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ㅅ의음가와자질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4.16 / 2016.04.16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어두 ㅅ 의 음가와 자질
- 사이시옷과 합용병서를 중심으로
1. 중세국어에서 보이는 된소리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에 의해서 후기 중세어에 있어서는 평음 ‘ㅂ ㄷ ㄱ ㅈ’과 유기음 ‘ㅍ ㅌ ㅊ ㅋ’의 양계열의 존재는 쉽게 확인된다. 그런데 어휘에 있어서 유기음의 출현은, 특히 어두에 있어서는, 평음의 그것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적었다. 이미 15세기에 ‘’이 ‘’로 변했으며, 16세기 후반에 와서 ‘곻’가 ‘코’로 ‘갏’이 ‘칼’로 변한 예들이 있어 어두 유기음이 다소 늘었다고 하나, 평음과의 불균형은 여전하였다. 어중에 있어서 ‘ㅎ’과 평음이 합하면 유기음이 되는 것은 현대어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였다. 특히 ‘다’가 ‘타’로, ‘긔, 게, 고’ 등이 ‘킈, 케, 커’ 등으로 축약된 예들이 많았다.
훈민정음의 초성체계는 후기 중세어에 있어서의 된소리 계열의 존재에 대하여 적지 않은 문제를 제기해 준다. 東國正韻序에 ‘我國語音 其淸濁之辨 與中國無異 而於字音獨無濁聲 豈音此理 ’라 있다. 국어음에는 “濁聲”이 있는데 한자음에는 그것이 없음을 지적한 것이다. 이 “濁聲”은 곧 된소리라고 해석함으로써만 이 글은 올바로 이해된다. 濁聲을 곧 된소리라고 생각했다면, 훈민정음 체계에서 탁성은 各字書로 표기하였으니 된소리는 당연히 各字書로 표기했을 것이다. 그런데 ‘ㄲ ㄸ ㅃ ㅉ’등은 주로 동명사 어미 ‘-ㄹ’ 밑에서만 사용되었으며 ‘ㅆ ㆅ’ 만이 어두음 표기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된소리의 존재는 어두나 어중 위치에서 평음이나 유기음과 분명히 대립됨으로써 확인되는 것으로 위의 표기 사실은 15세기 중엽에는 마찰음의 된소리 밖에 없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합용병서 ‘ㅺ ㅼ ㅽ’ 등이다. 이들 ‘ㅅ’은 예로부터 ‘된시옷’이란 이름으로 불리어 왔는데 이 이름이 언제쯤 생긴 것인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으나 15세기 중엽에 이것은 이미 사실상 “된시옷”이었던 것으로 믿어진다. 이렇게 믿어지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민정음의 여러 문자 중에서 유독 ‘ㅅ’은 그 音價에 구애되지 않고 “사이시옷”으로 사용되었다. 이 사이시옷은 된소리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이다. 둘째, 15세기 중엽의 표기법에 있어서는 모든 받침은 다음 음절의 두음이 모음일 때는 내려 썼는데 유독 ‘ㅅ’ 만은 예외일 수 있었다. 그것은 다음 음절의 초성이 ‘ㄱ ㄷ ㅂ ㅅ’ 등일 때에도 내려 쓸 수가 있었던 것이다. 사이시옷 역시 마찬가지였다. 15세기 문헌에서 후치사 ‘장’, ‘긔’는 거의 언제나 ‘장’. ‘’ 로 표기되었다. 이런 예외가 허용되었다는 사실은 단적으로 ‘ㅺ ㅽ ㅼ’ 등이 된소리의 표기였음을 입증해 준다. 셋째, 표기상의 ‘ㅆ’은 기원적으로 보면 전탁 표기와, 사이시옷과 후행어의 초성 ‘ㅅ’이 합한 것이 있었는데 비록 기원은 다르더라도 이들이 동일한 발음 즉 된소리였다고 보지 않고는 원만한 해결을 얻을 수 없다. 넷째, 각자 병서는 된소리를 나타내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원각경언해 이후에는 자취를 감추고 말핬다. 이것은 국어에 된소리가 없어졌기 때문이 아니고 된소리 표기가 단일화된 데 기인한 것이라고 본다. 다섯째, 15세기 중엽에는 ‘그-’였던 어간이 법화경언해와 두시언해에서 ‘-’로 나타나며 그 전의 문헌에서는 ‘딯-’으로 나타나던 어간이 구급간이방에서는 ‘’로 나타난다. 격렬성을 띤 동작을 보다 인상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어두음이 된소리화한 예들이다. 이러한 경향은 16세기에 오면 더욱 강해진다. 속삼강행실도에 ‘짓-’이 여러 군데 보이며, 훈몽자회에 ‘-’, ‘씹-’등, 분문온역이해방에 ‘-’, ‘싸-’ 등의 예가 보인다. 된소리 계열이 이렇듯 표현적 가치를 가지게 될 수 있으려면 이미 된소리가 어두에서 확고한 지반을 가지고 있고서야 가능한 일이라고 보아, 어두 된소리는 15세기 후반보다 앞서 나타났다고 보는 것이 온당할 것이다.
2. ㅅ계 합용병서의 분포
ㅅ계 합용병서는 어두와 어중에 두루 쓰였지만 주로 ㄱ ㄷ ㅂ 등의 파열음과만 결합되는 결합상의 제약을 보인다.
(1) 어두 표기례
ㅺ : 다
ㅼ :
ㅽ :
즛다
(2) 어중 표기례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구개파열 아동 언어치료≫ 구개파열 정의와 원인, 유형, 진단 및 평가, 치료 - 구개파열 아동 언어치료 기법, 구개파열 아동 언어치료 프로그램 포함
  • 자질 접근법을 이용한 치료 프로그램 (목표음소/ㅅ/)ex) 음절 목록다리/사리, 계단/계산, 호두/호수, 도포/소포, 두통/수통→ 참고변별자질접근을 이용한 치료 프로그램이 구개파열 아동의 조음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2003, 권남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과대비성 치료(비성도 측정기 이용)→ 참고시각적 피드백이 구개파열 아동의 과대비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2000, 황희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 구개파열 언어치료
  • 어두)② 2음절어(어두, 어중)③ 3음절어(어두, 어중, 어말)□ 변별 자질 접근법예: 삼-담, 술-둘, 솔-돌, 사과-다과, 수박-우박, 사기-아기, ⑸ 문장 수준 훈련□ 짝자극 기법(/s/ 지도의 “예”)① 1음절 어두Q. 질문 자극: 손으로 무엇을 만질 수 있습니까?A. 반응 문장: 손으로 ( )을 만질 수 있습니다. 훈련 단어: 새, 소, 삽, 산, 손, 솜, 솔, 숲, 성, 상 ② 2음절 어두 Q. 질문 자극: 선물에 무엇이 있습니까? A. 반응 문장: 선물에 ( )이 들어 있습니다.훈련

  • 고전시가론 레포트 - 향가의 이론적 정리,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처용가, 우적가, 보현십원가, 도이장가
  • 가와 해가의 歌謠 분석헌화가(獻花歌)紫佈岩乎邊希執音乎手母牛放敎遣吾肹不喩慚肹伊賜等 花肹折叱可獻乎理音如 지은이: 견우노옹시대 : 신라 성덕왕 때갈래: 4구체 민요적 향가성격 : 연가적, 찬미적, 서정적표현: 상징법, 도치법(‘나를 아니 부끄러워 하신다면’이라는 표현은 상류층의 부인과 초라하고 늙은 노옹이 서로 대조를 이루기 때문에 부끄러움으로 표현)주제: 꽃을 꺾어 바치는 사랑의 노래해가(海歌)龜乎龜乎出水路掠人婦女

  • [국어학] 중세국어사 연구
  • 어두 ‘ㄴ’의 탈락7) 어휘4. 의의淸風, 金氏 家門 중 淸風府院君 宗家에 소장되어 온 새로운 諺簡 1건을 학계에 소개하고, 이에 대한 판독과 역주의 과정을 통해 이 자료의 문화적 가치와 국어학적 특징을 밝혀보고자 했다.먼저 이 언간의 내용을 통해 우리는 조선시대 사위를 대하는 장모의 전통적인 태도와 더불어 딸의 사생이라는 커다란 사건을 맞은 장모의, 사위와 시댁에 대한 염려와 민망함이 짙게 묻어나는 인정의 참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

  • [방송대] 한글 표기법의 변천0e
  • 의음으로 구별하고, 표기에서는 본음을 적어야 예) 높-의 경우 높과 놉 두 가지로 발음이 되지만, 높을 본음으로 봄.(2) 본음 이론의 변화1906 대한국어문법: 예외없는 본음 표기 적용 1910 국어문법: 기본 원리는 본음 표기이지만, 몇 가지 경우의 예외를 인정. 변칙 용언 어간, 어미와조사, 예외적인 파생어 본래 어법 자체가 예외이므로, 표기에서도 예외를 인정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1914 말의소리: 본음 판단에 변화(혼란) 높과 놉을 모두 본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