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이론 批判理論 criticaltheory 독어 Kritische Theorie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6.27 / 2015.06.27
  • 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1930년대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철학자·사회과학자·문화과학자들의 모임이 발전시킨 일련의 이론으로, 사회적 변혁과 해방에 관한 이론이다. 이들은 자본주의(나중에는 사회주의까지 포함) 산업사회에 대한 분석을 발전시켰는데, 그 분석 목적은 그러한 사회가 지닌 억압적인 경향을 드러내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데 있었다. 그들의 이론을 「비판이론」이라고 하는 것은 폐쇄적인 철학적 구조를 거부하며, 단지 부정의 부정을 거듭하면서 논의의 주제를 집요하고 철저하게 공략하여 문제의 핵심을 밝히면서 진행되는 사고의 양식을 취한다는 것 때문이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1923년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 「사회과학연구소」(Die Institute fur Sozialforschung)를 창설함으로써 출발하였다. 나치 집권기(1936~45)에는 뉴욕·로스앤젤레스·버클리 등으로 옮겼으며 1949(또는 1950)년에 다시 프랑크푸르트로 돌아왔다. 초창기는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 프롬(Erich Fromm), 마르쿠제(H. Marcuse), 아도르노(T.W. Adorno) 등이 참여하였으며, 후기에는 하버마스(J. Habermas) 1929년 출생. 독일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로 현재도 활동하고 있다. 사회학에서의 ‘비판적 합리주의’(H.알베르트, K.포퍼), 정신과학에서의 ‘해석학’(H.G.가다머)을 두고 그 방법에 관한 유명한 논쟁을 벌였고, 그를 통하여 비판적 합리주의와 해석학의 방법논쟁을 도입해 마르크스주의에 부족한 유연한 방법론적 사고를 도입했다고 평가받는다. 아도르노의 영향 하에서 사회에 대한 비판이론을 전개하고, 『공공성의 구조 전환』,『이론과 실천』,『이데올로기로서의 기술과 과학』,『인식과 이해 관심』등의 저작을 통해 기술적인 이해 관심에 묶여 있는 현대 사회과학이나 사회의 존재 방식을 비판하였다. 현대철학의 대표자로 군림하고 있다.
등이 가담하였다.
비판이론은 사회를 변혁하려는 실천적인 정치 목표를 지니고 사회·문화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에 관한 사회·역사 철학을 추구했다. 이들 이론을 이끈 주요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헤겔적 의미의 변증법적 역사관을 통해 현대를 스스로 소외된 개인들의 갈등의 역사로, 승인되지 않은 지배형태로 파악한다. ②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으로써 자본주의를 비판한다. 이를 통해 전세계적 경제위기와 전쟁, 그로 인한 첨예화한 착취와 노동계급의 계급투쟁, 문화·법·과학 등 이데올로기의 타락이 빚은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자기붕괴를 분석한다. ③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도움을 받아들여, 부르주아 및 프롤레타리아 가족에 미치는 사회 갈등과 문화 왜곡의 부작용, 직업세계와 정치 여론을 통해 아버지 우상에 대한 권위적인 교육 강제를 분석한다. 계몽과 이성의 해방적 관심은 이와 같은 사회관계를 거부한다. 이러한 시도는 비판이론의 소수 비판적 지식인, 경제적으로 착취받는 자, 정치적으로 억압받는 자(프롤레타리아와 주변집단)들이 연대하여 억압적 사회관계와 지배적 허위의식(예를 들면 과학적 실증주의나 대중매체의 문화 산물들)에 비판적·실천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미국에 머무는 동안은 물론이고 프랑크푸르트로 돌아온 이후에도 비판이론은 정치적 전제주의를 진단하고 그것을 거부하는 데 진력해서 자유주의 경제국가와 사회주의국가를 근본적으로 동시에 비판했다. 그들이 자본주의 사회에 대하여 가지고 있었던 기본적인 관점, 즉 계급과 계급갈등이 자본주의의 형성과 전개의 과정을 설명하는 기본적 틀이라는 생각은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문제의식과 같은 것이었다. ① 자본주의에 대해서는 생산된 사회적 자원을 산업체제에 예속되어 있는 사람들에게 자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은 부를 생산하려는 데만 급급해 왔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개인들이 후기 자본주의의 노동강제와 소비강제에 매몰되어 무기력해지고, 대중매체의 문화산업과 의식산업에 의해 도덕적·정신적 에너지를 빼앗긴 상태에 있다고 비판한다.
한편으로는 ② 소련식 마르크스주의가 개인의 자유를 희생해 가면서 경제적 성장을 기하려고 한다는 점을 들어 비판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의 이론은 흔히 「신마르크스주의」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들에 의하면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이 관심을 집중시켰던 정치경제학적 문제보다는 인간의 주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며 문화와 일상생활이 어떻게 새로운 지배의 장이 되는가를 더 중요한 문제로 삼았다. 그들은 사회의 경제생활, 개인의 정신발달, 문화의 변형과정을 연구하며, 과학, 예술, 종교 등에 걸친 이른바 정신적 내용만이 아니라, 법률, 윤리, 유행, 여론, 체육, 오락, 생활양식 등의 광범한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1967~72년 서독과 서구대학 등이 중심이 된 학생운동 68혁명을 비롯한 일련의 청년운동을 의미하는 듯.
에 비판이론가들이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이들은 헤겔과 마르크스에 대한 비판과 관련해서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특히 소련과 동독의 의견과 대립되었고 서독 내에서 비판적 합리주의의 분석적 과학이론과 방법론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분명히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긴 하였으나, 기본적으로 기존 마르크스주의의 환원론과 교조주의를 비판하며 소련을 좋지 않게 보는 등,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구세대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과는 완전히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교육의 문제와 관련하여 비판이론가들은 주로 실증주의의 전통을 겨냥한 도구적 이성의 비판, 이론적 연구의 변증법적 특징, 문화의 비판적 분석, 심층심리학적 방법 등에 관심을 바쳐왔다. 실증주의자들과는 달리 그들은 이론이란 사실의 객관성을 중시한 나머지 가치중립성을 기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즉, 이론은 해방적 실천을 목적으로 개발되는 것이므로 실천과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또한 가치중립적일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론과 실천은 다소 거리를 두고 있으나 서로 동맹의 관계에 있어야 한다. 비판이론은 교육학에도 적용되어 지배계급의 권력과 지위를 유지시키는 이데올로기를 고착시키는 교육을 비판하는, 수정주의교육사(修正主義敎育史), 신교육사회학(新敎育社會學), 교육과정재개념주의(敎育課程再槪念主義) 등으로 발전되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영어학개론 레포트
  • 비판을 받게 된 사실만으로도 증명된다. 뿐만 아니라 변형문법학자들은 표면 구조가 의미 해석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는 처음에 구조주의 문법학자들에 대한 자기들이 지나친 비난에 대해 반성을 하기에 이른다. 1957년 Chomsky의 Syntactic Structure의 초기 이론에서는 영어학 연구대상이 주로 통사론이었으며 음운론은 관심 밖으로 밀려나 아예 문법에서 제외되고 말았다. 1965년의 Aspect of the Theory of Syntax에 나타난 Chomsky의 언어이론 수

  • [세계사]독일의 역사,문화,종교에 관한 심층적인 고찰
  • 비판적 이론은 68학생운동의 정신적인 지주였고, 이것은 68운동과 함께 많은 독일 지식인들에게 좌익적 사고의 기본틀을 제시했다. 이 학파의 비판이론(kritische Theorie)가들은, 그 당시 실존주의를 추종하던 보수-비정치적 전통과, 사회적 현상태를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파악하는 실증주의의 경향을 반박했다. 70년대부터 독일철학과 앵글로색슨철학 사이에는 상호교류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이 런 경향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철학자가 위르겐

  • [철학으로의 초대]현대철학의 흐름
  • 비판하면서, 테크놀로지는 이데올로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의는 현대철학을 고찰하는 곳에서 상론하기로 한다.이를테면 우리의 인식활동이 순수하게 중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대체로 실증주의자라고 부르는데, 이들과는 달리 오늘날의 비판이론에서는 인식활동은 이해와 관심에 의해서 유도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테크놀로지는 이론의 실제적 적용이라는 단순한 차원으로 소박하게 이해

  • 페스탈로치 교육사상
  • 論)교육사상의 기초는 인간관이다. 인간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교육사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으로 우리는 교육본질론과 가정교육론을 보았다. 이제 이런 이론을 자아낸 그의 인간관을 살펴보자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이 체계적으로 전개된 저작으로 우리는 “인류의 발전에 있어서의 자연의 과정의 탐구‘(1797)를 든다. 이 저작의 서두에서 그는 ”나는 무엇이며 인류는 무엇인가?“, ”나는 무엇을 해왔으며 인류는 어떻게

  • 의사소통 단위와 문장을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 Theorie des sprachlichen Wandels. In: ZGL 10, 1982, 1-27.Klein, W./Levelt, W. (Hers.) (1981) : Crossing the Boundaries in Linguistics. Studies presented to manfred Dierwisch. Dordrecht.Lerch, E. (1983) : Vom Wese des Satzes und von der Bedeutung der Stimmführung für die Satzdefinition. In: Archiv für die hesamte Psychologie 100, 133-194.Lyons, J. (1977) : Semantics. Vol. 2. Cambridge.Müller, B. L. (1985) : Geschichte der Satzdefintion. Ein kritischer Abriß. ZGL 13. 1985, 18-42.Müller, B. L. (1985a) : Der Satz. Definition und sprachtheoretischer Status. Tübingen, 1985.Näf, A (1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