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구빈법상 공적 부조에 대한 검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21.05.20 / 2021.05.20
  • 2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영국 구빈법상 공적 부조에 대한 검토
< 목 차>
I. 서 설
II. 영국 구빈법의 연혁
III. 구조를 받을 권리의 구체화 과정
Ⅳ. 구빈법 제도의 쇄락과 폐지
V. 우리나라 공공부조법을 비롯한 복지제도에
대한 시사점
Ⅵ. 결 론
< 국문초록 >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성이,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김영순, “복지동맹 문제를 중심으로 본 보편적 복지국가의 발전 조건”, 한국정치학회보 제46집 제1호, (2012).
양정하, “사회복지발달사”, 학현사, (2008).
원종찬, “英國의 救貧法과 社會保險 形成에 관한 考察”.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20, (1990).
정구복, “한국중세사상사”, 집문당, (1999).
홍기빈,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책세상, (2011).
황준성, “질서자유주의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 숭실대학교출판부, (2011).
Baker, John Hamilton, “The Oxford History of the Laws of England: 1483-1558”,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Blaug, Mark, “The Poor Law Report Reexamined,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24, No.2, (1964).
Boyer, George R., “An Economic History of the English Poor Law, 1750-1850”,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Byrne, Joseph Patrick, “The black death”, ABC-CLIO, (2012).
Cartwright, Frederick F., “Disease and History”, New York: Barnes & Noble., (1991).
Crowther, M.A., “The workhouse system, 1834-1929”, Taylor & Francis Ltd., (2016).
Englander, D., “Poverty and Poor Law Reform in 19th Century Britain: From Chadwick to Booth, 1834-1914”, Crime, Histoire & Societes, (1998).
"Five Hundred Years of English Poor Laws, 1349-1834: Regulating the Working and Nonworking Poor," Akron Law Review 30, (1996).
G. R. Elton, “An Early Tudor Poor Law,” Economic History Review, (1953).
Huzel, James, Malthus, “The Poor Law, and Population in Early Nineteenth-Century England”, University of Kent, The Economic History Review Volume 22 Issue 3, (2008).
Jones, Kathleen, “The making of social policy in Britain”, Athlone Press, (2000).
Keith D. Ewing, “The right to strike”, Clarendon Press, (1991).
Knott, J, “Popular Opposition to the 1834 Poor Law”,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988).
Lynn Hollen Lees, “The Solidarities of Strangers: The English Poor Laws and the People, 1770-194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Lewis C. Vollmar, Jr., “The Effect of Epidemics 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Law from the Black Death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Legal Medicine, Vol.15 (1994).
M. A. Crowther, “The workhouse system 1834-1929”, ENGLISH HISTORICAL REVIEW, (1986).
Morgan, Kenneth O ., “George Lansbury: at the heart of Old Labour by John Shepherd - Reviews, Books”, London: The Independent, (2002).
Philip J. Stern, Carl Wennerlind Eds., “Mercantilism Reimagined: Political Economy in Early Modern Britain and Its P. Slack, “The English Poor Law, 1531-178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Rees, Rosmary, “Poverty and Public Health 1815-1948”, Pearson Education Limited, (2001).
Rose, Michael E., “The English Poor Law, 1780-1930”, Newton Abbot: David & Charles, (1971).
R. O. Bucholz, Newton Key, “Early modern England, 1485-1714”, Blackwell Publishers, (2003).
Sidney and Beatrice Webb, “English Poor Law History Part 1: The Old Poor Law,” Frank Cass and Co., (1963).
大理(一九八六),「イギリス社政策史  救貧法と福祉家」東京大出版社.
矢野(二八),「ワクハウス論⑴」,『政究』第四五第二,日本大政究所.
,「ジェレミベンサムの救貧思想│救貧法から近代社政策へ」日本大法,
『日本法』第七十四第一.
,「イギリス救貧法におけるright to reliefの形成について-新救貧法の成立まで-」 
日本大法、『日本法』, 第七十八第二.
,「イギリス救貧法原理の形成過程にする究」日本大政究所,『政究』
第四八第一.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사회복지]사회보장.공공부조
  • Ⅰ. 서론 공공부조란 생활곤궁자에 대한 공적인 경제적 보호를 말한다. 즉 빈곤이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전제로, 국가의 책임 하에 법령에 입각하여 공비로서 생활이 곤궁한 자에게 최저한의 생활을 보장해 주는 제도를 공공부조라고 하는 것이다.이러한 공공부조제도의 급여를 받는 계층은 생활보호대상자로서 그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한다. 그러나 공공부조제도는 한시적이고, 구빈적 차원의 제도에 머물

  • 공공부조 레포트
  • 부조 정책의 발전 과정을 법령제도의 수립, 사업내용의 획기적 변화 등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4단계로 나누어 보기로 한다.1.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우리나라의 근대적 구빈법의 시작은 일제 말기 1944년 3월1일에 조선 총독부의 조선 구호령이 제정ㆍ공포되면서부터 라고 할 수 있다. 이는 1929년에 제정되어 1932년에 실시된 일본의 구호법을 기초로 하고 보자 보호법과 의료 보호법을 부분적으로 부가해서 종합화한 법이다. 조선 구호령은 법상으로

  • 공공부조 레포트
  • 공적 부조’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1995년 12월 30일 제정된 사회보장기본법에서 ‘공공부조’라는 용어로 변경했다. 공공부조는 나라마다 달리 표현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에서는 법률상 공공부조 또는 공적 부조로, 영국에서는 국가부조로, 프랑스에서는 사회부조로 표현한다. 공공부조에 대한 또 다른 협의의 개념은 자본주의의 모순이 심화됨에 따라 빈곤이 발생됐다는 역사적 인과관계를 인정해, 국가의 책임 하에 일정한 법령에 따라

  • 사회복지보장론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해서
  • 부조제도의 본질을 반영하지 못한 것이기에 시급히 조정되어야 하는 사항이다.6) 전달체계의 정비생활보호제도하에서 사회복지전문요원이 담당하고 있는 대상 가구수는 99년의 경우 평균 156가구였으며, 사회복지업무 전반 즉, 노인, 장애인, 모자가정 등에 대한 복지업무를 포함한 경우 사회복지전문요원 1인이 담당하는 평균 가구수는 99년의 경우 402가구에 달했다. 더불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시행으로 전반적인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업무가 더

  • 장애인 소득 보장
  • 대한 개별 사회복지 서비스를 규정하는 법으로서 1970년 제정된 만성질환및장애인법(Chronically Sick Disabled Person Act) 있고 이 밖에 유아교육, 청소년교도, 미혼모 및 아동보호, 주택부조 등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 관련법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 영국의 소득보장제도는 세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즉 일정한 요건의 기여(갹출)를 한 후에 퇴직연금, 장애연금, 실업수당 등의 급부를 받는 국민보험과 국가가 조세로써 재원을 조달하여 급부를 행하는 공적부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