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한국철학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3.11.26 / 2019.12.24
  • 5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6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애니미즘(animism)
정령숭배(精靈崇拜, spiritism)
토테미즘(totemism)
샤머니즘(shamanism)

단군(檀君)
고조선(古朝鮮)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고구려(高句麗)
태학(太學)
경당(?堂)
백제(百濟)
신라(新羅)
화랑도(花郞徒)
세속오계(世俗五戒)
최치원(崔致遠, 857∼?)
원효(元曉, 617∼686. 3. 30)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
무애가(無碍歌)
국학(國學)
고려(高麗)
국자감(國子監)
12도(十二徒)
최충(崔沖, 984∼1068)
의천(義天, 1055∼1101)
지눌(知訥, 1158∼1210)
진심직설(眞心直說)
돈오점수(頓悟漸修)
조계종(曹溪宗)
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태고 보우(太古 普愚, 1301∼1382.12.24)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
도참사상(圖讖思想)
안향(安珦, 1243∼1306)
조선왕조(朝鮮王朝)
성균관(成均館)
정도전(鄭道傳, 1337∼1398)
기화(己和, 1376∼1433)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
이황(李滉, 1501∼1570)
4단 7정론(四端七情論)
이이(李珥, 1536∼1584)
사화(士禍)
훈구파(勳舊派)
사림(士林)
서원(書院)
조광조(趙光祖, 1482∼1519)
향약(鄕約) 6
사색 당파(四色黨派)
동인(東人)
서인(西人)
북인(北人)
예학(禮學)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실학(實學)
유형원(柳馨遠, 1622∼1673)
박세당(朴世堂, 1629∼1703)
이익(李瀷, 1681∼1763)
홍대용(洪大容, 1731∼1783)
박제가(朴齊家, 1750∼1805)
정약용(丁若鏞, 1762∼1836)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최한기(崔漢綺, 1803∼1875)
위정척사(衛正斥邪)
동학(東學)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
천도교(天道敎)
개화사상(開化思想)
증산교(甑山敎)
원불교(圓佛敎)
신흥 종교(new religion)
본문내용
애니미즘(animism)
무생물계에도 영혼이 있다고 믿는 세계관. 물신숭배(物神崇拜)·영혼신앙(靈魂信仰) 또는 만유정령설(萬有 精靈說)이라고도 번역되는 애니미즘이라는 말은 라틴어의 아니마(영혼)에서 나온 말이다. 영국의 인류학 자 E.B.타일러가 《원시문화》(1871)에서 이 말을 처음 사용하였는데, 애니미즘적 사고방식은 ‘야만인의 철학’으로써 종교의 기원을 설명하는 동시에, 나아가서는 종교의 근본원리가 되었다고 주장한 데서 비롯된다. 타일러 에 의하면 애니미즘적 사고방식은 꿈과 죽음의 경험에서 추리되어 성립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가령 잠자고 있는 동안 몸은 원래의 자리에 그대로 있는데도 멀리 떠나 있는 꿈을 꾼다거나, 또는 죽음 직후에는 외관상 아무 변화는 없으나 살아 있을 때의 상태와는 다른 것을 느낀다. 그래서 육체와 유리되어 활동하는 원리, 즉 영혼을 상정(想定)하게 되었다. 수면과 가사(假死)는 영혼의 일시적 부재(不在)상 태이며, 죽음은 그 영원한 부재상태이다. 그러나 사람이 죽고 난 뒤에도 영혼은 독립하여 활동하기 때문에 그것을 숭배하는 데서 종교가 비롯되었으며, 동물이나 나아가서는 자연물에까지 영혼을 인정함으로써 신의 관념이 생겨났다고 한다. 이것은 타일러의 학설은 주지주의적(主知主義的) 종교관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비판을 받기도 하고, 또한 원시인에게서 꿈이 그처럼 중대한 경험인가 아닌가의 문제를 두고 논란도 있었으나, 이원론(二元論)의 사고양식을 설명하는 양식으로서 아직도 그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삼국시대 불교철학
  • 한국 불교는 이러한 역사적 조건에서 부상하는 새로운 정치 세력의 새로운 지배 이념으로 수용되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강좌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년 p.84불교의 전래와 수용 양상을 보면, 초기에는 대승불교와 소승불교가 뒤섞여 들어왔으나, 중국 교학의 영향으로 대승불교가 주류를 이루었다.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삼론(三論)을 비롯한 대승불교가 유행하였고, 신라에서 역시 열반(涅槃)화엄(華嚴) 등의 대승교학이 성하였다. 특히

  • 삼국시대 불교철학-원효
  • 철학적 사색을 진작시키기도 했다. 더구나 인도의 불교가 타국에 전파되면서 그 지역 문화와 접촉하여 다양한 변증을 시험하고, 마침내 성공적인 자기 사상의 확대 재생산을 다각도로 입증했던 것이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2. 삼국시대 불교사상( 1 ) 고구려의 불교사상고구려는 소수림왕 2년(375)에 전진의 왕 부견이 순도라는 중을 통해 불상과 경문을 전해옴으로써 불교가 전래되었다.고구려에서는 대승불교인 삼

  • 삼국시대 불교철학 - 원효, 의상
  • 한국철학사연구회,『한국철학사상사』, 한솔 아케데미 231, 1997, p602. 고구려의 불교철학고구려는 소수림왕 2년(372)에 전진(前秦)의 왕 부견(膚見)이 순도(順道)라는 중을 통해 불상과 경문(經文)을 전해옴으로써 불교가 전래되었다. 이어서 아도(阿道)와 담시(曇始)가 내화(來化)함으로써 불교가 점차 민간에 보급되었다. 그러나 이에 앞서 진(晉)나라 지둔도림(支遁道林, 314~366)이 고구려 도인(道人)에게 서신을 보내 축도잠(竺道潛)의 도덕을 칭찬한 일

  • 고대철학사상에 대한 남북한 연구의 비교
  • 한국철학사는 일관된 관점이 없는 논문집의 성격을 띤 것이 많으나 그 중 일관된 관점을 유지했다고 여겨지는 몇 몇 한국철학사를 알아본다.먼저 현상윤의『조선사상사』(1949)는 가장 이른 시기에 나온 철학사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조선의 사상이 서로 관련이 없고 “그들의 기록은 오직 행장식생장록 전기가 될 뿐이요 사상의 방식이나 본질에 무슨 보탬이 될 만한 문자는 전혀 찾아 볼 도리가 없었다.” 현상윤,『조선사상사』, 1949(서울; 민족문화사

  • 삼국시대의 철학-유학과 도가와 불교
  • 삼국시대의 철학-유학과 도가와 불교一 유학 1. 유학의 전래와 수용일단 학술 사상으로서 유학은 공자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자 이전의 중국 문화를 곧 유학으로 이해하는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공자 이후도 마찬가지이다. 유학이 중국 사상의 주류가 되는 것은 동중서(董仲舒)의 건의로 한 무제가 유학을 국교화한(기원전 136년) 뒤의 일이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강좌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년 p.115-116유학의 본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