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해록 - 최부 레포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 표해록 - 최부 』
Ⅰ. 공통작성 사항
1. 최 부는 누구인가.
표해록의 저자인 최 부(崔溥. 1454∼1504)의 자는 연연(淵淵), 호는 금남(錦南)이다.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김종직(金宗直) [金宗直 1431∼1492(세종 13∼성종 23)] 조선 전기 문신. 자는 효관·계온, 호는 점필재.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의 학풍을 이은 아버지로부터 수학, 후일 사림의 조종(祖宗)으로 문장·사학(史學)에도 두루 능하였으며, 절의를 중요시하여 도학(道學)의 정맥을 이어가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의 문인이다. 1482년(성종 13)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하고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에 경서(經書)의 인쇄와 향축(香祝)·인전(印篆) 등을 담당한 관청.
의 저작·박사·수찬 등을 지냈으며, 1485년 동국통감(東國通鑑) 고조선(古朝鮮)부터 고려 말까지의 편년사(編年史). 1463년(세조 9)에 왕이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양성지(梁誠之) 등에게 명하여 1484년(성종 15)에 서거정(徐居正) 등에 의해서 완성되었다.
, 1486년 홍문관교리로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1530년(중종 25) 중종의 명에 의해 이행(李荇)·윤은보(尹殷輔)·신공제(申公濟) 등이 펴낸 관찬지리서.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87년 제주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 도망 온 범죄인을 심판하러 오는 관리
이 되어 부임하였다가 부친상으로 돌아오던 중 표류하여 중국 명(明)나라를 거쳐 6개월 뒤 귀국하였다. 그때의 경험을 성종의 명으로 《표해록(漂海錄)》을 찬술하였는데, 중국 연안의 해로·산천·기후·민요·풍속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특히 수차(水車)의 제작과 이용법을 배워 충청도 지방의 가뭄 해소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 1498년(연산군 4) 김일손(金馹孫) 등 신진사류(新進士類)가 유자광(柳子光)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勳舊派)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사림파(士林派)가 중앙에 등용되어 관계(官界)에 나온 것은 성종 때부터로 그 중심인물은 김종직(金宗直)이었다. 그는 임금의 신임을 얻어 자기 제자들을 많이 등용하고 주로 3사(三司;司諫院·司憲府·弘文館)에 은밀한 세력을 갖게 되었다.
때 함경남도 단천(端川)에 유배되었고,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燕山君)의 어머니 윤씨(尹氏) 복위문제로 일어난 사화. 성종비 윤씨는 왕비의 체통에 벗어난 행동을 많이 하였다는 이유로 성종은 1479년(성종 10) 윤씨를 폐출시켰다가 3년 후에 사사(賜死)하였다.
에 참형(斬刑)을 당하였다.
2. 표해록의 모든 것
≪최금남표해록 권지1의 원본≫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국문 호남문학 15세기] 15세기 호남 문학 파워포인트
  • 최부의 표해록 ▶최부崔溥, 1454~1504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 자(字) 연연(淵淵), 본관 탐진(耽津) - 나주에서 진사 택(澤)의 아들로 1454년에 출생 - 성균관학유를 지내다가 조선 개국 후 광주목사 이후 경기도관찰사, 예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 - 1439년 공조판서, 이듬해 좌참찬 이어 이조 공 조 판서을 지냄 1487년 추쇄경차관으로 제주에 재임중이던 최부가 이듬해 정월 부친상을 당해 급히 돌아오다가 풍랑을 만나 중국 저장성浙江省 닝보

  • [국문학] 바다에 대한 문학 주제학적 연구-초월과 현실의 양면성을 중심으로
  • 최부: 현실적 공간‘표해록(漂海錄)’류 : 바다에 표류한 경험바다 : 현장감, 생사의 공간(공포, 절박함)현대의 바다와 연관(극복대상, 삶을 위해 헤쳐나가는 공간)바다 건너가 아닌 바다 그 자체에 주목(바다 vs. 육지)조선시대큰 바다 가운데로 표류해 들어갔다. 이 날은 비와 우박이 오고 큰 바람이 불었다. 놀란 물결과 무서운 물결이 하늘을 뒤흔들고 바다를 쳐서 소리를 내니 돗자리로 만든 돛이 모두 부서져버렸다. 배는 두 돛대가 높고

  • [졸업][중국문학] 한국 판소리 기원 연구 -중국의 영향설을 중심으로
  • 표해록」인데 이 속에는 중국 연안의 해로, 기후, 산천, 도로, 관부, 풍속, 민요등을 소개하게 있다. 최 부 《표해록》최기홍 역, 삼화인쇄 주식회사. 1979, 서문위의 기록으로 보건데 조선조 성종 때, 15세기 최부가 제주도에서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중국땅 태주(강남 절강성)에 표착되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40여명의 조선인이 뜻하지 않게 중국 땅을 밟은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중국연안과는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 이것은 의도적인

  • [국문학] 한국문학통사 제 3판 7.1~7.9 <조선전기>요약
  • 최부의 은 뜻하지 않던 기회에 배가 파선되어 표류한 결과 중국에 이르러 아주 특이한 경험을 한 것을 적은 것이다. 잡기류 가운데서도 조신이라는 역관이 지은 은 관심을 밖으로 돌렸다. 신숙주를 따라 일본에 갔던 일을 다루고, 자기 나름대로 일본과 유구의 지리와 풍속에 대한 서술을 다시 했다. 1533년부터 이듬해까지 정사 자격으로 명나라를 다녀온 소세양이 지은 이 있는데, 출발해서 귀환할 때까지 겪은 일을

  • [국제정치] 동북공정과 그 안에 담긴 중국의 패권주의
  • 최부의 ▶표해록◀(15세기) : 너의 조상 고구려는 얼마나 강대했길래 수나라를 무찔렀느냐!임진왜란 : 고구려의 후손 고려 → 조선- 고구려의 독자성 -* 고구려의 발상지 : 고조선 영토, 현도군 건국, 현도군 추방 ( 한사군 : 고구려를 견제하는 창구)* 제천 의식 : 고구려 - 동맹 , 부여 - 영고* 고구려 중심의 천하관 : 황제국 자처 → 조공관계 ( 백제, 신라, 가야, 왜, 거란으로부터)* 중국과의 조공책봉 (1 : 1 의 관계, 긴밀한 외교관계의 수단일뿐)* 독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