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사론] 사대부 가사와 강호가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8.27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ⅰ) 들어가며


ⅱ) 사대부가사와 강호가사의 한정

⇨ 사대부가사

⇨ 강호가사

Ⅱ. 본론

Ⅱ-1. 조선 시대의 사대부 가사와 강호가사.

ⅰ) 사대부가사

ⅱ) 강호 가사

Ⅱ-2. 예문 분석

ⅰ) 상춘곡(賞春曲) - 정극인(丁克仁)

ⅱ) 면앙정가

ⅲ) 성산별곡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면앙정가

<면앙정가>는 1524년 송순이 벼슬길에서 물러나 고향인 전남 담양에 '면앙정'이라는 정자를 짓고 아름다운 자연을 벗 삼아 살면서, 자연 속에서 누리는 풍류 생활을 노래한 서정적 강호가사이다. 총 146구로 구성되며, 대자연 속의 풍류적 삶을 호방한 어조로 읊고 있다. 표현이나 정조, 어구 등으로 보아 정철의 <성산별곡>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리라 짐작되며, 세련된 언어와 다양한 수사법 등이 뛰어난, 가사의 효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면앙정가>가 도교적 요소를 드러내는 구절은 다음과 같다.

1) 쉴 사이 업거든 길히나 젼하리야. 다만 한 靑藜杖(청려장)이 다 므듸여 가노매라
-> 쉴 사이도 없는데 길을 가르쳐 줄 틈이 있으랴

흥취를 즐기기에 바빠서 면앙정으로 오는 길을 알려 줄 시간도 없다는 뜻으로 해할 수 있다. 이는 더 나아가 자연을 벗하며 사는 삶의 도(道)를 알려줄 여가가 없다는 의미로 확장 해석된다. 유교적 공리주의보다는 도가적 개인주의의 태도가 나타나는 부분이다.


2) 神仙(신선)이 엇더턴지 이 몸이야 긔로고야.
->신선이 어떤 것인지 몰라도, 이 몸이야말로 신선이구나

'신선'은 도교에서 이상향으로 여기는 '무릉도원'에 거주하는 신으로, 도의 체득을 목표로 삼는 도교에서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르침을 제시하는 친근한 신이자 지향되어야 할 긍정적 모습으로 나타난다. 자신을 신선이라고 칭하는 이 구절은, 도교의 화신인 신선과 자신이 합일하였다는 의미에서 도교적 요소가 드러나고 있다.

3) 江山風月(강산 풍월) 거나리고 내 百年(백 년)을 다 누리면 岳陽樓(악양루) 상의 李太白(이태백)이 사라오다. 浩蕩(호탕) 情懷(정회)야 이에서 더할소냐. 이 몸이 이렁 굼도 亦君恩(역군)이샷다.
-> 아름다운 자연을 거느리고 내 평생을 다 누리면 악양루 위의 이태백이 살아온들 넓고 끝없는 회포가 이보다 더할소냐. 이 몸이 이러한 것도 임금의 은혜 덕분이다.

'이태백'은 도교에 심취하여 일생을 자유와 이상을 찾아 방랑하며 시적 환상의 세계에 탐닉
참고문헌
최상은, <조선 사대부가사의 미의식과 문학성>, 보고사, 2004
이승남, <사대부가사의 갈등표출 연구>, 역락, 2003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고전문학사] 중세 후기 문학 -제2기 조선전기
  • 중세 후기 문학제2기 조선전기1)조선왕조 한문학의 정착(1)전반적 양상(2)정도전, 권근, 변계량(3)원척석과 길재(4)조운흘에서 유방선까지(5)한문학 작품 집성2)훈민정음, 서사시, 언해(1)훈민정음(2)(3)(4)(5)언해3) 악장, 경기체가, 가사(1)세 노래의 상관관계(2)악장(3)경기체가(4)사대부가사(5)정철의 작품(6)여성가사4)시조의 정착과 성장(1)왕조창건기의 시조(2)강호로 물러나는 전환기(3)영남가단

  • 가사의 담화 양식(관습, 의미, 주제적, 서정적, 서사적)
  • 가사는 4음 4보격이라는 율격장치 외에는 특별한 장르적 제한요건을 요구하지 않는 개방성으로 인해 폭넓은 주제를 담은 다양한 작품을 생산하고 축적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 향유방식에 있어서는 음영을 중심으로 가창과 완독의 방식을 융통적으로 운용하며, 향유문화권에 있어서도 장르 발생 이후 사대부권에서 주도적으로 향유되다가 후기에 이르면 점차 규방과 여항에 걸쳐 확산되는 개방적 문화현상을 드러낸다. 그 동안 가사문학은 장르론, 발

  • [국문학선독] 노계 박인로 - 생애와 문학세계
  • 론 달빛은 초가를 뚫고,대나무에 부는 바람은 돌 제단을 쓸다.깊숙한 고장에 사람도 오지 않고,산새들만 한가로이 날아 오간다.○ 또겹겹이 쌓인 푸른 산 아래시내를 좇아 두어 칸 집을 지었네.바람이 맑아 여름나기 좋으나솔이 푸르므로 봄을 여희기 어렵네.○ 시조어화 아해들아 후리치고 가자스라전원이 뷔엇거니 엇지 아니 가로소냐도천상 명월청풍이 날 기다리기 오리니라○ 연옥정강 가의 정자에 가을이 이미 저무니,경치가 가장 그럴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개념과 범주, 잡가의 분류, 잡가의 담당층, 잡가의 장르적 서겨, 잡가의 연구 시기에 따른 갈래 규정에 관한 논의)
  •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목 차 ◆< 서 론 >< 본 론 >1. 개념과 범주2. 잡가의 분류3. 잡가의 담당층3.1 잡가의 속성으로의 서민적 정서- 유흥성 추구- 본성적 욕구 표출- 사대부적 정서의 모방3.2 정서 표출의 양상4. 잡가의 장르적 성격- 잡가와 가사. 판소리 선율 양식 비교4.1 가사와 판소리의 선율양식4.2 12잡가 선율분석5. 잡가의 연구 시기에 따른 갈래 규정에 관한 논의< 결 론 >< 참 고 문 헌>< 서 론 >잡가는 다른 시가양식처럼 규격화

  • 영남가단의 강호가도와 호남가단의 풍류정신
  • (삼영사, 1980)4. 조동일,『한국문학통사2』(지식사업사, 1994)5. 丁益燮,『湖南歌壇硏究』(주)민문고, 19896. 黃敗江 外,『韓國文學作家論Ⅱ』(螢雪出版社, 1986)7. 沈載完 編著,『古時調全書』(世宗文化史,1976)8. 李敏弘,『士林文學의 硏究』(螢雪出版社, 1987)9. 張德順,『韓國文學史』(圖書出版 박이정, 1975)10. 趙潤濟 編,『陶南趙潤濟全集4』(태학사, 1988)11. 조동일,『우리문학과의 만남』(홍성사, 1978) 영남가단의 강호가도와 호남가단의 풍류정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