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당금석과안록 소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1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예당금석과안록』소고
目 次
머리말
Ⅰ. 예당금석과안록의 저술 및 출현배경
1. 추사의 금석학에 대한 인식
1)인식에 대한 근본적 동기
2)학문적 성향
2. 북한산비에 이르게 된 과정
3. 추사 이전 조선의 금석학 연구
Ⅱ. 예당금석과안록의 내용분석
1. 체재분석
1)체재
2)소문단별 분석
2. 내용분석
Ⅲ. 예당금석과안록의 가치
1. 금석학적 가치
2. 역사적 가치
Ⅳ. 예당금석과안록 이후의 금석학
맺음말
머리말
흔히 완당 청의 고증학자 완원이 추사 김정희에게 완당이라는 호를 내려 사제의 인증을 확실히 하였는데 30대로 들어서면서 김정희는 추사보다도 완당으로 불리게 된다. 본고에서는 그의 호를 완당과 추사두개를 혼용하여 쓰기로 한다.
김정희와 연관해서는 그의 기괴한 글씨인 추사체를 먼저 떠올리게 될 것이다. 물론 추사는 부단한 노력과 法古創新의 자세로 그만의 독특한 서예체라고 할 수 있는 추사체를 탄생시킨 당대 최고의 서예가였다. 하지만 그가 서예를 학문적으로 다룬 제1인자였으며, 학문에 있어서는 실학 특히 고증학과 금석학에서 당대 최고의 석학이었다는 점 그리고 옛 서화작품에 대한 훌륭한 감식안을 가졌던 사실 등은 그의 서예가로서의 측면 때문에 감춰져 보인다. 즉 추사는 단순히 한 측면에서 평가될 인물이 아닌 것이다. 그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을 것 같지만 추사의 傳記에 대해 통시적으로 접근 한 이는 지금껏 최완수와 유홍준 밖에 없다. 물론 추사의 서예, 문학, 고증학 등 따로 접근한 이는 많다. 추사의 학식과 인품이 너무나 크고 넓기 때문에 “세상에는 추사를 모르는 사람도 없지만 아는 사람도 없다.” 라고 한 世評이 적절하게 맞아 떨어진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추사의 금석학자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나타내준『예당금석과안록』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예당금석과안록』은 추사가 황초령비와 북한산 순수비를 고증한 한국 금석학 최초이자 최고의 논문이다. 우선 본고에서는 『예당금석과안록』논문 자체에 분석과 왜 이러한 논문이 나오게 되었는가에 대해 추사와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추사 이후의 금석학의 발전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에서의 금석학 발전에 대해 개괄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글을 전개하고자 한다.
Ⅰ. 예당금석과안록 『禮堂金石過眼錄은』 추사 김정희가 황초령비와 북한산비를 고증하는 내용을 담은 일종의 금석학 논문이라고 할 수 있다. 원문과 번역은 민족문화추진회 사이트(www.minchu.or.kr)의 고전국역총서 완당전집 제1권 攷 眞興二碑攷라는 제목하에 실려있으니 참고바란다.
의 저술 및 출현배경
1. 김정희의 금석학에 대한 인식
1) 인식에 대한 근본적 동기
추사의 금석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가장 근본적인 동기가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은 그의 학문적 성향 이전에 금석학에 대한 접근 기회를 어떻게 부여받았는지를 살펴봄으로 인해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추사는 양자로 들어간 백부 김노영의 영향으로 인해 청나라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김노영은 북학의 선구자인 담헌 홍대용의 再堂姪로 연암 박지원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또한 김노영은 연암의 실학사상을 이어받아 북학론을 완성한 초정 박제가와 교류하였다. 김태욱, 1999「추사의 실사구시설의 교육철학적 논의」, 『교육철학』, 한국교육철학회, 60쪽
이로 인해 추사의 스승은 박제가가 되었으며 박제가는 추사에게 자신이 추구하는 학문인 북학을 지도하였으며 청나라 연경의 발달된 문물과 학자들의 활동에 대해 전해주게 되며 이는 추사가 1809년 24세의 나이로 연경에 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추사 김정희에 대해서
  •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황초령비의 재발견으로 완당은 다시 진흥왕 순수비를 연구했다. 그래서 완당의 대표적인 금석학 논문인 ‘진흥2비고’라가도 부르는 ‘예당금석과안록’이 저술된 것은 대개 이 무렵으로 생각된다.5)「인재설」에서 찾을 수 있는 실사구시 정신실사구시 정신이 그의 정신세계의 근본이었음은 그가 말한 「인재설」에서도 엿볼 수 있었다. 하늘이 인재를 내리는 데는 애당초 남북이나 귀천의 차이가 없으나, 누구는 이루고 누

  • [인문사회] 한국사
  • 소리․가곡, 庶民文學의 發達 全盛期로 詩社組織, 정수동․김삿갓(2) 繪畫朝鮮初期(16世紀)朝鮮中期(16, 17世紀)朝鮮後期(18, 19世紀)人物化․山水化 流行(進取的․浪漫的 傾向) →* 안견 : 몽유도원도* 최경 : 산수화에 능함* 이상좌 : 松下步月도* 강희안 : 고사관수도* 신숙주 : 화기 著述(繪畵 理論)* 수문, 문청 : 日本 畵壇 에 影響 四君子, 肖像畵 流行(士林의 賤待로 沈滯) →* 이암 : 動物畵에 능함* 이정 ; 대나무를 잘 그림* 황집중 : 포도를

  • 영일 냉수리 신라비 연구보고서
  • 금석록(三韓金石錄)』은 삼국 이래 금석문의 목록과 몇 가지 금석문의 판독문 전문을 싣고 이를 고증했다. 그리고 홍양호(洪良浩)는 그의 문집인 『이계집(耳溪集)』에 삼국, 고려의 주요 금석문 목록을 실었고, 서유구(徐有?)는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고대~조선의 유명한 금석문 이름과 소재지, 건립 연대 등과 함께 자신의 의견을 덧붙였다. 이밖에 금석문을 수집, 연구한 대표적 인물로 이익(李瀷), 안정복(安鼎福), 조인영(趙寅永), 정약용(丁

  • 한국사 레포트
  • 소멸 3) 부족연맹사회B.C. 4세기경 철기문화의 유입 → 농업생산력 증대, 경제기반의 확대, 여러 계통의 융합 →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성립 정치․사회경제제천행사풍속특산물부여중앙부족(마가, 우가, 저 가, 구가등) 과 사출도를 다스리는 4개의 소국들이 합하여 5부족 연맹체를 이 루어었다.반농반목의 경제단계영고(12월)순장․일부다처제․ 일책십이법(도둑질 한 자는 12배의 배 상을 진다)명마․모 피․수목고구려고구려는 부여

  • 족보 경주 김 씨慶州金氏
  • 기슭에 있는 선고묘(先考墓) 옆에 가옥을 지어 수도에 힘쓰고 이듬해에 광주(廣州) 봉은사(奉恩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다음 귀가하여 세상을 떴다. 문집에 《완당집(阮堂集)》, 저서에 《금석과안록(金石過眼錄)》 《완당척독(阮堂尺牘)》 등이 있고, 작품에 《묵죽도(墨竹圖)》 《묵란도(墨蘭圖)》 등이 있다.시조이신 대보공(알지공)서부터 우리는 신라 38왕을 비롯하여신라, 고려, 조선시대까지 수많은 훌륭한 인물을 배출해 왔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