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가의 성격(출전과 내용)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공무도하가의 성격
들어가며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引)>는 <구지가(龜旨歌)>, <황조가(黃鳥歌)>와 함께 고대시가 가운데 서정시가로서, 순애보적인 애절한 배경설화로서, 그리고 강과 이별과 재생의 이미지를 지닌 작품성으로 인해 주목받아온 작품이다. 우리 고대시가의 남상(濫觴)이라는 측면과, 이후 시가의 전통에 많은 영향을 미친 작품이기도 하다.
공후인의 배경설화에서 핵심적인 어구는 ‘광부(狂夫)’와 ‘피발(被髮)’의 의미, 그리고 ‘호(壺)’의 용도였다. 기존연구에서 ‘호’는 술병으로 해석되어서 백수광부는 알콜중독자나 혹은 미치광이, 혹은 주신(酒神)으로 여기게 된 것이다. 이번 발제에서는 ‘호’를 『한어대사전』의 용법중 요선(腰舟)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겠다.
<공무도하가>의 출전과 내용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는 여러 가지 문헌에 내려오는데, 채옹의 『금조』, 최표(崔豹)의 『고금주』, 곽무천의 『악부시집』 등에 실려 있는데, 시가와 배경설화를 최초로 수록한 책자는 후한 말 채옹이 엮은 『금조』이며, 설화만을 상세하게 기술한 책자는 진(晋)대의 최표가 엮은『고금주』이다.
蔡邕『琴操』(채옹, 금조)
引 者 朝鮮津卒 里子高所作也 子高 晨刺船而濯 有一狂夫 被髮提壺 涉河而渡 其妻追止之 不及 墮河而死 乃號天 鼓而歌曰 公無渡河 公竟渡河 公墮河死 當奈公何 曲終 自投河而死 子高聞而悲之 乃援琴而鼓之 作引 以象其聲 所謂公無渡河曲也
『琴操』卷上, 引
崔豹 『古今注』 (최표, 고금주)
引 朝鮮津卒 里子高妻麗玉所作也 高晨起刺船而濯 有一白首狂夫 被髮提壺 亂河流而渡 其妻隨而止之 不及 遂墮河水死 於是 援而鼓之 作公無渡河之曲 聲甚悽愴 曲終 自投河而死 里子高 還以其聲 語其妻麗玉 玉傷之 乃引而寫其聲 聞者 莫不墮淚掩泣焉 麗玉以其曲 傳女麗容 名之曰 引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공무도하가의 성격
  •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무도하가」의 배경설화에 나오는 ‘백수광부’를 고지식하나, 고집이 센 평범한 필부로 보았다. 특히, 광부라는 표현은 아내의 남편에 대한 겸사나 애칭으로 본 것이다. 만일, 미치광이로 본다면, 아내의 입장에서는 따라 죽어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고, 동시에 주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소재가 될 수 없다는 점이다. 더군다나, 강한 전승력을 가지고 후대에 전해지는 것은 그 이면에 애절한 사연

  • 공무도하가의 성격(공무도하가의 출전, 배경설화 및 노래)
  • 공무도하가>의 창작시기를 추정하는 문제는 이 노래의 문학사적 성격의 규정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첫째, 공후라는 악기가 유입되어 유행하였던 연대를 근거로 하여 2세기말을 추정하는 견해도 있으며 문헌에 정착된 연대를 근거로 삼자는 견해도 있다.둘째, 원시종합예술로부터 음악의 분리, 진전 과정을 통하여 그 시기를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겠는데, 음악의 진전 과정 속에서 서정시가가 분리되는 것은 현악기의 출

  •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성격(공무도하가의 출전과 배경설화, 공무도하가의 여러 가지 쟁점들)
  • 공무도하가>가 불리어졌을 당시는 지금처럼 국경의식이 명확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국적논의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2.4. 형성 시기의 창작시기를 추정하는 문제는 이 노래의 문학사적 성격의 규정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첫째, 공후라는 악기가 유입되어 유행하였던 연대를 근거로 하여 2세기말을 추정하는 견해도 있으며 문헌에 정착된 연대를 근거로 삼자는 견해도 있다.둘째, 원시종합예술로

  • 고전시가의 흐름
  • 성격○ 시가와 문필의 중간적인 형태 : 시가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이행되는 과도기적 장르라는 설(조윤제)○ 가사는 율문으로 된 수필이라는 설○ 율문으로 된 교술 문학 : 교술 율문이 민요, 경기체가 등의 형태로 오랜 기간 동안 전승되다가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가사라는 장르로 굳어졌다는 설(조동일)(3) 내용○ 서정성이 강한 작품 : 상춘곡, 사미인곡 등○ 실제적 사실과 체험을 기록한 노래 : 연행가, 일동장유가 등○ 이념, 교훈 등 널리

  • 삼국시대의 문학
  • 내용과 너무나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⑵ 작자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하겠지만 설화상의 가공인물로 보는 이론은 상당한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4. 향가의 성격(1) 불교와 밀접한 관계『三國遺事』에 실려 있는 鄕歌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이 불교와 밀접한 관계를 지님 ⑵ 현존 鄕歌의 성격 규정에 대한 쟁점 ① 鄕歌를 불교의 포교가로 볼 것이냐 ② 민족의 노래로 볼 것 이냐 ⇒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