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가요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설화]고대가요 구지가의 연원, 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설화, 고대가요 구지가의 원문, 고대가요 구지가의 작품해제, 고대가요 구지가의 작품이해에 관한 분석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3.18 / 2019.12.24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고대가요 구지가의 연원

Ⅱ. 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설화

Ⅲ. 고대가요 구지가의 원문

Ⅳ. 고대가요 구지가의 작품해제
1. 형식
2. 주제
3. 성격
4. 의의

Ⅴ. 고대가요 구지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고대가요 구지가의 연원
많은 이들이 지적하고 있는바 구지가는 우리 시가의 가장 원초적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구지가>는 김수로왕 탄강 제의 때 처음 창작된 것이 아니다. 그 이전부터 이미 존재하고 있던 호칭 + 명령 + 가정 +위협 이라는 주술 구조를 빌어 수로왕을 맞이하는 주술로 실현시킨 것이다.
호칭 + 명령 + 가정 + 위협
고구려를 세운 동명왕이 즉위 2년(기원전 36)에 비류국과 세력다툼을 하는 과정에서 흰 사슴을 잡아 거꾸로 매달고 홍수를 내려서 비류국의 항복을 받고자 행한 기우 주술이 있다.
天若不雨而漂沒沸流王都者
我固不汝放矣
欲免斯難
汝能訴天
(가정)하늘이 만약 비를 내려서 비류 왕도를 표몰시키지 않으면
(위협)내 진실로 너를 놓아주지 않으리니
이 어려움을 벗어나고 싶거든
(명령)너 능히 하늘에 호소하라.
-이규보, 동명왕편
주몽이 홍수로서 비류국을 항복 받고자 사슴에게 비를 내리도록 명령하고 위협했던 주술의 내용과 김해의 주민들이 왕국을 세우고자 거북에게 왕을 보내도록 명령하고 위협하는 주술의 내용은 그 구조가 같다. 구조 원리가 같은 것이다.
바다용이 앗아간 수로부인을 되찾기 위한 주술 목적에 이 주술 구조를 적용하여 실현시킨 것이 바로 <해가>인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이 <해가>에서 눈여겨 볼 점은 ?晝饍?이란 용어이다. 주선은 그냥 예사로운 점심이 아니다. ‘주선’은 왕이나 혹은 제의 때 神에게 올리는 음식에 한해서만 쓰이던 용어이다. 이렇듯 제의의 측면이 드러나게 되어야 <해가>와 <헌화가>의 의미가 올바로 파악된다. 순정공이 강릉 태수로 부임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의외의 사건이 아니라 나름대로 필연성이 있는 것이다. 낯선 강릉 지방의 태수로 부임하는 순정공은 동해변에 나오자마자 무사안녕과 복을 비는 의식-굿-을하였던 것이다.
龜乎龜乎莫耽睡
三世宰相虛語耳
역옹패설 前集 2
여기서 우리는 <구지가>와 같은 성격의 동질적인 노래가 <구지가> 훨씬 이전부터 널리 전승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김병국(1994), 고전시가, 지학사
◉ 김학성 외, 고전시가론
◉ 박지홍(1957), 구지가연구, 국어국문학 16, 국어국문학회
◉ 성기옥, 구지가의 작품적 성격과 그 해석(2), 배달말 제12호
◉ 유효석(1987), 구지가의 생성배경-사회사적 관점, 성대국어국문학회
◉ 이정자(1995), 구지가의 공간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학술논문집
◉ 정상균(1984), 한국 고대시가 배경설화의 상징성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대가요- 내용학과 교육학을 중심으로 -
  • 구지가에 대한 교육 방안에서 고대가요를 직소(Jigsaw) 모형을 통해 다루었을 때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와 의의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단원을 대상으로 위에서 제시한 직소(Jigsaw) 모형의 절차를 활용해 고대가요인 의 지도안을 제시한다.3.2 에 대한 수업지도안대단원명1. 고대의 문학소단원명(1) 구지가차시학습목표1. 고대가요 의 창작 배경을 이해하고 어휘의 뜻

  • 통일신라시대 향가(제망매가,도솔가), 통일신라시대 향가(헌화가,안민가), 통일신라시대 향가(모죽지랑가), 통일신라시대 향가(찬기파랑가)
  • 원문과 해독咽鳴爾處米 열치고露曉邪隱月羅理 나타난 달이白雲音遂于浮去隱安支下 힌구룸 조차 떠가 것 아닌가沙是八陵隱汀理也中 새파 냇물 속에耆郞矣史是史藪邪 耆郞 모습이 있어라逸烏川理叱? 惡希 이로 냇물의 조약돌이 郞耶持以支如賜烏隱 랑이 지니신 心未際叱? 遂內良齊 마음의 끝을 좇누아져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아으 잣가지 높아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서리 모르올 花判이여2. 찬기파랑가의 작품이해에는

  • [고전시가론] 상대시가
  • 배경 역할을 한다.)라. 배경설화배경설화 원문현대어역三年 7월에 離宮을 골천에 지었다. 十月에 왕비 송씨가 돌아갔으므로 왕은 다시 두 女子를 繼室로 얻었는데 하나는 禾姬로 골천 사람의 딸이고, 하나는 雉姬로 漢人의 딸이었는데 두 여자는 사랑을 다투어 서로 화목하지 못하였으므로 왕은 양곡의 동서에 二宮을 짓고 각각 두었다. 뒷날 왕은 기산에 田獵을 나가서 칠일 동안 돌아오지 않았는데 두 여자는 서로

  • 고전문학 -불교사상
  • 작품에 관련된 인물로는 작자인 광덕과 그의 처, 그리고 광덕의 친구 엄장이 있는데 신라불교가 귀족불교의 한계를 넘어서 일반 서민에까지 아미타신앙으로 확산되어 대중 불교로 전환되는 배경으로, 현세의 고난을 이겨내고 내세의 극락으로 왕생하겠다는 강렬한 의지를 기도 형식으로 담은 기원적 서정가요이다. - 작자 미상膝肹古召旀 -무루플 고조며슬힐고소며( 무릎을 곧추며)二尸掌音毛乎攴內良 -둘 손ㅅ바당

  • [국문학] 상고시가(上古詩歌)
  • 작품 중의 하나로, 신라 유리왕 때 지은 작자 미상의 가악이다. 가사는 전해지지 않지만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 5년조와 『삼국유사』 노례왕조에 작품명과 짧은 설명이 전한다.“ 이 해에 민속이 환강하여 〈 도솔가 〉 를 처음으로 지으니, 이것이 가악의 시초였다(是年民俗歡康 始製兜率歌 此歌樂之始也). ” -《삼국사기》“ 도솔가를 처음으로 지으니 차사사뇌격이 있다(始作兜率歌 有嗟辭詞腦格). ” -《삼국유사》 1) 배경설화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