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지도론]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성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4.24 / 2015.04.24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
<고전시가지도론>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성격>
1. 서론
「공무도하가」는 「구지가」, 「황조가」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대시가이다. 「공무도하가」에 대해서 이토록 큰 관심이 집중되고 논란이 있었던 것은,「공무도하가」가 한국문학사상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비중 때문일 것이다. 「공무도하가」에 대해서 지금까지 제기되고 논의되었던 문제들을 정리하고, 작품의 성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2. 본론
1> 「공무도하가」의 출전과 내용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는 여러 가지 문헌에 내려오는데, 채옹의 『금조』, 최표(崔豹)의 『고금주』, 곽무천의 『악부시집』 등에 실려 있는데, 시가와 배경설화를 최초로 수록한 책자는 후한 말 채옹이 엮은 『금조』이며, 설화만을 상세하게 기술한 책자는 진(晋)대의 최표가 엮은『고금주』이다.
蔡邕『琴操』(채옹, 금조)
引 者 朝鮮津卒 里子高所作也 子高 晨刺船而濯 有一狂夫 被髮提壺 涉河而渡 其妻追止之 不及 墮河而死 乃號天 鼓而歌曰 公無渡河 公竟渡河 公墮河死 當奈公何 曲終 自投河而死 子高聞而悲之 乃援琴而鼓之 作引 以象其聲 所謂公無渡河曲也
『琴操』卷上, 引
崔豹 『古今注』 (최표, 고금주)
引 朝鮮津卒 里子高妻麗玉所作也 高晨起刺船而濯 有一白首狂夫 被髮提壺 亂河流而渡 其妻隨而止之 不及 遂墮河水死 於是 援而鼓之 作公無渡河之曲 聲甚悽愴 曲終 自投河而死 里子高 還以其聲 語其妻麗玉 玉傷之 乃引而寫其聲 聞者 莫不墮淚掩泣焉 麗玉以其曲 傳女麗容 名之曰 引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삼국시대의 문학
  • 성격(1) 불교와 밀접한 관계『三國遺事』에 실려 있는 鄕歌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이 불교와 밀접한 관계를 지님 ⑵ 현존 鄕歌의 성격 규정에 대한 쟁점 ① 鄕歌를 불교의 포교가로 볼 것이냐 ② 민족의 노래로 볼 것 이냐 ⇒『三國遺事』에 실려 있는 노래가 모두 불교와 관계가 있는 작품인 것은 아니기 때문 ⑶ 판단의 어려움향가 작품집인 『三代目』이 발견된다면 문제는 간단히 해결될 수 있지만『三代目』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

  • [국문학] 상고시대부터 신라시대까지의 문학
  • 성격(1) 불교와 밀접한 관계『三國遺事』에 실려 있는 鄕歌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이 불교와 밀접한 관계를 지님 ⑵ 현존 鄕歌의 성격 규정에 대한 쟁점 ① 鄕歌를 불교의 포교가로 볼 것이냐 ② 민족의 노래로 볼 것 이냐 ⇒『三國遺事』에 실려 있는 노래가 모두 불교와 관계가 있는 작품인 것은 아니기 때문 ⑶ 판단의 어려움향가 작품집인 『三代目』이 발견된다면 문제는 간단히 해결될 수 있지만『三代目』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

  • [국문학] 고전시가의 흐름과 이해yu
  • 시가이면서도 집단 가요인 구지가와는 달리 개인적 서정 가요로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아주 적절한 예가 된다. 구지가와 비교해 보면 가요의 형태상의 변화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활 감정이 복잡해져 감에 따른 예술의 분화 과정(집단 가요 → 개인적 서정 가요)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3)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이 노래는 우리의 가요가 아니라 중국의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중국 문학사를 비롯한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도 이를 중국의 작

  • 향가의 성격에 관한 고찰 향가의 성격에 대한 쟁점 중심으로
  • 시가가 보여주는 모든 작품들의 내용과 형식을 이미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은 『시경』이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알 수 있게끔 한다.그렇다면 이와 같은 맥락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 시가 문학의 ‘原流’이자 국문 시가 전반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고전’은 과연 무엇일까? 가장 오래된 것으로만 따지고 보자면, 국문 시가의 효시라고 볼 수 있는 고대가요(, , )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본

  • 넉줄의 미스테리,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를 고찰하다
  • 고전시가사』, (서울 : 집문당, 1997), pp.220-221☞ 현재 전해지는 기록 자체가 모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해석들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여러 견해들 중에서 「공무도하가」의 민요적 성격에 따른 다수인의 손을 거쳤다는 주장이 설득력이 간다. 이러한「공무도하가」의 민요적 성격은 초기 두 문헌인 채옹의『금조(琴操)』와 최표의『고금주(古今注)』에서의 기록 내용상의 차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첫째, 위에서 언급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