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고산 윤선도와 어부사시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8.31 / 2019.12.24
  • 2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6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1. 연구사 검토
2. 연구 방향

Ⅱ. 본론
1. 작가론
1) 윤선도의 생애
2) 윤선도를 언급한 기록들
3) 윤선도가 남긴 작품들

2. 작품분석
1) 어부사시사
(1) <어부사시사>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2) <어부사시사> 전문 해석
(3) <어부사시사> 본문 풀이

3. 어부사시사의 특징
1) 형태적 특징
2) 내용적 특징
3) 표현적 특징

4. <어부사시사>와 <어부가>의 비교

5. <어부사시사>에 던져진 의문들

6. <어부사시사>의 현대적 수용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8.
乾건坤곤이 제곰인가 이거시 어드메오
매여라 매여라
西셔風풍塵딘 몯미츠니 부체야 머엇리
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사臥와
드론 말이 업서시니 귀시서 머엇리

건곤이 제가끔 몫인가 이것이 어디멘고
배 매어라 매 매어라
서풍 먼지 못 오는데 부채하여 무엇하리
들은 말 없었으니 귀 씻어서 무엇하리.

9.
옷 우희 서리오 치운 줄을 모로다
닫디여라 닫디여라
釣됴船션이 좁다 나 浮부說셰과 얻더니
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臥와
일도 이리 고 모뢰도 이리 쟈

옷 위에 서리오되 추운 줄을 모르겠구나
닻 지어라 닻 지어라
낚싯배 좁다 하나 뜬 세상과 어떠한가
내일도 이리하고 모레도 이리하자.

10.
松숑間간石셕室실의 가 曉효月월을 보쟈 니
브텨라 브텨라
空공山산落락葉엽의 길흘 엇디 아라볼고
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사臥와
白雲운이 좃차오니 女녀蘿라依의 므겁고야

솔 사이 석실에 가서 새벽달을 보자 하나
배 붙여라 배 붙여라
빈 산 낙엽에 길을 어찌 알아볼꼬
백운이 따라오니 걸친 옷이 무겁구나.

동사(冬飼)

1.
구룸 거둔 후의 빋치 두텁거다
떠라 떠라
天텬地디閉폐塞 호 바다흔 依의舊구다
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사臥와
업슨 믉결이 깁편  여잇다

구름 걷은 후에 햇빛이 두텁구나
배 떠라 배 떠라
천지 막혔으나 바다는 그대로구나
가없는 물결이 비단을 편 듯 하여 있다.

2.
주대 다리고 밥 뱃틈에 박는 물꼬
을 박앋냐
닫드러라 닫드러라
瀟쇼湘샹洞동庭뎡은 그믈이 언다 다
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사臥와
이때예 漁어釣됴기 이만한  업도다

낚대 챙기고 뱃밥은 박았느냐
닻 들어라 닻 들어라
소상강이며 동정호는 그물이 언다 한다
이때에 고기잡기 이만한 데 없도다.

3.
여튼 갣 고기들히 먼 소 다 갇니
돋다라라 돋다라라
져근덛 날 됴흔 제 바탕의 나가보쟈
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사臥와
밋기 곧 밋기 곧 : 미끼만
다오면 굴근 고기 믄다 다

옅은 갯벌 고기들이 먼 소에 다 갔으니
돛 달아라 돛 달아라
잠깐 날 좋은 때 바다에 나가 보자
미끼가 좋으면 굵은 고기 문다 한다.

4.
참고문헌
김영석,『고교 문학텍스로서의 '어부사시사' 고찰』, 인천대 교육대학원. 2003.
류연석,「시조와 가사의 해석」, 도서출판 역락, 2006.
문영오, 「고산윤선도연구」, 태학사, 1983
원용문, 「윤선도 문학연구」국학자료원, 1992
이상원,「17세기 시조사의 구도」, 월인. 2000.
이상원,「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작」,보고사, 2001.
이재수, 「윤고산연구」,학우사, 195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 시조(時調)
  •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1996. 신웅순, 「시조분류고」, 『한국문예비평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4., 『현대시조시학』, 문경출판사, 2001.신은경, 「기녀시조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2004.오승은, 「사설시조의 성격」, 국민대 교육대학원, 2008.원용문, 「사설시조의 형태구조 연구」, 『시조학논총』제23집,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의 개념 문제」,『청람어문교육

  • 시조 - 명칭과 개념, 기원, 발생시기
  • 가론 밧 돌피 나니치 노란 욋곳 튼 피 누 아 나 두고 건 밧 메곳 튼 며리를 어듸를 낫바 시고■ 窓(창) 내고쟈 窓(창)을 내고쟈 이 내 가슴에 窓(창) 내고쟈窓(창) 내고쟈 窓(창)을 내고쟈 이 내 가슴에 窓(창) 내고쟈고모장지 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암돌져귀 수돌져귀 목 걸새 크나큰 쟝도리로 둑닥 바가 이 내 가슴에 窓(창) 내고쟈잇다감 하 답답 제면 여다져 볼가 노라

  •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
  •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2003.․ 이광식, 『우리 옛시조 여행』, 가람기획, 2004.․ 정재호, 『한국 시조 문학론』, 태학사, 1999.․ 정흥모, 『조선후기 사대부 시조의 세계인식』, 月印, 2001.․ 김광순 외 15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5․ 농암종택 : http://www.nongam.com․ 영어시조 : http://blog.naver.com/poetrysun?Redirect=Log&logNo=88904716․ 도산서원 : http://www.dosanseowon.com․ 유교문화 박물관 : htt

  • [고전시가론] 고산의 `어부사시사` 분석
  • 한국고전시가론고산의분석-고산의 삶과 자연관 중심으로-Ⅰ. 서론Ⅱ. 윤선도의 삶1. 시대상황 및 생애2. 유배와 은거생활Ⅲ. 윤선도의 자연관1. 순수 자연관2. 유가적 자연관3. 도가적 자연관Ⅳ.작품론1.창작배경2.분석3. 의 자연관4.후대수용양상 및 갈래 논란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전편Ⅰ. 서론고산 윤선도(1587(선조20)∼1671(현종12))는 조선

  • [고전시가론] 시조의 향유층과 흐름에 관한 고찰
  • 속에 千里님 보거고나꿈깨어 다시금 生覺하니 눈물겨워 노라時時로 生覺니 눈물이 몃 줄기오北天 霜雁이 어느 때에 도라 올고두어라 緣分이 未盡하면 다시 볼가 노라 - 강강월❋참고문헌 및 사이트고전시가론, 방통대출판부 -이광식-신연우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http://www.seelotus.com/ (시조원문발췌)농가구장 : http://blog.paran.com/desireu/10225446강강월의 시조 : 카페 시와시인의 간이역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