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소설] 위경천전 작품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7.23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교감해제
가. 이본(異本) 소개
1) 유재영본 「韋生傳」
2) 임형택본 「韋敬天傳」
3) 翥初本 「韋生傳」
4) 간호윤본 「韋生傳」
나. 이본(異本)의 계열문제
2. 작품해제
가. 작가문제
나. 내용상의 특징
3. 줄거리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교감해제

가. 이본(異本) 소개

1) 유재영본 「韋生傳」
이 이본은 전 원광대학교 교수인 유재영 소장의 󰡔御眠盾󰡕(「禦眠楯」의 誤記)에 「御眠盾」, 「雲英傳」, 「慶尙道星州朴孝娘事蹟」등과 합철되어 있다. 가로 17.5× 세로 22.5cm의 1책으로 이루어진 한문 필사본으로, 「韋生傳」은 그 가운데 22장 뒷면 5행에서 25장 뒷면 3행까지 약 3면에 걸쳐 필사되어 있다. 어떠한 이유에서인지는 분명치 않으나 원 「韋生傳」 가운데 앞 1/3까지만 전사된 채 중단된 이본이다. 중단된 문면을 바로 이어 「雲英傳」의 일부 부분이 나타나고 있다. 매면 11행, 매행 15자 균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맨 마지막 장에 “庚申夏 軍器謄 可觀”이라는 필사기(?)가 나타나고 있는 바, 이 필사기를 이 작품집 전체에 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여기서 보이는 “庚申”은 1800, 1860, 1920년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것으로 추단된다. 그러나 이 가운데서 어느 연대가 그에 해당되는지는 현재의 상황 아래서는 분명히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현재 남아 있는 부분까지를 살펴본 결과, 이 자료는 임형택본 「韋敬天傳」보다는 저초본(翥初本) 「韋生傳」과 친연성이 강한 이본인 것으로, 또 그에 비하여 시대적으로 뒤에 출현한 이본이 분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임형택본 「韋敬天傳」
이 이본은 일찍이 이명선이 󰡔조선문학사󰡕에서 소개한 「章敬天傳」에 다름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그 근거로는 이 이본이 이명선이 언급한 바 있는 󰡔古談要覽󰡕이라는 동일 제명의 작품집에 실려 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이명선이 소장하고 있던 위의 자료를 뒷날 임형택이 통문관에서 입수하여 학계에 소개하면서 비로소 우리에게 알려지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총 13장으로 되어 있으며, 정자체로 쓰여 있는 1책의 한문 필사본으로, 매면 8행, 매행 22~26자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 이본은 다른 이본들과는 달리 작품의 제명 아래에 “權石洲製”라고 하여 그 작자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는 점과 아울러 작품명이 여타의 이본들과 달리 「韋敬天傳」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색다른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古談要覽󰡕에는 「韋敬天傳」 이외에도 「英英傳」, 「雲英傳」등이 합철되어 있다. 이본의 필사 연대라든가 필사자를 알 수 있는 내적 정보는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고찰의 대상이 되는 다른 이본들이 모두 「韋生傳」(국문본의 경우 「위뎐」)이라는 제목과 주인공의 자가 “擎天”(“警天”)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비하여, 이 이본은 다른 이본들과 작품의 제명과 아울러 “경천”의 字가 “敬天”으로 달리 표기되고 있다는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바, 이점은 곧 「韋生傳」 계열이 둘로 나뉘어 전승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라 할 수 있다.

3) 翥初本 「韋生傳」
이 이본은 원광대학교 교수인 정명기 소장본으로, 표제는 󰡔古傳󰡕이며 가로 18×세로 26cm의 1책으로 이루어진 한문필사본이다. 작품집 전체에 걸쳐 한국식 토가 나타나고 있다는 형태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 작품집에는 「林將軍傳」(1~15장 1행), 「馬武傳」(15장 뒷면 2행~22장 뒷면 3행), 「孫臏傳」(22장 뒷면 4행~34장 앞면 7행), 「韋生傳」(34장 앞면 8행~39장 뒷면 11행), 「沉香傳」(39장 뒷면 12행~59장 앞면 11행 이하 반면 정도 낙장?) 등의 작품이 합철되어 있다. 이 가운데 「沉香傳」은 학계에 그 존재조차 전혀 알려지지 않은 자료로 보인다. 매면 12행, 매행 36자 내외로 된 이본으로, 안 표지 여백에 “咸平郡 新光面 伏興里”, “李龍逸”이라는 낙서가 적혀 있다. 그가 이 이본의 필사자(거주지)인지 아니면 원 소장자(거주지)인지 또한 정확히 알 수 없다. 임형택본과 마찬가지로 이본의 필사 연대를 알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나타나 있지 않다.

4) 간호윤본 「韋生傳」
이 이본은 인하대학교의 간호윤 소장본의 󰡔閒汨董󰡕에 수록되어 있다. 󰡔한골동󰡕은 총 157쪽으로 적지 않은 품을 들였으며 보관 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나 풍상(風霜)을 거친 마멸이 보인다. 크기는 세로 25㎝×가로 18.5㎝이다 각 면은 12행, 각 행은 22~25자 정도이다. 글씨는 획이 힘찬 것으로 미루어 필사자는 20~30대의 청장년층인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덧써 고친 흔적을 여러 곳에서 찾을 수 있는데 먹흔이 뚜렷이 구별되고 글씨체도 다른 것으로 미루어 후일 누군가에 의해 추고(推敲), 첨삭(添削)된 듯하다. 󰡔한골동󰡕 소재 글의 면면이나 각종 교정부호로 미루어 ‘간호윤본’은 원본을 충실하게 베낀 모사본이고 여기에 편찬연대를 고려하면 원본, 혹은 원본을 필사한 사본에 가깝다고 비정할 수 있다.

표) 「韋生傳」 이본의 서지상황

유재영본
임형택본
翥初本
간호윤본
표제
御眠盾
古談要錄
古傳
閒汨董
원제목
韋生傳
韋敬天傳
韋生傳
韋生傳
작자 표기
未出
權石洲製
未出
未出
크기
17.5×22.5cm
미상
18×26cm
18.5×25cm
책수, 면수
1책/총3면
(중단본)
매면 11행,
매행 15자 균일
달필 흘림체
1책/총26면
매면 8행,
매행 22~26자
1책/총12면
매면12행,
매행 36자내외
달필. 吐 있음.
1책/ 총19면
매면12행, 매행 22~25자
합철 여부
「어면순」, 「운영전」,
「박효랑사적」
등과 합철
「영영전」, 「운영전」
등과 합철
「임장군전」,
「마무전」, 「손빈전」,
「침향전」 등과 합철
「왕경룡전」,
「주생전」 등과 합철
소장자
柳在泳
林熒澤
鄭明基
간호윤

참고문헌
윤재민,「전기소설의 성격」,󰡔韓國漢文學硏究󰡕 創立二十周年紀念特輯號, 韓國漢文學會, 333-367면. 1996.12.
윤재민,「전기소설의 인물성격」,『民族文化硏究』 제28호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53-67면. 1995.12.
윤재민,「한국 한문소설의 유형론」,『民族文化硏究』 제35호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2001.12.
문범두,「<위경천전>에 대하여」,『한민족어문학』, 1995.
우수경,「<주생전>과 <위경천전> 대비 연구」, 신라대학교, 2002.
이상구,「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월인, 1999.
임형택,「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 위경천전」, 동양학 제22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2.
정민,「<위경천전>의 낭만적 비극성」,『한국학 논집』,한양대학교, 1993.
정병호,「주생전과 위경천전의 비교 고찰」, 『고소설연구』제6집, 한국고소설학회, 1998.
정명기,「<위경천전> 이본연구」한국어문학회, 2007.
간호윤, 「한골동 소재 <위경천> 연구」『고전문학과 교육』 제14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7. 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소설의 전반적 정의] 고소설
  • 소설무대에는 당대의 고관대작은 물론 석학(碩學) 조차도 국문으로 소설을 지을 정도로 소설의 효용적 지위가 격상되었으며, 독자층 또한 양반 사대부로부터 부녀자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소설의 성행과 상품화- 소설의 성행 : 우선 소설 작품이 그 질량면에서 다양성을 보인다. 燕巖(박지원), 文無子(이옥)의 소설로 대표되는 각종의 한문단편, 서민문학으로부터 국민문학으로 승화되는 판소리계 소설, 국문소설의 장

  • [고전문학사] - 조선 전기 애정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주생전 중심
  • 소설의 연구』, 성문각, 1974.뿐만 아니라 작가 권필의 생애와 작가의식에 대한 논의 소재영, 「석주 권필소론」, 승전대논문집 6집, 1976.도 진행되었으며, 작품의 전반적인 사항이 중요 연구 주제로 뽑혔다. 이후 본격적으로 작품론적 차원의 검토가 이루어졌는데, 이밖에도 비교연구 왕숙의, 「주생전의 비교문학적 연구-곽소옥전앵앵전」,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우수경, 「과 의 대비 연구」, 신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

  • [고전소설(고소설)]고전소설(고소설)의 분류, 고전소설(고소설)의 연구, 고전소설(고소설)의 배경, 고전소설(고소설)의 장면, 고전소설(고소설)의 미학, 고전소설(고소설)의 의식, 고전소설(고소설)의 출판 분석
  • 소설을 재출간하면서 작자를 기입하지 않은 작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는 하지만 작품에 작자名을 기재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것은 분명 작자의 역할에 대한 의식에 변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것이 단순히 상징적 차원에 머물렀는지 아니면 물질적 보상으로까지 이어졌는지 모든 작품을 대상으로 한 일반화는 현재로서 불가능하지만 창작물에 대한 작가의 권리가 어느 정도 인정되기 시작한 것이다.서명된 최초의 소설은 한문번역소설인 「일념홍

  • [고전문학] 전기소설에 대하여
  • 위경천전>, , , 모두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여섯째, 전기소설은 봉건사회 속의 사대부 혹은 귀족 계층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며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2. 나말여초(羅末麗初)의 애정류 설화우리 나라 애정류 전기소설의 성립 배경을 알기 위해서는『수이전』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이전』은 한국 서사 문학의 발달 과정에서 최초의 작품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

  • [문학] 조위한의 `최척전`
  • 조위한의- 목 차 -Ⅰ. 서론 -소개 및 연구현황Ⅱ. 본론 1. 작품의 배경2. 작가 조위한3. 줄거리4. 인물분석5. 홍도이야기와의 비교6. 작품의 특징7. 감상Ⅲ. 결론 Ⅰ. 서론 -소개 및 연구현황 은 광해군 10년(1621년)에 조위한이 지은 한문소설로, 실제 이 땅과 명나라에서 벌어졌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 호족의 명나라 침략과 같은 전쟁을 치르는 동안 주인공 최척 일가와 주변 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