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 한국서지 정보-무예도보통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2.07 / 2019.12.24
  • 1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목차

Ⅰ. 저자사항
1-1. 이덕무
1-2. 박제가


Ⅱ. 내용사항
2-1. 내용과 구성
2-2. 책에 대한 평가


Ⅲ. 판본사항
3-1. 권수제면
3-2. 관련참고자료


Ⅳ. 참고문헌

Ⅴ. 부록
본문내용
Ⅱ. 내용사항

2-1. 내용과 구성

이 책은 목판본. 4권 4책. 규장각 도서. 정조가 직접 편찬의 방향을 잡은 후 규장각 검서관 이덕무(李德懋) ·박제가(朴齊家)와 장용영 장교 백동수(白東修) 등에게 명령하여 작업하게 하였으며 1790년(정조 14)에 간행되었다.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란 제명에서 ‘무예(武藝)’란 무(武)에 관한 기예를 뜻하고, ‘도보(圖譜)’는 어떠한 사물을 실물의 그림을 통하여 설명함으로써 계통을 세워 분류하는 것을 의미하며, ‘통지(通志)’는 곧 모든 것을 망라한 종합서를 말한다. 24가지의 무예가 실려 있는 ‘무예도보통지’라는 무예서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무예도보통지’는 선조 31년(1598)에 한교(韓嶠) 1556년(명종 11)∼1627년(인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사앙(士昻), 호는 동담(東潭).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적을 토벌하였으며, 그 공으로 벼슬길에 나가기 시작하여 사재감참봉·예빈시주부·군자감판관 등을 거쳐 죽산·의흥의 현감을 역임하였다. 유저로는《무예제보 武藝諸譜》 등이 있다.

가 편찬한 6가지 무예로 이루어진 ‘무예제보(武藝諸譜)’와 영조 35년(1759)에 사도세자가 주도하여 편찬한 18가지 무예로 이루어진 ‘무예신보(武藝新譜)’를 모체로, 한·중·일 삼국의 서적 145종을 참고하여 1790년에 완성된 종합무예서이다. ‘무예도보통지’는 이전에 편찬된 ‘무예제보’와 ‘무예신보’의 내용을 함께 담고 있어 임진왜란 이후의 우리나라의 창(槍), 검(劍), 권(拳) 등을 이용한 무예의 발달과정과 그 실체를 구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한 벌의 책은 조선의 전투기술사를 이루고 있으며, 전투기술을 중심으로 한 역사, 사회적 문제가 종합적으로 다루어진데 있어 18세기 말엽에 조선이 지닌 ‘무예(武藝)’에 대한 개념이 오늘 우리들이 관념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판이하였음을 알게 한다. 과거적인 ‘군기(軍技)’를 엿보게 한다든지, ‘무예’ 예기의 24기를 역사적으로 의식한 데에서 종합적으로까지 중시되었던 것을 보여주고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발간과 관련하여 이 책의 발간 부서인 장용영(壯勇營) 조선 후기 국왕의 호위를 맡아보던 숙위소(宿衛所)를 폐지하고 새로운 금위체제(禁衛體制)에 따라 조직·개편한 국왕 호위군대.

의 장용영고사(壯勇營古事) 장용영과 관계된 옛일을 기록한 필사본 책이다. 정조 9년(1785)에서 정조 24년(1800)까지의 16년간의 기록이 나와 있다. 필사 연도는 1801년에서 1834년까지의 순조 연간으로 추정된다. 불분권 9책이었던 것이 현재는 제 4책이 결락되어 8책 결본으로 전해지고 있다.
2책에 ‘무예도보통지’가 만들어진 과정에 대한 기록이 나와 있다. 이 속에는 편
참고문헌
Ⅳ. 참고문헌
① 단행본
◦ 正祖 / 命選 / 李德懋 ; 朴齊家 [共] 著, (實演.完譯)무예도보통지, 서울 : 학민사, 1996.
◦ 나영일 저, 정조시대의 무예 = Martial arts in the era(1776-1800) of King Jeongjo(正祖)
◦ 곽동철, 「무예도보신지」, 무예연구소. 1949.
◦ 노영구 외, 「정조대의 예술과 과학」, 문헌과 해석사. 2000.
◦ 육태안, 「우리무예이야기」, 학민사. 1990.
◦ 서인선, 「국술」, 스포츠라이프사. 1980.
◦ 김대경, 「한국의 곤과 검」, 하도낙서. 1996.
◦ 유봄학, 「정조대왕의 꿈」, 신구문화사. 2001.
◦ 이성무, 「조선초기양반연구」, 일조각. 1985.
◦ 임동권, 정영호, 「한국의 마상무예」,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7.

② 학술저널
◦ 김준혁,「正祖의 『武藝圖譜通志』 편찬 의도와 壯勇營 강화」.『중앙사론』제21집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5), pp.290~315.
◦ 곽낙현,「《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 수록된 도검자세에 관한 고찰 -雙手刀(쌍수도), 銳刀(예도), 提督劍(제독검), 本國劍(본국검)을 중심으로-」.『 체육사학회지』제12권 1호(한국체육사학회, 2007), pp.85~98.
◦ 최복규, 「《무예도보통지》 무예론에 관한 연구 - 수련과 비교를 중심으로 -」.『 체육사학회지』제12권 2호(한국체육사학회, 2007), pp.29~44.
◦ 배우성, 「제 28 회 한국고전연구심포지엄 『 무예도보통지의 종합적 검토 』 : 정조의 군사정책과 『 무예도보통지 』 편찬의 배경」.『 진단학보』제91권 (진단학회, 2001), pp.331~354.
◦ 이용복, 「이달의 책 : 민족무예의 역사성 확보 - 『 무예도보통지 』」.『사회평론』제96권 3호 (월간 사회평론 길, 1996), pp.222~223.
◦ 최복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무예 분류의 특징과 그 의미」.『한국체육학회지』44권 4호(2005년 7월), p. 45-54.

③ 관련인터넷정보원자료
◦ 국립중앙도서관(http://www.nl.go.kr/index.php)
◦ 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문화콘텐츠닷컴 무예도보통지(http://yjc.culturecontent.com/)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소개와 구성, 한국무예로서의 의미, 보병무예(18기)와 마상무예(6기)의 원문과 해석을 볼 수 있다. 또한 24반무예의 개요, 3D viewer, 재현동영상, 재현사진, 카툰, 플래시를 제공하고 있다. 보병무예(18기)와 마상무예(6기)의 무과시험에 대한 개요, 무사캐릭터, 소품에 대한 사진도 포함되어 있다.
◦ 푸른깨비의 무예24기(http://muye24ki.com/)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스물 네 가지의 기예인 무예24기를 무예도보통지를 통하여 단계의 동작을 그림을 덧붙여 세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특이한 점은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설명을 영어로도 추가하여 외국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수원 화성과 무예24기의 역사적 의의, 마상무예, 무예 수련, 동영상, 자료실, 게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 무예24기보존회(http://www.muye24ki.or.kr/)
무예도보통지의 소개, 범례, 의의, 복식과 무예24기, 무예24기보존회소개, 무예24기 정신, 무예24기 형성배경, 무예24기 구성, 정조대왕 등의 인물에 대한 소개, 그리고 수원화성과무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십팔기보존회(http://sippalki.com/html/main.php)
무예도보통지에 의해 온전히 전해지고 있는 18가지의 종합병장무예, 십팔기에 대한 소개와 역사, 십팔기 종목설명에 대한 설명과 그림을 볼 수 있다. 국기십팔기에 대한 자주묻는 질문과 답변을 볼 수 있는 십팔기FAQ메뉴와 십팔기보존회소개, 연혁 및 활동내역, 무예에 대한 여러 가지 칼럼들을 제공한다.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http://people.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하는 서비스. 역대 인물 분류별, 관직명 검색, 성씨 및 본관정보 제공.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졸업][중어중국학] 중국무술의 한국 유입과정
  • 한국에 소개된 3대 문파를 알아본다. 제 4장에서는 중국인들이 한국에 무술을 가르친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 5장에서는 중국무술 전수시작 시기를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알아본다. 제 6장에서는 한국에 전래한 중국무술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마지막 제 7장에는 결론으로서 한국에 유입된 중국무술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Ⅱ. 중국무술이 한국에 전래된 시기구분한국에 중국무술이 전파된 것은 『무예도보통지』를 참고해보면 수백 년 전으

  • [체육][스포츠][운동]체육(스포츠,운동)본질,목적,역사, 체육(스포츠,운동)미학,장애인체육,체육의 날 분석
  • 필요하다.참고문헌김의수이인경최승권(1992) : 특수체육, 서울 : 태근문화사먼로C, 비어슬리, 이성훈안원현 역 : 학술총서4, 이론과 실천, 미학사박화문(1985) : 신체 활동을 통한 장애자 조기 교육 방법검토, 장애자 체육 진흥 세미나, 대한 체육회 여성 체육 위원회송문락(1997) : 분단국(독일, 중국, 한국) 올림픽 운동의 비교연구, 경북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이영덕(1998) : 체육수업 지침서, 서울 : 교육출판사최민홍 : 플라톤전집, 상서각

  • 검도란 무엇인가
  • 문헌대한검도회 www.kumdo.org/www.naver.com제 지식을 통해 대부분 쓴글입니다.^^三國史記 : 대양서적 1972, 성암고서박물관, 1986.三國遺事 : 대양서적 1972, 오성사, 1983.新增東國輿地勝覽 : 민족문화추진회, 1969.武藝圖譜通志 : 학문각, 1970.花郞世紀 : 서울신문 1989. 2. 19. ~ 3. 9.武藝諸譜 : 국립도서관, 마이크로 필름.高麗史 : 태학사, 1982.武經七書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7.時用舞譜 : 세신문화사, 1981.申采浩全集 : 형설출판사, 1972.山海經 : 대만중

  • 사서직 공무원 정보봉사론 기출문제 모음
  • 한국특허정보원) ④ DIALOG KISTI는 1962년 1월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로 시작해 1982년 1월 국제경제연구원과 통합을 진행, 산업연구원(KIET)으로 개편됐다. 이후 1991년 1월 산업연구원과 분리돼 산업기술정보원(KINITI)으로 개원했으며, 1993년 4월 연구개발정보센터(KORDIC)가 설립됐다. 2001년 1월 현재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으로 출범해서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해외DB중 북미학위논문, 초록 서지정보, 원문제공하는 것? 1① PQDT (해외석박사 학

  • [검도][검도 역사][검도 목적][검도 의의][검도 예(禮)][검도와 본국검법][검도 효과]검도의 역사, 검도의 목적, 검도의 의의, 검도의 예(禮), 검도와 본국검법, 검도의 효과, 검도의 숙련자와 비숙련자 비교 분석
  • 문헌김영학 외 1명, 본국검법의 의미와 방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1998김영호, 검도참여의 제약요인 및 제약협상과 참여의도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2011박종진 외 1명, 한국 검도의 역사적 고찰, 충북대학교평생체육연구소, 2010장인영, 여자 검도 작은 동작 손목치기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운동학적 특성 비교, 서울여자대학교, 2009허문회, 한국검도의 형성과정과 무도사적 의의, 초당대학교, 2006황현이, 검도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수련동기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