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상연구]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1.04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에 대한 연구입니다. 정성스럽게 작성한 글입니다. 여러 참고문헌에 의한 객관적인 자료이니 실질적인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강추.
목차
(한문)
Ⅰ. 序

Ⅱ. 金剛三昧經
1. 의의
2. 金剛三昧經의 성립에 관한 여러 견해
3. 金剛三昧經에 대한 원효의 자세

Ⅲ. 金剛三昧經論 기초
1. 宋高僧傳의 金剛三昧經論 연기설화
2. 金剛三昧經論의 구성

Ⅳ. 金剛三昧經論의 중심사상
1. 의의
2. 一味觀行
3. 十重法門

Ⅴ. 結

(한글)

Ⅰ. 서

Ⅱ. 금강삼매경
1. 의의
2. 금강삼매경의 성립에 관한 여러 견해
3. 금강삼매경에 대한 원효의 자세

Ⅲ. 금강삼매경론 기초
1. 송고승전의 금강삼매경론 연기설화
2. 금강삼매경론의 구성

Ⅳ. 금강삼매경론의 중심사상
1. 의의
2. 일미관행
3. 십중법문

Ⅴ. 결
본문내용
Ⅱ. 金剛三昧經

1. 의의

《金剛三昧經》은 7세기 중엽 신라에서 처음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 경전이며, 이 경전에 대하여 최초로 주석한 사람이 원효이다. 《宋高僧傳》에 나타나 있는 연기 설화에 의하면, 이 경전의 출처는 용궁이며, 신라의 大安에 의하여 편집된 것이라고 한다. 경전의 출처로서 용궁을 언급하는 것은 대승 경전에 흔히 보이듯이 경전의 권위를 세우려는 것이다.
이 경의 제목에는 세 가지가 있다. 攝大乘經, 金剛三昧, 無量義宗이 그것이다. 金剛이란, 비유하여 일컫는 말로 단단함을 체성으로 삼고, 꿰뚫고 깨뜨림을 공능으로 삼는다. 三昧란, 번역하면 正思로, 깊이 살피고 바르게 생각하는 것이다.

2. 《金剛三昧經》의 성립에 관한 여러 견해

(1) 미즈노 고오겐의 견해
《金剛三昧經》이라는 경명이 나타나는 것은 4세기 후반부터이다. 梁 僧祐(445~518)의 《出三藏記集》에는 道安(312~385)의 일부 목록인 《新集安公凉土異經錄》을 수록했는데, 여기에 이 경이 처음으로 보인다. 이후 여러 경록에서 《金剛三昧經》의 존재가 확인되므로, 이들을 종합하여 4세기 후반 《金剛三昧經》이 번역되어 6·7세기에 잃어버렸고, 7세기 후반 신라에서 재발견된 후 다시 중국에 유통되었다고 보면 그만이다.
그러나 1955년 미즈노 고오겐은 〈보리달마의 이입사행설과 금강삼매경〉이라는 논문에서 다음의 두 가지를 지적하며, 《金剛三昧經》의 진위 여부를 논의에 부쳤다. 첫째는 《반야심경》에 대한 해석에서 현장 역 이후에만 나타나는 네 가지 주, 즉 大神呪와 大明呪와 無上明呪와 無等等呪가 《金剛三昧經》에 언급되어 있다는 것과, 둘째로 《唯識三十頌》에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第七識을 末那라고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에 근거하여 《金剛三昧經》의 성립은 648년 이후여야 하며, 원효가 이것을 주석한 시기는 655년 전후로 보았다. 앞의 책, p.9 그리고 이 경이 편찬된 곳으로 중국의 산동이나 요동 지방을 거론하기도 했다. 이후 《金剛三昧經》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의가 김영태, R. E. Buswell 등 에 의해 다시 제기되었다.
참고문헌
이기영, 《元曉思想硏究Ⅰ》, 한국불교연구원, 1994
은정희·송진현 譯註, 《원효의 금강삼매경론》, 일지사, 2000
최유진, 《원효사상연구》, 경남대학교출판부, 1998
남동신, 《원효》, 새누리 출판, 1999
김상현, 《元曉硏究》, 民族社, 2000
조동일, 《한국문학사상시론》 제2판, 지식산업사, 199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삼국시대 불교철학-원효
  • 원효의 현존 저술로 볼 때에는 불교 내의 이론적 다툼이다. 유학이나 도교에 대한 것은 없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 137p ~ 138p원효는 늘 부분적으로 보는 것과 한정짓는 것을 경계한다. 광대심심(廣大甚深) 심원무한(深遠無限) 한 열반의 경지에서는 어느 하나를 버리지 않고,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둘 다 받아들이는 것으로도 보이고 둘 다 버리는 것으로도 보인다. 그 이유는 부처의 여러 가르침이 나

  • 여래장사상연구 원효의 한마음
  • 원효의 한마음 (一心)」<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원효의 생애2) 원효의 一心 사상① 一心 : 歸一心源② 대승보살의 실천 : 饒益衆生(無碍行)Ⅲ. 결론□ 참고문헌Ⅰ. 서론 원효가 대승불교 전반에 걸쳐 화쟁주의 관점에서 저술을 남겼기 때문에,“원효의 사상은 이렇다”라고 특정하기가 쉽지 않다.“원효사상의 핵심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원효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란 중이다. 그런 가운데 학자들의 논의는, 원효의 저술

  • [철학]한국철학사
  • 원효(元曉)의 사상적 기반이 있었으므로 의천이 천태종을 개창할 수 있었고, 지눌도 의천의 사상적 통 일 경험과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조계종의 사상체계가 수립된 것이다. 조계종도 고려 후기 사회의 모순을 시정하는 원동력은 못되었으나 교리상의 발전으로 불교계에 신풍을 불러일으켰다.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 중앙의 최고교육기관. 607년 중국 수(隋)나라에서 창시되어 고려에서는 992년(성종 11) 태조 이 후 교육기관이던 경학(京學)을 국자감

  • [종교학]원효의 대승불교적 수행론
  • 원효(元曉)의 대승 불교적 수행론서론 원효의 대표적 저술로 간주되는 『대승기신론소(大乘起新論疏)』와 『별기(別記)』의 내용을 기초 자료료 하여 원효의 대승 불교적 수행론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원효의 대승 불교적 수행론은 그의 일심(一心) 사상을 이론적 기초로 삼고 있으며, 그의 일심(一心) 사상 및 그의 각(覺) 사상과의 연관 속에서 그의 수행론이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수행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심이문삼대(一心二門三大)로

  • 원효의 생애와 사상
  • 원효의 이러한 해석은출현의 시기에 인도 불교사상계에서 중관파와 유가파가 서로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었던 사실에도 부응한다.원효를 거의 그대로 답습한 법장은 이 점에 있어서는 견해를 달리하여 을 여래장연기종(如來藏緣起宗)이라 판석했다. 원래 여래장사상은 중국 화엄종의 선구인 지론종(地論宗) 남도파(南道派)들에 의해 성하게 연구되어왔던 것으로 화엄종의 제3조인 법장은 이 지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