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최부의 표해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9.25 / 2019.12.24
  • 2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4,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표해록 요약

2. 표해록과 송환절차
1) 표류민 송환의 의미
2) 동아시아의 송환절차의 특징

3. 표해록에 나타난 대운하
1) 대운하의 역사적 배경
2) 최 부와 미산만익비(眉山萬翼碑)

4. 홍치중흥(弘治中興)을 통해본 조선인의 중국인식
1) 공직사회의 기강해이
2) 사상의 차이

5. 중국인의 조선인식

6. 孝와 忠 사이에서의 갈등

7. 사림(士林)으로서의 최 부의 모습

8. 중국의 지리․문화 소개

9. 표해록의 유통

10. 여타 표류기록과 최 부의 표해록
1) 시대적 비교
2)표류지역별 비교
3) 표류민의 계층적 차이

11. 표해록의 의의

12. 맺음말

13. 질의 및 답변
본문내용
1. 표해록 요약
제주삼읍추쇄경차관(濟州三邑推刷敬差官)으로 제주에 파견된 최 부는 서기 1488년 (성종19년, 明 弘治元年, 1488년) 윤 정월에 부친상을 당해 서둘러 본토로 돌아오던 중 풍랑을 만나 추자도 앞바다 부근에서 표류하기 시작하여 13일간 폭풍우와 기아와 기갈로 죽을 고비를 몇 차례나 넘기면서도 간신히 명(明의) 절강성 임해현에 도착하게 된다. 황해의 넓은 바다에서 죽을 고비를 몇 번이나 넘기고 영파부에 도착한 뒤에도 해적에게 모든 물품을 강탈당하고 바다에 버려져 다시 표류하다가 명의 요새를 지키던 병사들에게 구조된 후에도 병사들의 심상치 않은 기색을 느껴 배를 버리고 육지로 도망친 최 부 일행은 절강지방 주민들에게 왜구로 오인을 받아 주민에 의해 관아로 호송하던 중 물품을 뺏기고 구타당하는 등 갖은 고생을 겪다가 명나라 관리에게 인계된다. 절강성의 도저소, 소흥, 항주에서의 세 차례에 걸친 심문을 받고나서야 왜구의 누명을 벗은 후 조선으로 송환되는 절차를 밟기 위해 항주에서 북경으로 떠나게 된다
참고문헌
박원호,『표해록역주』,「고려대학교 출판부」, 2006
최 부(옮긴이 서인범),『표해록』,「한길사」, 2004
박원호,『최부 표해록 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 2006
李秉烋,『朝鮮前期 士林派의 現實認識과 對應』,「一潮閣」, 1999
김영원외,『항해와 표류의 역사』,「솔」, 2003
두 외국인의 눈에 비친 15․, 16세기의 중국 -洪性鳩
大運河發展史 : 長江から黃河へ / 星斌夫 譯注 平凡社, 1982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제주] 제주지역(제주도)의 의식주, 제주지역(제주도)의 역사, 제주지역(제주도)의 세시풍속, 제주지역(제주도)의 어업, 제주지역(제주도)의 관광명소, 제주지역(제주도)의 향약, 제주지역(제주도)의 표해록 분석
  • 표해록1. 연행록선집 소재 금남표해록1) 저술과정대청 관계의 사행록인 연행록(燕行錄) 선집에는 최부의 금남표해록이 수록되었다. 이 표해록은 성종의 찬진(撰進) 명령에 따라 기록된 것으로서 모두 3권으로 되어 있다. 최부는 서울에 되돌아온 후 남대문 밖 청파역(靑坡驛)에 여러 날을 머물면서 중국에서 견문한 것을 일기로 찬진하였다. 이러한 표해록이 나오기까지는 문사로서 그가 겪은 사실들에 대해 간단하게나마 기록해둔 것이 그 바탕이 되

  • [국어국문 호남문학 15세기] 15세기 호남 문학 파워포인트
  • 최부의 표해록 ▶최부崔溥, 1454~1504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 자(字) 연연(淵淵), 본관 탐진(耽津) - 나주에서 진사 택(澤)의 아들로 1454년에 출생 - 성균관학유를 지내다가 조선 개국 후 광주목사 이후 경기도관찰사, 예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 - 1439년 공조판서, 이듬해 좌참찬 이어 이조 공 조 판서을 지냄 1487년 추쇄경차관으로 제주에 재임중이던 최부가 이듬해 정월 부친상을 당해 급히 돌아오다가 풍랑을 만나 중국 저장성浙江省 닝보

  • 성리학(주자학)전개, 성리학(주자학)인물성동이론,이기철학, 성리학(주자학)제언
  • 변화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금종진, 여말 사대부의 성리학수용과 문학의 양상, 고대석사학위 논문, 1981◈ 신천식, 고려후기 성리학의 수용과 교육사상, 명지대학교 출판부, 1998◈ 이남영, 쟁점으로 본 한국 성리학의 深層, 한국사상의 深層 연구, 우석, 1986◈ 이원명, 고려시대 성리학 수용 연구, 국학자료원, 1997◈ 정인재, 원대의 성리학, 동양문화19, 1979◈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의 성리학과 농민, 한국사강의, 한울, 1989

  • 이종범 사림열전
  • 최부, 박상, 유희춘, 박순 등 학문적 업적과 정치적 역할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선비들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임금과 신하가 토론하던 경연, 정치현안을 둘러싼 갈등, 신하들 내부의 움직임 등 16세기 당시의 정치적 지형을 재구성하고 소상히 묘사하였다. 당시에 활약한 조선 사림들을 뽑아 그들의 면면을 살펴보며, 이들이 형성한 16세기의 시대정신을 추적하는 책이다.또 조의제문을 사초에 기록한 것을 구실 삼은 조선조 첫 사화인 무오사화, 연산

  • [성리학] 성리학의 기본이념, 성리학적 인간 이해, 고려말 성리학과 조선초의 성리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유교정치, 조선시대 성리학과 사림파, 조선후기 성리학의 전개와 그 한계에 관한 분석
  • 등장하는 것이 바로 조선후기의 실학이다.참고문헌 김항수(1994), 조선전기의 성리학, 한국사 8, 한길사 고영진(1996), 성리학의 연구와 보급, 한국사 28, 국사편찬위원회 고혜령(2001), 고려후기 사대부와 성리학 수용, 일조각 변동명(1995), 고려후기 성리학 수용 연구, 일조각 황의동(1995), 한국의 유학 사상, 서광사 한국역사연구회 엮음(1999), 한국역사입문2, 풀빛 한국종교연구회(1998), 2장 I-6, 성리학의 도입, 한국 종교문화사 강의, 청년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