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각의 삶 Living in Oblivion, 1995 캐릭터, 구조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망각의 삶 (Living in Oblivion), 1995> 캐릭터, 구조 분석
저예산 독립영화를 촬영하는 그들, 언뜻 보면 오합지졸 단편영화 스탭인 그들이 모여 각자의 꿈을 필름에 담는다. 영화는 지속적으로 영화 내 주인공들이 꾸는 꿈과 현실이 반복되며 각자 품어왔던 꿈을 망각하고 현실에 치여살게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영화의 주인공이고 영화를 가장 무게감있게 이끌어가는 스테미 부세미가 연기한 이 영화의 연출자, 닉이 있다. 끊임없이 작품에 대해 생각하고 작품에 가장 애착을 갖는 캐릭터이다. 영화는 현실에서 시작되었다가, 닉의 꿈에서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연출자로서 작품에 집착하는 것과 작품을 만들어나가는 데 있어 느끼는 부담감이 영화의 시작에서부터 몰입감 넘치게 진행된다.
개인적으로 닉이라는 캐릭터가 가장 잘 드러나는 장면은 화내는 장면도 아니고, 좋은 장면을 찍고 기뻐하는 장면도 아니고, 자동차 안에서 운전수와의 대화 장면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걷고 있는 길이 제대로 된 길인지, 자신에게 맞는 길인지, 현재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잘 드러난다. 꿈속 촬영장에서도 이상한 소리를 아무도 찾아내지 못하자 여기서 일을 하는 사람은 자기 혼자냐는 말을 하는데, 여기서도 닉의 고독함이 잘 드러난다. 영화를 성공적으로 만들어야겠다는 희망보다는, 영화를 만들기 힘든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감이 더욱 돋보인다. 이런 그의 모습은 현실을 망각하는 꿈이 아닌, 힘든 현실마저 잊게 해주는 진정한 영화에의 기쁨이다. 연출자로서 맘에 드는 장면 하나하나를 만들어나갈 때의 기쁨이, 그를 망각의 삶으로 인도한다. 힘든 현실을 모두 잊고 자신을 무시했던 이들에게 욕 한마디 뱉어줄 수 있는, 현실을 망각할 수 있는 행복한 삶 말이다.
그리고 닉 다음으로 인상깊었던 캐릭터가 엘렌이다. 그녀는 영화를 떠나서 자신의 연기 자체에 대해 고민한다. 연기자, 혹은 예술가로서 누구나 하는 고민, 리차드 기어 영화에 나와서 주목받았다는 것으로 항상 그것으로 얘기되고 비교되는 고민을 한다. 누군가와 비교된다는 것과 그 비교됨이라는 굴레 안에 갇혀 있는 주인공의 심정이 잘 드러난다. 그러한 굴레에 대한 의식이 엘렌이라는 캐릭터의 행동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연기를 통해서 성공하겠다는 생각보다는 연기로서 자신이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이 더욱 크다. 때문에 영화의 마지막 각자의 꿈을 생각하는 장면에서도 닉처럼 성공한 미래의 모습이 아닌, 연기를 포기하고 다른 직업을 찾으며 고생하는 모습을 상상한다. 리차드 무어 영화에서의 압박 때문인지 지나친 패배의식으로 스스로를 자신의 틀 안에 가두려는 캐릭터이다. 주체적인 의식과 행동보다는 분위기에 휩쓸리는 모습을 보이며 촬영장에서도 채드에게 휘둘린다. 닉과 사랑에 빠지는 꿈을 꾼 이후엔 또 꿈의 분위기에 휩쓸려 닉을 평소와는 다르게 바라보고, 닉의 행동 하나하나에 주목한다.
그리고 영화 내에서 가장 밉상(?) 캐릭터인 채드가 있다. 영화 내에서 보기 드물게 자신에게 굉장한 자부심을 갖고 있는 캐릭터인데, 자부심이 너무 강하다 보니 문제가 있는 캐릭터다. 지나친 자부심이 허영심으로까지 발전되어 되도 않는 의견을 내기도 하고, 영화는 무시한 채 오직 자신만이 돋보이게끔 하는 데에만 급급하다. 엘렌과는 대비되는 캐릭터인데 그래서 그런지 (볼품은 별로 없지만) 엘렌을 휘두르고 자신의 마음대로 행동한다. 물론 얼토당토 않는 거짓말 때문이겠지만 사실 사회라는 것이 그러하다. 목소리가 더 큰 사람이, 더 인정받고 잘 나가는 것이다. 과유불급이겠지만, 어찌되었든 채드는 자신감 넘치게 살아간다. 영화 내에서 꽤 굵직한 캐릭터이지만 마지막 꿈을 상상하는 씬에서는 아예 배제되어 있다. 그에게는, 꿈을 상상하는 것이 필요치 않을 것이다.
이러한 여러 캐릭터들의 꿈이 얽히고설키는 내용을 영화는 진짜 ‘꿈’ (잠이 들 때의)으로 풀어 나가고 있다. 제일 먼저 나오는 닉의 꿈에서 영화 촬영장의 모습은 흑백이고 영화가 촬영되는 카메라에 담기는 영상은 컬러인 게 눈에 띈다. 이런 영화의 구조는 닉의 캐릭터와도 잘 맞아 떨어지는데 오직 영화만을 생각하고 영화만을 꿈꾸는 닉에겐, 현실보다 영화에 담겨지고 있는 영상이 더 중요할 것이다. 그것이 그에게 진짜 꿈이며, 현실보다 더욱 아름다운 세상이다. 때문에 카메라에 찍히는 영상은 컬러이다. 여기서 닉이 만족하는 장면은 카메라를 작동시키지 않은 리허설 장면인데, 현실이지만 아름답고, 아름답지만 흑백으로 처리되어있다. 컷이 끝나고 나서 닉은 화내고 절망한다. 컬러로 담고 싶은, 영화로 담고 싶은 아름다운 장면이지만 끝끝내 현실인, 흑백인 장면이기 때문이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아메리칸 뷰티 영화 느낀점
  • in years.If youve thought of them at all.But in the last second of your life, you remember them with astonishing clarity. Because theyre just so. beautiful.that they must have been imprinted, on like a cellular level. For me it was, lying on my back at Boy Scout camp, watching falling stars.And yellow leaves from the ginkgo trees that lined our street. Or my grandmothers hands, and the way her skin seemed like paper.And the first time I saw my cousin Tonys brand new GTO. And the way I felt when Angela first smiled at me. Carolyn. And Janie. And Carolyns roses I gu

  • [영화감상문, 영화감상] 영화감상문 17가지 모음
  • 캐릭터의 성격이 전형적인 이분법적 구조(남과 여)라는 데에 식상해 할 필요는 없다. 카메라는 시종일관 이 이분법적 구도에 기대 관객으로 하여금 그 구조에 대한 문제의식의 발현자체를 막아버리는 폭력(?)을 행사하지만 그것만큼 정확한 현실 인식의 반영은 없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나 환경이 그만큼 다각적이지 못하다는, 일종의 반성적 의미로써 받아들인다면 훨씬 쉽게 결론에 다가설 수 있지 않을까? 이분법적 구도

  • 2018년 1학기 kcu 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 A+자료 입니다
  • 삶과 죽음의 지혜에 대한 유익한 이야기를 나눈다. 그 마지막 6개월 동안 모리는 ABC TV의 인터뷰 프로그램 ‘나이트라인’에서 사망하기 몇일 전까지 3회에 걸쳐 사회자 테드코펠과 집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는데 삶과 죽음에 대해 마지막 ‘명 강의’를 하여 미국 국민들의 심금을 울린다.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모리는 힘든 자신 보다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평소처럼 자기일에 충실할 것을 권장하고, 위로와 도움을 받아야 할 사람이 오히려

  • LG 에버랜드 외식산업의 고객만족경영 전략분석
  • in the amusement park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10(7):297~308․ Milamn. A. (2001). The future of theme park & attraction industry : a management perspective. Journal of Travel Research, 40(November):139~147․ Sogo Unicom (1997). 「Theme park :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서의 활성화 책」 월간 레저산업 1997년 12월호 특집기사 (에버랜드 역)․ Thach. S. & Axinn. C. (1994). Patron assessments of amusement park attributes. Journal ofTravel Research, 32(3):51~60ㆍ LG텔레콤 홈페이지 2001,2002(제10,1

  • [가상공간] 싸이월드를 통한 인터넷문화
  • in-der-Welt-geworfene) 존재하이데거인 나로서는 땅위에 굳게 뿌리 박혀 있기 때문에, , , 의 입장권은 나를 현실의 삶으로부터 영원히 떠나 보낼 수 없다. 요컨데 현실 공간의 거주자는 공동 운명을 갖는다. 전쟁, 자연재해, 사회적 악덕 등에 대해 공동의 아픔을 나누고, 책임을 공유한다. 언제나 오프(off)하면 이탈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은 시뮬레이터에 불과하다. 그곳은 시간이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