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월인석보` 문헌적 특징,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10.02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docx (MS워드 2007이상)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서명(書名)

3. 『월인석보』 간행연대

4. 『월인석보』 간행처

5. 『월인석보』 판본

6. 맺음말 -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본문내용
『월인석보』는 조선조의 세조가 부왕인 세종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 그리고 요절한 세자 덕종(德宗)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간행한 것이다.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해서 편찬한 책으로, 정음으로 이루어진 산문 문학의 효시이다. 이는 세종과 세조 양대에 걸쳐 이룩된 사업으로, 완성된 것은 1459년 조선조 세조 5년 7월로 추정한다. 내용 체제는 『월인천강지곡』의 각 절을 주문(主文)으로 삼고 각각 그 절에 해당하는 『석보상절』을 주석(註釋)의 형식으로 실었다. 이처럼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본하여 간행 된 것으로 월인석보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월인천강지곡』은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추천(追薦)을 명분으로 하여 세종 28년 12월 이전에 신찬 되었다. 이 작품은 불타(佛陀)의 생애를 완벽하게 운문화(韻文化)하여 불경으로서 충분한 요건을 갖추었으므로 그 착수 당시부터 군신(君臣)간에 불경으로 논란되었을 뿐만 아니라 후대 불교계에서도 으레 성전으로 간주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석보상절』은 불교계의 설법(說法), 담화(談話) 현장에서 그 화본(話本)으로 행세했던 것이라 하겠다. 한편 이 『석보상절』은 그 <석가보>를 공통 저본(底本)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월인천강지곡』과 직결, 부합되고 있다. 그러기에 『석보상절』은 문헌적 기록으로나 현장적 강설에서 『월인천강지곡』과 결부되어 그 서사시적 함축성 내지 생략성을 해설 부연할 수 있는 여건을 필연적으로 구비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참고문헌
김영배, 『국어사 자료 연구』, 2000, 월인출판사
김영진, 『국어사 연구』, 2002, 이회문화사
천혜봉, 『한국 서지학』, 1991, 민음사
홍윤표, 『국어사 문헌자료 연구』 (근대편Ⅰ), 1993, 태학사
사재동, <月印釋報의 강창문학적 연구>
안병희, <月印釋報의 編刊과 異本>, 서울대학교
김영배, <월인석보의 국어사적위상>, 동국대학교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gul 이 뭔가요 열리지 않아요 이게 뭐지? 아까운내돈!!!!
  • moo***
    (2006.10.15 18:48:23)
회원 추천자료
  • [방송통신대학교 국어사] 「오륜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적 가치를 고찰하기 위하여 먼저 《五倫行實圖》의 書誌的 개관을 살펴보고, 편찬과정, 판본과 편성체제를 알아보겠다. 그리고 표기법 및 문학체계, 음운, 문법, 어휘에 대해 살펴보고 《五倫行實圖》가 국어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Ⅱ 본론1 書誌的 특징《五倫行實圖》는 1797년에 정조가 沈象奎 등에게 命하여 《三綱行實圖》와 《二倫行實圖》의 두 책을 합하여 諺解文에 수정을 가

  • [국문학] 두시언해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 2004학년도 제2학기 국어사 중간과제물 E형『두시언해』의문헌적특징(서지사항(書誌事項),이본(異本)관계등)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을 서술하라.Ⅰ. 서론두시언해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전부(1,647편)를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원명은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이고, 속칭은 두시언해(杜詩諺解)이다. 두시언해란 두보의 시를 우리말로 옮긴 것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서 분류란 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정리했다는 뜻

  • [방통대 2017-1]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자료 등장-조선 전기의 언어 : 훈민정음,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동국정운(東國正韻), 기타 불교 경전 및 유교 경서의 언해, 두시언해(초간본)(4) 근대 국어 ( 임진왜란 후 17세기 ~ 갑오개혁, 300년 동안 )4.1 생활 양식과 의식 구조의 실용적 경향에 따라 국어의 음운, 어휘, 문법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남-조선 후기의 언어 : 동국신속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두시언해(중간본),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첩해

  • [국어] 국어사_총정리
  • 국어사의 시대구분 관점에 대체로 20세기초부터 지금까지 사용되는 국어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된다.②한글맞춤법통일안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이라는 말로 표현한 것은 형태음소적 원리였다.③한글맞춤법통일안의 총론에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가 표준어 최초의 규정이었다.④1988년 표준어규정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새롭게 표준어를 규정하였다. 20. 현대국어(2)

  • [방통대 2020-1]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자료 등장-조선 전기의 언어 : 훈민정음,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동국정운(東國正韻), 기타 불교 경전 및 유교 경서의 언해, 두시언해(초간본)(4) 근대 국어 ( 임진왜란 후 17세기 ~ 갑오개혁, 300년 동안 )4.1 생활 양식과 의식 구조의 실용적 경향에 따라 국어의 음운, 어휘, 문법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남-조선 후기의 언어 : 동국신속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두시언해(중간본),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첩해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