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파] 일제시대 친일파 행동 양태와 을사오적(이완용, 박제순, 권중현, 이지용, 이근택) 심층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3.14 / 2019.12.24
  • 1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6,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일제 시기 친일파의 행동 양태
1. 3.1 운동 무렵의 친일파
2. 일제 문화운동에 동원된 거물급 민족주의자
3. 내선일체의 기수들
4. 민족대표 33인 중의 훼절

Ⅲ. 을사오적
1. 친일파 이완용
2. 친일파 박제순
3. 친일파 권중현
4. 친일파 이지용
5. 친일파 이근택

Ⅳ. 결론
본문내용
해방 반세기에 가까운 오늘까지 친일파 또는 친일세력이 우리 사회의 지배계층을 형성해 왔고, 또한 이들은 영원한 기득층으로 세습화되고 있다. 친일세력은 민족통일보다 분단을, 민족자주보다 사대예속을, 민주주의보다 독재지배를 택했다. 이런 비정상에서만이 자신들의 입지를 확보할 수 있고, 기득권을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밝은 태양 아래서는 살 수 없는 박쥐나 두더지처럼 이들은 분단과 독재와 부패의 늪지대에 또아리를 틀고 우리의 소중한 가치들을 짓밟아왓다. 직접 친일을 한 친일파는 물론 그들의 2세, 3세 또 그 잔당들은 지금도 우리 사회의 모든 부문에 걸쳐 실세로써 행세하고 있다. 이들이 세운 친일정권은 일본의 신군국주의 세력과 유착하여 경제에속을 가속화시키고, 소득격차․지역분열을 조장하여 갈등과 대립을 심화시키고 있다.

Ⅱ. 일제 시기 친일파의 행동 양태

1. 3.1 운동 무렵의 친일파

親日派에게 貴族 身分을 配給
1910년 6월부터 나남, 청진, 함흥, 대구의 일본군들이 한밤중 남의 눈에 뜨이지 않는 길을 통해서 서울로 진입해 왔다. 이들 응원 병력과 용산 주둔 일본군 제2사단의 철통 같은 경비망 속에서 8월 22일, 나라와 백성을 팔아넘기는 병합조약이 조인되었다.
이 일을 주동적으로 수행한 이완용. 박제순. 송병준 이하 76명에게 논공행상으로, 혹은 회유를 위해서 일제는 귀족의 신분을 배급했다. 후작(Marquis) 6명, 백작(Count) 3명, 자작(Viscount) 22명, 남작(Baron) 45명인데 김석진 등 8명이 남작의 수령을 거절했다. 이후 1920년대로 들면서는 이완용이 백작에서 후작으로, 고희경과 송병준이 자작에서 백작으로 승급사고 이완용의 차남인 이항구에게 추가로 남작이 수여된다. 이리하여 작위를 받은 최종 숫자는 후작 7명, 백작 4명, 자작 20명, 남작 38명으로 총원 69명이 되었던 것이다.
이 69명 중 김가진(남작), 김사준(남작), 김윤식(자작), 이용직(자작), 이용태(남작)가 독립운동을 하다 작위를 잃었다. 남은 64명 중 민영린(백작), 윤택영(후작), 조민희(자작)가 파산 또는 품위 실추로 작위를 잃는다. 조희연은 사후에 남작을 반납했다. 윤웅렬의 남작은 장남 윤치로가 상속했으나, 총독 암살 음모라는 날조된 죄-105인 사건-를 덮어씀으로써 1913년 10월에 박탈을 당한다. 남은 59석이 대체로 무사하게 일제 말엽까지 물려졌는데, 내역은 후작 6명, 백작 3명, 자작 17명, 남작 33명이다.
이 부류 일제의 귀족 계층은 3.1운동에까지 등을 돌렸다. 만세 봉기가 나자 이완용은 [매일 신보]. [경성 일보]에 전후 3차의 배역 담화를 발표했다. 가라사대 3.1운동은 "사리를 분별치 못하고 나라의 정세를 알지 못하는 자의 輕擧妄動이다. 그들의 妄動은 스스로 죽음의 길을 택하는 것일 뿐"이며, 조선인의 행복은 대일 투쟁이 아닐 실력의 양성에서만 찾아질 수 있다는 타령이었다. 송병준은 임오군란 때 남대문 밖 농가의 쌀뒤주 속에서 숨어 사는 등 기타 10여차의 피습 사건으로 혼쭐깨나 났던 사람이다. 그 때문인지 이 자는 3.1운동이 터지자마자 재빨리 도쿄로 달아나 버렸다." 소요가 발발하여... 수습이 어려워지려 하자...이를 좌시하며 경성에 태연히 있을 수 없어 분연히 폐하의 발 아래로 와 버렸던 것이다. 그는 일본에서 정계 요인들과 접촉하면서 만세의 진압과 민심 수습책을 의논하였다.
이지용은 고종의 종질이다. 이 자 또한 이완용의 생질인 거물급 매판자본가 한상룡과 함께 동경으로 가서 만세 수습을 의논했다. 남작 박제빈은 총독에게 민심수습의 건의서를 올렸고, 장석주는 무력으로 만세를 소탕하라고 핏대를 올렸다. 김종한은 원래가 조선인은 "청국의 속국으로 독립 혹은 공화"라는 말조차도 몰랐는데, 청일전쟁 때 일본이 "독립국으로 이왕에게 황제를 호칭하도록 해주었기 때문에 '독립' 두 자를 알고 이번의 소요 사건"을 일으켰다고 투덜댔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매국노의 대명사 이완용
  • 일제시대의 민족해방운동전선은 좌우익을 막론하고 해방 후의 민족국가 건설과정에서 매국적(賣國賊)의 전체 재산을 몰수하여 국유화한다는 정책을 세웠으나 이승만 정권이 실시한 농지개혁과정에서 그것이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그 재산은 그대로 후손들에게 물려졌다. 4> 이완용에 대해서을사조약의 체결을 지지, 솔선하여 서명함으로써 을사5적신(乙巳五賦臣)의 한 사람으로 지탄을 받았다. 우리는 “이완용이 나라를 팔아먹었다”라고 흔히 말한

  • 친일파란 무엇인가
  • 일제에 대한 악질적인 아부로 민족에게 해를 가한 자 등으로 규정하였다.대표적인 친일파을사오적-이완용(한일합방의 주역이었던 매국노의 책임자-이근택(근황주의자에서 친일매국노로 변신)-이지용(나라를 판돈으로 도박에 미친 백작)-권중현(친일로 한평생 걸은 대세영합론자)-박제순(을사조약 체결에 도장 찍은 외교책임자)-일진회 관련자-송병준(이완용과 쌍벽을 이룬 친일매국노 제 1호)-이용구(친일 망동조직 일진회의 선봉장)-윤시병(만

  • [친일파] 일제의 대한침략기(1876~1904)에 `친일`의 논리와 실태
  • 일제는 합방 조약 5조에 훈공 있는 한국인에 대한 표창 및 작위를 준다는 조항에 따라 조선귀족령을 제정하고, 해당자에게 작위를 주었다. 박영효 이재각 윤덕영 등의 후작(6명)을 비롯하여 백작 3명, 자작 21명, 남작 45명 등이었다. 이른바 을사오적(이지용 이근택 이하영 이완용 권중현), 한일신협약 합방조약을 체결한 책임자 이완용과 그 각료들(박제순 임선준 고영희 이병무 조중응 이재곤 송병준 등)은 당연히 포함되었다. 셋째, 한인들을 직접적으

  • [한국사] 친일파 인식
  • 을사보호조약’의 체결을 강요했다. 이에 이완용은 다시 친일파로 변신해 갔다.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 체결 문제를 두고 열린 어전회의에서 참정대신 한규설과 탁지부대신 민영기는 반대하였으나, 이미 일본 쪽에 의해 매수되었던 학부대신 이완용, 내부대신 이지용, 군부대신 이근택, 법부대신 이하영,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등은 일본 쪽이 제시한 조약안 외에 “일본국 정부는 한국 황실의 안녕과 존엄을 유지하기를 보증함”이라는 조문

  • 우리나라의 부끄러운 역사(을사늑약)
  • 을사오적이라고 알고 있고 나머지 사람들은 반대를 하였으니 3명은 좋은 사람이라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필자 역시 그렇게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조사를 해본 결과, 참담한 내용이 확인되었다. 일단 을사오적의 생애에 대해 간단히 확인해보도록 하겠다.1) 을사오적의 생애〃을사오적은 일단 이완용,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이다. 이완용,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모두 아는 친일파의 수괴급 인물이다. 그는 1907년 내각총리대신이 되었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