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소학 소학언해 번역소학 이해 번역소학 번역 번역소학 해석 번역소학 문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번역소학(飜譯小學)>
1. 연대 : 중종 12
2. 언해자 : 김전, 최숙생
3. 이해 ≪참고문헌≫ 十六世紀 國語의 硏究(李基文, 고려대학교文理論集 4, 1959), 소학언해에 대하여(李基文, 한글 127, 1960), 小學諺解의 戊寅本과 校正廳本의 比較硏究(李崇寧, 震檀學報 36, 1973), 中世語의 한글 資料에 대한 綜合的 考察(安秉禧, 奎章閣 3, 1979), 飜譯小學解題(洪允杓, 飜譯小學 8·9·10 影印本, 弘文閣, 1982).(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중국 송나라 유자징(劉子澄)이 편찬한 ≪소학≫의 번역본. 10권 10책. 목판본. 김전(金詮)·최숙생(崔淑生) 등이 언해하여 1518년(중종 13)에 간행하였다. ≪소학집성 小學集成≫을 저본(底本)으로 하였기 때문에 권수가 10권이 되었다. 남곤(南袞)의 발문(跋文)에 간행 경위가 자세히 적혀 있다.
한편 ≪중종실록≫에는 이 책이 1518년 7월에 간행되어 1,300질이 널리 배포되었음이 기록되어 있다(권34, 13년 7월 己亥). 남곤의 발문에 광인유포(廣印流布)하여 아동부녀(兒童婦女)에게까지 그 내용을 널리 깨닫게 하는 것보다 더 급한 일이 없다고 한 것과 부합된다.
그러나 오늘날 원간본은 전하지 않고 중간본만이 전하는데 그나마 영본(零本 : 낙질이 많은 책)이다. 권6·7·8은 고려대학교에, 권9는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에, 권10은 국립중앙도서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이들은 을해자본을 복각한 목판본으로, 원간본이 을해자본이었음을 알게 한다. 이 목판본은 16세기 말엽, 교정청(校正廳)의 ≪소학언해 小學諺解≫(1587)가 간행되기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추측되나 확실한 것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그 번역이 15세기에 주로 불경(佛經)의 언해에서 수립된 직역(直譯)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의역(意譯)을 한 점이다. 이것은 매우 대담한 시도로서, 우리나라의 번역의 역사에서 특기할만한 사실이다.
본문의 글자들을 존중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자연스러운 우리말의 표현을 살리려고 하였고, 본문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에서는 주(注)의 내용을 거리낌없이 끌어넣었던 것이다. 이것은 오로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이해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 책의 내용을 널리 읽게 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중요하다는 생각이 대담한 의역을 택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책이 복각본까지 나온 것을 보면 상당한 환영을 받았던 것 같다.
그러나 강한 직역의 전통 속에서 이 책은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선조 때에 와서 교정청에서 ≪소학언해≫를 간행하기에 이르렀는데, 이 책은 직역체로 되어 있으며, 그 첫머리의 〈범례 凡例〉에 ≪번역소학≫의 의역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보인다.
4. 국어학적 특징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어] 국어 상하 총정리
  • 이해할 수 있는 일상적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청나라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 호인에 대한 문화적 우월감을 지니고 멸시함. 그러나 발달된 선진 문화의 측면(실용적인 면)에 대해서는 수용 내지 소개라는 이중적 태도를 지니고 있음 ⇒ 숭명배청의식 + 실학사상5. 적벽부갈래: 부(수필) 문체: 번역체, 문어체성격: 관조적, 풍류적, 자연친화적, 감상적주제: 대자연 속에서의 인간의 삶의 의미(인생무상의 극복)※부록 중 읽어야할 페이지: 299-300, 3

  • 한자 - 구결, 이두, 향찰에 대해서
  • 이해하고 향가를 실었을 것으로 믿어지고, ≪향약구급방≫의 우리말 표기에서도 향찰로 표기된 문장이 쓰인 것으로 보아 13세기까지는 존재하고 있었음이 분명하다.향찰의 발달과 보편화는 한문을 우리말로 새겨 읽는 석독구결(釋讀口訣)의 발달보급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구역인왕경 舊譯仁王經≫의 고려시대 석독구결은 한문을 우리말로 새겨 읽은 것으로, 그 원문을 토와 함께 토가 지시하는 대로 배열하면 바로 향찰과 같은 국어의 표기가 된

  • 고전소설과 여성 독자
  • 해석 양상이 여러 갈래로 나뉘며, 결말 부분의 처리에 따라 다양한 이본이 형성되어 있다는 데서 당대 여성들이 이 이야기를 어떻게 소화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위에 소개된 줄거리처럼 까투리가 재혼도 하고 자식을 결혼시키고 노후를 잘 보냈다는 결말을 넣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결말이 존재함을 분명히 밝혀둔다.남성성과 여성성은 실제로 고정되어 있는 전형이 아니다. 하지만 분명히 가부장

  • [방언어휘, 방언, 어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의미, 방언어휘(방언의 어휘)의 특성, 황해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경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경상남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함경북도의 방언어휘(방언의 어휘) 분석
  • 황해 방언의 모음 체계, 언어 24-3, 한국언어학회김태균(1986), 함북방언사전, 경기대출판부김주원(1984), 18세기 경상도 방언의 음운현상, 인문연구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곽충구(1992), 황해도 방언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김영배 편저, 남북한의 방언 연구, 경운출판사곽충구(2000), 함북방언의 비자동적 교체 어간과 그 단일화 방향,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박영섭 외(1998), 한국어의 역사, 대한교과서이상규(1999), 경북방언 문법연구, 박이정

  • [국어학] 제6편 제6장 근대국어
  • 국어 발달의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미래의 국어가 발전해야 할 지향점을 찾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4.참고 문헌조오현 외, 『한국어학의 이해』, 소통, 2008이광호,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2004이익섭,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근대 국어-』 , 국립국어연구원, 1997허웅, 『국어음운학:우리말 소리의 오늘과 어제』, 샘문화사, 1985김종택, 『국어 어휘론』, (주)탑출판사, 1992김무림,『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4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