜萬吉, 「茶山의 政治經濟思想」, 창작과 비평사, 1990.
권병탁, 「한국경제사」, 일조각, 1984.
김광진, 「다산 정약용의 사회 경제사상」, 한마당, 1989.
姜萬吉, 「茶山 土地所有觀의 硏究」,「벽사 이우성 정년기념 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하)」, 1990.
金文植, 「丁若鏞의 理想社會論」,「한국사 시민강좌」10, 일조각, 1992.
金玉根, 「韓國土地制度史硏究」, 大旺社, 1980.
金容燮, 「다산과 楓石의 量田論」,「한국사연구」 제11호, 한국사학회, 1974, 9.
金泰永, 「朝鮮時代 農民의 社會的 地位」,「한국사 시민강좌」6, 일조각, 1990.
朴宗根, 「封建社會해체기의 사회경제구조」, 청아출판사, 1982.
宋贊植, 「朝鮮後期의 農業史 연구에 대하여」, 역사학회, 1970.
愼鏞厦, 「조선왕조말기의 지주제도와 소작농민층」,「曉岡최문환박사추념논문집」, 1977
愼鏞厦, 「茶山 丁若鏞의 井田制 土地改革思想」,「김철준박사회갑기념 사학논총」, 1983.
愼鏞厦, 「茶山 丁若鏞의 閭田制 土地改革思想」,「규장각」7, 서울대도서관, 1983.
安秉泰, 「茶山의 農業經營論」,「벽사이우성정년기념 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하)」, 1990.
이영협, 「실학파의 경자유전론」,「낙원지」 14호, 건국대학교, 1979
李榮薰, 「조선후기 토지소유의 基本構造와 農民經濟」,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2.
李乙浩, 「茶山經學思想硏究」, 을유문화사, 1978.
장경학, 「實學者들의 법개혁사상」,「한국사상대계」Ⅲ,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6.
전낙희, 「조선조의 개혁사상 -율곡을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 제18집, 한국정치학회, 1984.
전병하, 「한국경제사상사」, 일조각, 1977.
鄭奭鍾, 「茶山 丁若鏞의 經濟思想 -그의 田制改革案을 중심으로-」,「이해남 화갑기념 사학논총」, 1970.
韓㳓劤, 「조선후기의 사회와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역사]조선의 실학사상
  • 茶山의 閭田法은 封建的 토지소유를 부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토지의 共同所有 , 共同耕作制를 창안함으로써 토지소유는 그 경제적 내용에 있어서 사회적인 것으로 되게 되었다. 특히 閭田法에서 농민들이 日役簿에 의하여 곡물을 지급받는 형식은 우리의 經濟思想史에 있어서 뚜렷한 創見의 하나라 할 것이다. 이러한 사상의 근거에는 民本主義와 平等思想이 깔려 있었다는 사실은 당시의 형편으로 볼 때 卓越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4 文

  • 조선의 실학사상
  • 茶山의 閭田法은 封建的 토지소유를 부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토지의 共同所有 , 共同耕作制를 창안함으로써 토지소유는 그 경제적 내용에 있어서 사회적인 것으로 되게 되었다. 특히 閭田法에서 농민들이 日役簿에 의하여 곡물을 지급받는 형식은 우리의 經濟思想史에 있어서 뚜렷한 創見의 하나라 할 것이다. 이러한 사상의 근거에는 民本主義와 平等思想이 깔려 있었다는 사실은 당시의 형편으로 볼 때 卓越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4 文

  • [교직]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레포트
  • 중심으로 모인 중국의 청도회담에서 급진 점진간의 대립 양상이 두드러짐으로써 차후의 독립투쟁에서 중대한 기로를 만들어 놓았다. 여기서 급진론을 주장한 이동휘(李東輝)등은 서북간도와 러시아령에 있는 동포의 재력과 인력을 규합하여 당장에 무력적 독립운동을 전개하자는 것이었으며, 도산 등의 점진론은 실력없는 거사의 무의미성을 지적하고 이는 또한 재외동포의 경제력과 인력만을 소모하며, 국내동포에 대한 적의 경계와 압박이 더욱 엄

  • [조선대학교]인물로보는 호남역사
  • 중심으로 강화학단의 일원. 15세에 문과에 급제한 천재성의 소유자. 병인양요 때 조부 이시원(李是遠)의 자결을 목도하였으며 서양과 일본의 침략을 철저히 배격하였다. 양명학자로서 심학(心學)의 의미를 강조하여 정치 경제도 그것에 기반을 두고 허명(虛名)을 배격하여야 하며 이웃나라에서 부강을 구하는 비주체적 개화를 극력 반대하였다. 문집 『명미당집(明美堂集)』과 『당의통략(黨議通略)』이 있다. ㆍ김택영 김택영(金澤榮, 1850~1927) : 호 창

  • [경제, 경제학사, 다산, 정약용, ] [학사논문]
  • 경제적 피폐 상황에서 농업생산력을 증대하고 이서들의 중간착취를 배제하여 국가재정의 확보와 농민생활의 향상을 위한 중요한 토지개혁안이었다. 특히 고대 정전론에 바탕을 둠으로써 자칫 후고적인 안이 될 수도 있었는데 당시 조선의 상황에 근접하는 것으로 그의 독창성이 깊이 작용한 토지제도 개혁안이라 할 수 있다. 구자원,「다산 정약용의 토지개혁론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1, p12~18.3. 여전론(閭田論)1) 여전론(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