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서정시 형식의 완성과 향가 서정시가 발생 향가 발생 향가 형식 민요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국문학사>
<서정시 형식의 완성과 향가>
<목차>
1. 서정시가의 발생
2. 향가의 발생
3. 향가의 형식
3-1) 민요계열의 향가
3-2) 사뇌가 계열의 향가
4. 향가의 사적 전개
5. 맺음말
1. 서정시가의 발생
아득한 옛날 원시적인 미분화 종합 예술체 가운데서 배태된 국문학의 始原은 원시적인 서사문학기에 들어서자 독자적인 문학으로 분화하여 구비적인 방법으로 유동하면서 정치적으로는 개인과 사회를 통일, 단합시키는 기능을 발휘하였겠고, 그 향유 방법은 항상 집단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원시적 서사문학의 내용은 점차로 인지가 발달하고, 그 감정이 순화함에 따라 개인의 각성을 보게되고 과거에는 초인적이요, 또한 영웅적이었던 데서, 인간적이고 범인적인 내용으로 변화하였겠고, 그 표현의 방법에 있어서도, 전에는 객관적인 서술 묘사를 주로 하였던 것이, 주관적인 전달 호소의 방법으로 변화하였을 것이다. 이렇게 변천하는 가운데 장편적인 서사시의 일부분이었던 서정적인 요소가 서사시에서 분화하였거나, 종교적인 요소가 표백되어 새로운 시형이 이룩되었을 것이다. 鄭炳昱, 「향가의 문학사적 위치」,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p136
서정시가의 발생은 역사의 단계를 지나 정비된 질서를 갖춘 사회체제가 제도적으로 확립 되가는 단계에서 이루어지는데, 우리 문학사에서 서정시의 발생을 어느 시기의 어느 작품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분분하여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설, 「황조가(黃鳥歌)」설이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작품은 민간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진 민요의 한 단편에 가깝기 때문에 본격적인 서정시의 성립을 살피기 위해서는 이러한 서정적 단편을 가지고 논의하기보다는 문학사의 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양식의 성립을 기준으로 논의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한 접근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양식의 성립을 기준으로 볼 때 맨 처음 주목되는 것은 신라 유리왕(儒理王, 재위 24~57)때의 「도솔가(兜率歌)」로, 신라가 족장시대를 청산하고 왕국의 기틀을 확립해 간 단초가 되는 시기에 유리왕의 치적에 따른 민족의 환강(歡康)을 예찬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도솔가(兜率歌)」가 ‘차자사뇌격(嗟辭詞腦格)’을 갖추고 있다는 기록으로 보아 양식화되어 본격적으로 창작되었던 시가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향가 특히 사뇌가 양식이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시가 양식으로서 이 시대의 主流的 양식이었음을 『삼대목』의 편찬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향가는 現傳하는 국문학 유산 중에서 양식화된 서정시 형식의 최초의 완성된 형태임은 분명하며, 우리 문학사에서 서정시의 발생 및 완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좀 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김석희, 「서정시 형식의 완성과 향가」, 『민족문학사 강좌 상』, 창작과 비평사 1995, p64~65 요약
2. 향가의 발생
○ 明秦雲 臣僧但屬於國仙之徒 只解鄕歌 不閑聲梵 王曰旣卜緣僧 雖用鄕歌可也 明乃作 兜率歌賦之. (三國遺事 月明師 兜率歌)
○ 明又嘗爲亡婦營齋 作鄕歌祭之. (三國遺事 月明師 兜率歌) 金承璨 , 「향가」,『한국문학개론』, 삼지원, 1996, p61
향가는 어떤 노래인가 분명하게 규정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향가라는 말이 언제 어떤 뜻으로 쓰였는가 알아보자면 『三國遺事』의 「月明師 兜率歌」 대목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거기 보면, 경덕왕이 월명사를 불러 노래를 지으라고 하자, 자기는 國仙之徒에 속해 있으므로 다만 향가만 깨쳤고 梵聲은 모른다고 했다. 梵聲이란 범패이거나 찬불가로 향가는 그런 것들과는 대립적인 위치에 있는 우리말 노래이고 국선지도가 지어 부르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위해 제를 지낼 때, 향가를 지었더니 문득 바람이 일어나 제단에 놓인 종이돈을 휘몰아 서쪽으로 갔다고 했다. 기사 끝에는 <삼국유사> 저자의 말로 “신라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한지 오래 되었다”고 하고, 향가가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일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했다. 조동일, 『제 3판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994, p144~14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학] 한국문학의 특수성
  • 민요, 서사무가, 판소리, 신화, 전설, 민담, 소설희곡: 가면극, 인형극, 창극, 신파극, 현대극본고에서는 장덕순의 서정, 서사, 수필 3갈래설을 따른다. 장덕순은 서정에 고대가요,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주관적 서정적 가사), 잡가를, 서사에는 설화(신화, 민담, 전설), 소설(전기적 소설, 서사시), 수필(일기, 내간, 기행, 잡필, 객관적 서사적 가사)를, 극에는 가면극, 인형극, 창극을 두어 구분하였다. 2) 시대구분국문학사의 시대구분은 국문학 연구

  • [국문학] 고전시가의 흐름과 이해yu
  • 시 감탄사 아으를 두었다. 이러한 형식상의 특징은 후대의 시조나 가사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대부분의 향가는 10구체이다. 특히, 10구체의 향가는 격조 높은 서정시로서 세련된 수사와 트청한 시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제망매가와 찬기파랑가는 표현 기교와 서정성이 빼어나 향가의 백미로 일컬어진다.(2) 내용향가의 내용은 민요, 동요, 토속 신앙에 대한 것, 임금을 그리워하는 노래, 나라를 다스리는 노래 등 다양하나, 부처님의 찬양과

  • [고전시가론] 상대시가
  • 향가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기다.2. 상대시가의 존재양상과 구조① 중국측 고기록ⅰ) 신격(神格)에 대한 찬양과 기원의 노래: 영고(迎鼓)=(부여), 동맹(東盟)=(고구려), 무천(舞天)=(예) 등 천신을 위한 국중대회(國中大會)=(나라굿)ⅱ) 性的노래: 수혈(隧穴)에 수신(隧神)을 맞이하여 제의(祭儀)를 가진다. - 동맹(고구려)ⅲ) 추수감사의 노래: 남부의 부족사회에서 농공시필기(農功始畢期)에 곡모신(穀母神)을 위한 농경의례ⅳ) 애정적. 서정적노래ⅴ) 농사

  • [고전시가론] 가사부전시가
  • 시대 문학의 특징 ㉠ 초기에는 무격신앙(巫覡信仰-Shamanism)과 정령 신앙(精靈信仰-Totemism)을 바탕 이 되었으며, 통일 신라 이후 불교사상(佛敎思想)과 유교사상(儒敎思想)이 기반이 되 었다.- 종합 예술: 음악, 무용, 시가의 집단 가무(集團歌舞)㉡ 구비 전승(口碑傳承=口碑文學=口傳文學=流動文學)됨.- 한자 수입후 정착됨 ㉢ 향가의 발생- 정형시(定型試), 서정시(抒情詩), 불교적(佛敎的)㉣ 서사문학에서 서정문학으로 발달□ 원시종합예술(原始綜合藝

  • [고전시가론]율격연구와 상대시가에 대해
  • 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원리의 하나이다. 따라서 율격 연구를 통하여 현대시에 대한 이해로까지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생성하게 된다. 둘째로, 율격론은 시가의 형식적 특성을 규명하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시가가 형식적으로 어떠한 양상을 띠며 발전해 왔는가를 알 수 있게 도와준다. 이것은 동시에 한국 시가의 전통성을 밝혀 주며 우리 문학의 총체적인 면까지 살펴볼 수 있게 한다. 향가부터 현대시까지, 농부의 민요에서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