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균여와 보현십원가, 보현십원가의 구성과 내용, 보현십원가의 문학성, 삼구육명의 의미에 관한 논의)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4.24 / 2015.04.24
  • 2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균여의 보현십원가 연구
Ⅰ.서론
Ⅱ.균여와 보현십원가
1.균여의 생애와 행적
2.균여의 찬술동기
3.보현십원가
Ⅲ.보현십원가의 구성과 내용
1.예경제불가
2.칭찬여래가
3.광수공양가
4.참회업장가
5.수희공덕가
6.청전법륜가
7.청불주세가
8.상수불학가
9.항순중생가
10.보개회향가
11.총결무진가
Ⅳ.보현십원가의 문학성
1.극소와 극대, 내면과 외면의 합일과 조화
2.비유의 적절함
3.구행 첫 감탄사의 의의
Ⅴ.삼구육명의 의미에 관한 논의
Ⅵ.결론
Ⅰ.서론
우리 문학사에서 『三國遺事』 소재의 신라 향가 15편과 『均如傳』 本書의 原名은 『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이나, 이하 『均如傳』으로 略稱함.
소재의 고려 향가 11편은 國字가 없던 시대에 한자 音訓을 차용하여 우리 말소리를 표기하던 ‘鄕札’로 기록하여 전하는 희귀한 가요 자료들이다. 일찍부터 알려진 『삼국유사』와는 달리 『균여전』의 경우 학계에 알려진 것은 불과 70여 년 전이다. 1921년 日人 아리가케이타로(有賀啓太郞) 간행의 『四十七祠院』에 부록으로 ‘圓通兩重大師均如傳’을 실으면서이다. 그 뒤에 원전이 해인사 대장경 補板에 수록되어 있음이 알려지면서『균여전』은 새삼 연구자의 주목을 받았다. 『균여전』을 통해 麗初 화엄학의 거장으로 교풍을 바로잡고, 교세를 떨친 균여대사(928~973)의 인물과 행적의 전모가 새롭게 드러나면서 화엄 敎學에 관한 60여 권의 저술과 그가 제작한 국풍 가요 普賢十願歌가 학계의 지대한 관심 아래 논의, 연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사, 2001, 584쪽.
향가를 다룬 논저들은 1500여 편에 이른다. 양희철, 원왕가, 『향가문학연구』, 일지사, 1993, 502쪽~517쪽.
그렇지만 균여의 원왕가 11수를 다룬 논저들은 100여 편에 지나지 않는다. 이 100여 편의 글들은 크게 향찰론과 해독 梁柱東, 『古歌硏究』, 搏文書館, 1942.
정렬모, 새로 읽은 향가, 『한글』, 1947.
지헌영, 『향가여요신석』, 정음사, 1947.
김준영, 『鄕歌詳解』, 동양당, 1964.
김근수, 균여전 시고 서설, 『상은 조용욱박사 송수기념논총』, 1971.
김완진, 『향가해독법 연구』, 서울대출판부, 1980.
양희철, 균여의 서왕가 연구,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1986.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작품론] 고대가요 목록
  • 관한 연구, 延世大 大學院, 석사 학위논문, 1993李姸淑, 龜旨歌考, 『韓國文學論叢』 14, 韓國文學會, 1993. 李東根, 龜旨歌再攷, 『論文集』 36, 육군 제3사관학교, 1993. 1994이현희, 한국의 역사 . 1 , 삼국의 발전과 민족의 통일, 한국교육문화사, 1994.金蘭珠, 굿노래로서의 龜旨歌와 海歌小考;건국신화와 그 후대적 변모와 관련하여 , 『國文學論集』 14, 檀國大學校國語國文學科, 1994. 韓昌勳, 龜旨歌와 海歌의 呪(術)歌的 구조와 의미적 거리,

  • 삼구육명(三句六名)의 풀이
  • 의 풀이들어가며향가에 대하여1). 향가의 배경사상2). 향가의 유형과 구조삼구육명(三句六名)의 풀이1). 한 시가 형식으로 보는 견해2). 두 시가 형식으로 보는 견해3). 교재내용 정리4. 향가의 문학사적 가치와 문학적 의의5. 나가며1. 들어가며삼구육명(三句六名)은 ≪균여전(均如傳) 1075년(문종 29)에 혁련 정(赫連挺)이 지은 균여의 전기. 보현십원가와 한역시를 수록하고 있어 불교사 및 향가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에

  • 보현십종원왕가와 화엄사상
  • 보현시원가>의 연구는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한 불교적 수사방식의 해명 또는 광종 당대의 전제왕권 지향과 관련하여 논의되거나, 균여의 사상사 텍스트와 연관 지어 그 인식을 조명하기도 했다. 말하자면 신라 향가는 불교와 주술의 습합을 위주로 논의된 경향이 컸던 것에 비해, 는 불교 사상의 현실적 실천이라는 맥락이 강한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는 것이다. 특히, 종교성, 정치성, 주술성, 문학성 등 신라 향가가 이룩한 제 요소가 단일

  • 향가의 성격 및 특성
  • 의미를 알 수 있다.또한 사뇌가를 세상사람들의 즐거움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 인식했다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하지만 사뇌가를 향가와는 다른 장르로 보기보다는 향가에 포함된 개념으로 봐야할 것이다. 위의 성격들을 종합해 볼때 이러한 인식은 균여가 사뇌가가 불리 우는 상황과 그것이 지니는 내용성(문학성)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뜻한다. 즉, 균여는 사뇌가를 ‘놀이’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균여가 를 지은 목표가 바로 이

  • [고전문학사] 향가의 이해
  • 삼구육명(三句六名)의 이해‘三句六名’은 「균여전」 第八譯歌現德分(제8역가현덕분)에서 언급되었다. 본문의 내용다음과 같다.詩搆唐辭 磨琢於五言七字 歌排鄕語 切磋於三句六名(詩는 중국말로 얽어매어 五言七字로 갈고 다듬으며, 歌는 우리말을 배열하여 三句六名으 로 끊고 가다듬는다.)이 구절에서 앞뒤가 對句로 이루어져 있음을 주목하여, 五言七字가 중국 한시의 형식 혹은 작시법을 규정하는 말로 보고, 그것의 對語인 三句六名은 향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