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추사 김정희의 생애와 사상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05.09 / 2019.12.24
  • 1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6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들어가는 말
2.김정희의 생애
3. 북 학 론
4. 실 사 구 시 설(實事求是設)
5. 실사구시 개념
6. 타 학문의 비판적 수용
7. 실사구시 정신
8. 나오는 말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김정희(1786-1856)는 서예가, 문예가, 고증학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논하려는(엄밀히 말해서 살펴보려는) 김정희의 면모는 이러한 서예가, 문예가가 아니라, 조선후기 유학의 한 양상인 실학파의 학자로서의 측면이다. 따라서 그에 관한 잡다한(?) 얘기는 그의 생애와 함께 간략히 다루기로 하고 주로 그의 실학사상가로서의 사상을 다루겠다.
실학이라는 말은 `쓸모있는 학문`을 연구하여 `사물을 통하여 진리를 탐구`한다는 뜻의 준말이다. 실학사상은 17세기 중엽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개화사상이 발생하게 된 19세기 중엽까지 하나의 시대적 사조로서 존재하였다. 조선후기 실학파의 성립 배경은 임진,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드러나는 사회지도층의 공리공론에 치우친 도학파에 대한 반발이라는 사회적 요인과, 17세기 이후 전래된 양명학, 서학, 고증학에 대한 긍정적 수용이라는 학문적 요인을 꼽을 수 있다. 여기서 잠깐 김정희와 연관이 깊은 고증학을 짚고 넘어가야겠다. 고증학은 경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경전의 본 뜻을 밝히는 학문으로 청대에 일어난 학풍이다. 이러한 고증학의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연구태도는, 성리학적 혹은 의리론적 해석태도를 벗어난 새로운 기풍이었다. 그러나 고증학을 위한 방대한 문헌을 구하기가 어려웠으며 ,그보다 더 절박한 것은 현실의 문제였다. 그럼에도 ,고증학적 방법은 실학파에게 우리자신의 역사와 지리, 그리고 문헌에 보다 객관적으로 접근하려는 데 자극을 주었고, 국학연구의 업적을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했다.
참고문헌
1. 이 선경 ,완당 김정희의 실사구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1.11
2. 유 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창작과 비평사, 1991
3. 최 수완, 秋史書波考, 간송문화, 1981
4. 김 길환, 조선조 유학사상 연구, 일지사, 1980
5. 이 을호, 한국개신유학사시론, 박영사, 1979
6. 한국철학회편, 한국철학사(하권), 동명사, 1987
7. 이 이화, 이야기 인물한국사1권, 한길사
8.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문화사, 오월, 1988
9. 강 재언, 신편 한국근대사 연구, 한울, 1988
10.유 명종, 청대철학사, 이문출판사, 1989
11.고 재욱역,중국 근대철학사 ,서광사,1989
12.김 용옥, 讀氣學說, 통나무, 199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조선 후기의 예술
  • 사상의 흐름』, 강원대학교출판부, 2007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조선 후기 문학의 양상』, 이회문화사, 2001『조선시대의 민속음악』, 평화문제연구소, 2007『세계음악사, 악학궤범같은 ‘악서’ 없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5『판소리의 갈래와 역사적 성격』,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7윤미용, 『한국음악자료총서 권37 -조선시대음악풍속도1』(서울: 민속원), 2002.-, 『한국음악자료총서 권38 -조선시대음악풍속도2』(서울: 민속

  • [작가론]조선후기 대표작가 고찰
  • 김정희 金正喜, 1786 ~ 1856 (정조 10∼철종 7)▣ 이상적 李尙迪 1804 ∼ 1865 (순조 4∼고종 2) ▣ 이규경 李圭景, 1788 ∼ 1856 (정조 12∼철종 7)▣ 최한기 崔漢綺, 1803 ~ 1875 (순조 3∼고종 16)▣ 이양연 李亮淵, 1771 ∼ 1853 (영조 47∼철종 4)정래교 鄭來僑, 1681~1759 (숙종 7∼영조 33)1. 생애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윤경(潤卿), 호는 완암(浣巖). 변변치 못한 사인(士人) 출신이었으나 시문에 뛰어나 당대 사대부들이 그를 추중(推重)하였다. 1705년(숙종 3

  •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공통) 월북작가 박태원과 정지용문학의 존재방식(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북한문학사에서의 위상평가에 대해서도 비교분석
  • 생애와도 맞닿아 있다. 우리 근대 소설사의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두 흐름을 공유했던 박태원의 소설은 오늘날의 우리 현대소설에 입체적 좌표를 설정하면서 소설세계의 폭을 넓혀주었다.박태원의 소설이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나 역사의식을 드러내지 못함으로써 사상이 결여되고 현실을 추상적으로 인식한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또한 박태원의 대부분의 소설들에서 환경과의 직접적인 대응에 약한 인물들이 서사 주체로 등장함으로써 당시의

  • [고전문학] `실학사상`과 `국문학` 연구
  • 사상적 토대 위에서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조선 성리학과 실학을 매개하는 인물로서 한백겸이 있는데 그는 이황과 이이의 철학을 종합 ․ 절충하는 한편 토지개혁론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기전론(箕田論)을 제기하였고 이런 그의 사상은 유형원에게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다만 실학과 조선의 성리학이 질적 차이가 나는 점과 새로운 학문 경향으로서 주례학(周禮學)이 실학에 도입된 점에도 주목하여야 한다. 주례학은 여말선초 시기 정

  • 의재 허백련 레포트
  • 철학박사 학위받음 작품세계 의재 허백련은 한국 남화의 대가이다.의재의 화법은 소치에 그 뿌리가 있다. 소치는 세필을 싫어했으며 형상보다 뜻을 더 중요시했다. 그림보다 화찬을 더 중요시한 의재는 화찬을 정한 후 붓을 든다. 이것은 문인화의 시, 서, 화 3절 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시와 서를 우위에 놓기때문이다. 특히 의재의 산수에서는 밋밋한 황토산이 자주 나타나는데 이것은 전라도 산의 진경을 그린것으로 1951년 이후 더욱 강하게 나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