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국어사] 「오륜행실도」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1.21 / 2019.12.24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어사 과제입니다.

많은 책과 정말 많은 논문을 참고하여 쓴 레포트입니다.

제 노력과 땀이 깃든 정성의 레포트이며,

30점 만점 받은 A+ 레포트입니다.

많은 도움되실거라 믿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書誌的 특징
1. 《五倫行實圖》의 編纂背景
2. 《五倫行實圖》의 板本
3. 《五倫行實圖》의 편성 체제
[2] 국어사적 특징
1. 표기법 및 문학체계
2. 음운
3. 문법
4. 어휘
Ⅲ 결론
본문내용
2. 음운
2.1 口蓋音化
/i/나 /j-/에 선행한 /ㄷ//ㅌ/의 구개음화가 거의 일반화되고 있다. 구개음화는 ‘杜詩諺解’초간본에 이미 싹터, 그 중간본에서는 더욱 확대되고, 18세기 중엽의 ‘御製常訓諺解’나 ‘御製訓書諺解’ 및 ‘同文類解’등에는 그 표기 예가 散見된다.
《五倫行實圖》에서도 아직 口蓋音化되지 않은 표기법이 대부분이기는 하나 구개음화 표기와 혼용 예를 흔히 볼 수 있으므로, 표기의 擬古性을 감안할 때 이 시기에는 /ㄷ//ㅌ/의 구개음화가 일반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 현대어의 상태에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한편, 어두에서 i, y에 선행한 위치에서의 ‘ㄴ'의 탈락을 구개음화와 관련된 현상이라 할 때 《五倫行實圖》에 와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口蓋音化는 《五倫行實圖》가 간행되기 전인 17세기와 18세기 교체기에 이미 그 틀을 형성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2.2 圓脣母音化
圓脣母音化란 순음 ‘ㅁ, ㅂ, ㅍ, ㅽ’아래의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현상으로 이는 중세국어에서 나타나던 ‘므, 브, 프, ’와 ‘무, 부, 푸, ’의 대립이 없어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圓脣母音化는 中世國語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東國新三綱行實圖》과 《二倫行實圖》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五倫行實圖》에 와서는 아주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로보아 원순모음화는 《二倫行實圖》가 간행되던 18세기 초부터 쓰이기 시작하여 《五倫行實圖》가 간행되던 시기인 18세기 후반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2.3 ‘’의 喪失
모음 ‘’는 16세기에 제 1단계 상실(제2음절 이하에서의 상실)을 경험한 후 18세기 후반에 와서 제 2단계 상실(語頭음절에서의 상실)이 일어남으로 해서 서서히 그 자취를 감추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15세기에 간행된 《三綱行實圖》에서는 ‘’가 혼란을 일으키지 않다가 《五倫行實圖》에 와서는 큰 혼란을 겪게 된다. ‘’는 제 2음절에서 ‘ㅡ, ㅏ, ㅓ’로 변했으며 제 1음절에서 ‘ㅏ’로 변했다. 제 2음절에서의 ‘ㅡ’는 부분적인 중립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국어의 모음조화 붕괴를 결정적으로 촉진하게 되었다. 이상에서 15세기에는 잘 지켜지던 모음조화가 《五倫行實圖》에 와서는 적잖이 파괴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1. 김원용,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2
2. 김두식, 한글 자형의 변천에 관한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03
3. 강순애, 奎章閣의 圖書編撰 刊印 및 流通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1989
4. 金仁杰, 조선후기 향촌사회통제책의 위기, 진단학회, 1984
5. 張炳愚, 五倫歌係時調 硏究, 영남대 대학원, 1986
6. 宋日基, 조선시대 행실도 판본 및 판화에 관한 연구, 서지학회, 2001
7. 柳昭姬, 오륜행실도 연구, 동국대학 대학원, 1994
8.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2000
9. 崔世和, 五倫行實圖;의 國語史的 考察, 청주대학교, 1966
10. 박문성, [오륜행실도]를 중심으로 한 [삼강행실][동국신속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 비교, 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91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의 연구방법 네 가지를 요약하고,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의 연구방법 네 가지를 요약하고,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Ⅰ. 서론Ⅱ. 본론1. 국어의 개념1) 정의2) 계통(1) 알타이 어족(2) 특징2. 국어사 개관1) 개념2) 시대구분방법3. 국어사의 연구방법1) 문헌자료의 연구2) 비교방법3) 내적 재구4) 방언의 연구4. 문헌자료의 연구 1) 개념2) 문헌자료의 이용(1) 서지학의 개념(2) 서지학의 영역① 원문서지학② 체

  • [국어] 국어사_시대구분
  • 통신어, 인터넷용어가 연구되기 시작했으며, 단지 우리 나라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추세이다. 웹상의 언어는 문어로 시작되었지만, 도시 간이나 시골 모든 학생들의 용어의 공통성을 보이며 구어에서도 나타나는, 단순한 한순간의 유행어가 아닌 만큼 질적․양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김동소(1998), 한국어변천사, 형설이기문․장소원(2001),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홍윤표(1995), “국어사시대구분의 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우리말의역사(공통)
  • 특징을 지닌다. 또한 훈민정음은 음운 이론의 기초 위에서 만들어진 과학적인 문자이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이미 굳어진 한문의 지위는 꽤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로 인해 훈민정음의 사용은 한문 서적의 번역이나 시가의 표기 등에 국한된다. 속도는 느렸지만 훈민정음은 점차 평민들 사이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며 온 국민의 문자로서의 지위는 19세기와 20세기 교체기에 확립된다.참고문헌- 이기문이호권(2017).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

  • 방송대_22학년도1학기)_우리말의역사(공통) - 교재와 방송강의 1-4강을 참고하여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국어사의 시대구분5. 이두, 구결, 향찰1. 국어사의 연구 방법1) 문헌 자료 연구 2) 비교방법 3) 내적 재구 4) 방언의 연구2. 언어 변화의 유형1) 음운 변화 2) 문법 변화 3) 어휘 변화3. 국어의 계통과 알타이 제어의 공통특질1) 음운론적 특징 2) 문법적 특징4. 국어사의 시대구분1) 고대국어 2) 중세국어 3) 근대국어5. 이두, 구결, 향찰1) 이두 2) 구결 3) 향찰이기문이호권(2017).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1. 국어사의 연구

  • [국어학사]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 국어사개설, 출판장소: 태학사.최기호(1993), “한국어의 계통 문제”, 한몽공통학술연구, 단국대학교 한몽학술조사연구협회, 267-280.이승원(2003),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에 관한 서술 내용의 통시적 검토”, 청람어문학, 청람어문교육학회, 1-36.최종민(2006), “한국어 계통-알타이어족설과 동북아시아 어족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http://cafe.daum.net/gukeum (강의자료)목 차과제명: 2.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