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연구] 김시습과 금오신화 연구 - 작품설명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김시습과 『금오신화』 연구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매월당 김시습
1) 사회적 배경
2) 생애
2. 『금오신화』작품 설명
1) 만복사저포기
2) 이생규장전
3) 취유부벽정기
4) 남염부주지
5) 용궁부연록
3. 감상과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고전문학(古典文學)은 현대문학(現代文學)의 자양분이 된다는 중요한 의의(意義)를 지닌다. 본래 다음 세대로 넘어갈 때에는 이전 세대가 기반이 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근대문학과 고전문학이 단절되었다. 고전문학을 바탕으로 근대문학을 설립하는 것이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과정이다. 하지만 일본의 문화정책으로 그들이 유입해오는 서구 문화를 무차별적으로 수용해야 했다. 그러나 지금, 현대에는 일제의 제약도 없고 고전을 연구할 충분한 여유가 된다. 때문에 고전문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현대문학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따라서 고전문학은 충분히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으며 현대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김시습(金時習)과 그가 쓴 최초의 한문(漢文)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연구하려 한다.
생육신(生六臣) 중 한 사람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광기(狂氣)와 절의(節義)의 지식인이라고도 불리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인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최초의 한문 소설로 오늘날의 단편소설집이라고도 볼 수 있다. 여기엔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위의 5편 외에도 더 많은 작품이 수록되어있었다고 한다. 김시습의 작품들은 대부분 비현실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고 있다.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죽은 자와의 사랑이야기를, 『남염부주지』와 『용궁부연록』은 꿈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용궁부연록』은 꿈과 죽음의 복합구조로 되어 있다.
본 논문은 김시습의 생애와 함께 그의 작품인 『금오신화』를 연구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금오신화』에 영향을 준 작품인 중국 명나라 구우(瞿佑, 1341~1427)가 지은 『전등신화(前燈新話)』와의 비교를 함께 보면서 작품을 분석할 것이다.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는 『등목취유취경원기(穆醉遊聚景園記)』와 비교하며,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은 『취취전(翠翠傳)』,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는 『감호야범기(鑒湖夜泛記』),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은 『수궁경회록(水宮慶會錄)』, 그리고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는 『영호생명몽록(令狐生冥夢錄)』과 그 유사점이 보인다. 따라서 두 작품들 간의 비교를 통해 『금오신화』만의 특징과 의의를 찾아내며 연구를 마무리하겠다.
Ⅱ. 본론
1. 매월당 김시습(梅月堂 金時習)
1) 사회적 배경
(1) 계유정난(癸酉靖難)
단종(端宗)은 1441년(세종 23) 7월 23일 문종(文宗)과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權氏)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단종은 1448년(세종 30) 7살의 나이에 왕세손에 책봉되었고, 2년 뒤 문종이 즉위하자 즉시 왕세자가 되었다. 1452년 5월 14일, 문종이 즉위 2년 만에 39세로 승하하자 단종은 근정문에서 즉위하였다. 당시 단종의 나이는 12살이었고, 문종은 어린 아들을 걱정하여 김종서(金宗瑞), 황보인(皇甫仁) 등 원로대신에게 보필을 부탁했다. 김종서와 황보인은 가장 위협적인 세종의 둘째아들 수양대군(首陽大君)을 견제하기 위해 셋째아들 안평대군(安平大君)과 손을 잡았고, 따라서 단종이 즉위하자 정국은 수양대군파와 안평대군·김종서파로 나뉘게 되었다.
단종을 한국사 전체에서 가장 비극적인 운명의 국왕으로 만든 계유정난은 단종이 즉위한 지 1년 반 만인 1453년(단종 1) 10월 10일에 일어났다. 조정 대신들이 안평대군과 손을 잡자 위기를 느낀 수양대군은 권람(權擥), 한명회(韓明澮) 등을 수하 책사로 맞이하고, 홍달손, 양정 등의 유능한 무인 30여명과 양녕대군(讓寧大君), 임영대군(臨瀛大君), 영응대군(永膺大君) 등의 주요 종친도 그의 세력으로 끌어들였다. 수양대군은 김종서와 황보인의 경계심을 무마하기 위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온 후 한명회와 함께 쿠데타에 대비하여 살생부를 작성했다. 그리고 음력 10월 10일, 수양대군은 좌의정 김종서를 첫 목표로 계유정난을 일으킨다. 수양대군의 신호를 받은 수하는 철퇴로 김종서와 그의 아들들을 내리쳤고, 수양대군은 사대문과 주요 군 시설을 장악하였다. 단종에게는 김종서가 안평대군과 역모를 책동했다고 보고한다. 사대문을 장악한 수양대군은 당종의 명을 빙자하여 조정 대신들을 모두 입궐하게 한 후 살생부에 적힌 대신들을 모조리 죽였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
  • 김시습의 독자적인 창의성이 부각되었음을 밝혀 졌다. 그리고 한편 김시습의 『금오신화』가 한국최초의 소설이란 점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면서 『금오신화』최초의 소설이란 데에 異見을 제시한 사람은 池浚模, (『어문학』32, 한국어문학회, 1975).고소설의 출현시기에 대한 문제가 학계에 새로운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검토하면서 김시습의 생애와 사상, 그의 작품중 『금오신화』에

  • [고전문학사] -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고찰 - 최초성에 대한 반문을 중심
  • 고전소설 『금오신화』Ⅳ.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Ⅴ. 결론 Ⅰ. 서 론A. 연구의 목적한국소설의 발생은 김시습의 『금오신화』라고 학계에서는 보고 있다. 필자의 세대가 중등교육과정에서도 이나 를 통해 배웠듯이 최초의 소설(집)이라고 배운 것은 김시습의 『금오신화』임은 당연한 사실로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이 작품을 최초의 소설(집)이라고 하는 근거에 대해서 학습한 기억이 없었다. 따라서

  • [고전문학사 소논문] 서포 김만중 작품론 - 구운몽, 사씨남정기
  • 문학 외적 연구종교사상과 자연과학김만중의 종교사상적 내면김만중의 종교사상적 내면을 보면 그가 당대의 거사로 정통적 불학자, 선학에 능통한 선객, 불교문학자 내지 포교법사의 위치를 확보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그는 당대 불교계를 실질적으로 좌우하는 불교인으로서 불교학, 선학 내지 한, 중 불교사 등에 대한 논설, 변증을 하는 한편 포교, 교화의 실천적 업적으로 불교문학, 포교소설을 창작하게 되었다. 한편 소설작품을 제작

  • 「금오신화」속에 나타난 유교사상에 대하여
  •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졌는데 정주동, 「매월당 김시습」 연구, ( 민족문화사, 1983 )정병욱, 「김시습 연구」,「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79 )박희병, 「금오신화 창작의 연원과 배경」, 「고전문학연구」 10 (한국고전문학회,1995)본고에서는 김시습 의 생애와 작품 창작의 사회․정치․문화적 배경에 대한 논의는 제외하고 작품에만 초점을 두고, 유가사상이 무엇인지와 이 유교사상이 어떻게 작품에 반영되고 그

  • 한국고전문학개론 금오신화 연구
  • 작품분석을 하였다. 그리고『금오신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사를 정리하였으며, 그런 다음 전기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가 중점을 둔『금오신화』의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금오신화』를 문학적으로 평가해보고 그것이 가지는 가치 및 문학사적 의의도 짚어보았으며, 실용화 방안에서는 우리 고전문학과 현대인들의 소통공간으로서의한국고전문학관을 설정하여 구상하여 보았다.2.『금오신화』개관1) 작가 김시습(1) 김시습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