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문법 어기사와 어두 어미 어기사란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21.02.16 / 2021.02.16
  • 82페이지 / fileicon pptx (파워포인트 2007이상)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한문문법
어기사와 어두, 어미
우리가 표현하는 모든 문장은 일정한 어기(mood)를 가지고 있다.
중국어는 다른 언어와는 달리 동사의 형태 변화 없이 어기사를 사용함으로써 일정한 어기(mood)를 나타낸다. (이강재)
어기란 문장의 개념성분이 아니면서 화자의 정서적 입장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허성도)
어기사란?
진술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판단
한정
추측
ㆍㆍㆍ
어기에 따른 문장유형의 분류
진술문




已, 耳, 爾, 而已
판단의 어기
주관적 추측이나 사태의 변화
한정의 어기
의문문
與(歟)


약한 의문의 어기
강한 의문의 어기
감탄문



약한 감탄의 어기
강한 감탄의 어기
명령문
일반적으로 명령의 어기는 문장의 어순에 의해 나타내며, 독립적으로 명령의 어기만을 나타내는 어기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미어기사의 기본 기능과 어기에 따른 문장유형의 분류
전체 문장의 가장 뒤에 놓여, 그 문장의 특정한 어기를 나타냄
각 어기사의 본래 기능과
문맥에 따른 문장 내에서의 기능을 구별해야 함
也, 矣, 乎, 哉
문미어기사
판단문에서 서술어가 판단을 나타내는 것을 도와줌
판단이란?
- 외부세계에 대한 자아적 인식
(자아가 개입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이 주관적 인식으로 변해 있는 경우)
- 화자의 소견이나 주장이 대표적
따라서 객관적 사실을 서술하는 경우에는 판단이 개입할 여지가 없으므로 也가 쓰이지 않는다.
鈞,三十斤. (孟子, 文公下, 1章, 朱子註)
義見下文. (孟子, 公孫丑下, 10章, 朱子註)
也가 의문/명령/감탄을 나타내는 문장에 와도
그것은 의문/명령/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사가 아니며
의문문/명령문/감탄문에 사용된 也는 확정, 긍정, 판단의 어기를 나타낸다.
(1) 也
항상 제일 끝 절의 문미에 쓰여 전체 문장의 어기를 강화
앞에서 단정한 것의 긍정과 확인을 나타냄
“~라고 생각한다” 정도로 번역 가능
(2) 雖殺臣, 不能也. (≪묵자ㆍ공수≫)
(3) 禹以治, 桀以亂, 治亂非天也. (≪순자ㆍ천론≫)
是乃仁術也. (孟子, 梁惠王上, 7章)
- 이것이 仁術이다[라고 나는 생각한다].
판단문의 也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복문에서도, 결과를 “확신” or 원인을 “확신”하는 주관적 판단을 나타내는 것이지, 그 자체로서 원인이나 결과를 표시하는 것은 아님
(4) 賞罰不信, 故士民不死也. (≪한비자ㆍ초견진(初見秦)≫)
非를 이용한 부정문에서도,
부인은 어떤 사실에 대한 주관적 판단으로서의 부정을 의미하므로 也와 함께 쓰인다.
孟子曰皆是也. (孟子, 公孫丑下, 3章)
- 옳고 그름은 주관적 판단의 결과이므로 也가 들어간다.
판단문의 也
也가 없는 명령문은 어떨까?
王請勿疑. (孟子, 梁惠王上, 5章)
- 왕께서는 의심하지 마십시오.
子爲我問孟子. (孟子, 文公上, 2章)
- 그대는 나를 위해 맹자에게 물어라.
☞ 이들은 객관적 명령으로, 판단의 어기가 존재하지 않아 也를 동반하지 않는다.
명령문의 也
그렇다면 也가 있는 명령문은?
(6) 不及黃泉, 無相見也! (≪좌전ㆍ은공 원년≫)
(7) 欲呼張良與俱去, 曰, “毋從俱死也!” (≪사기ㆍ항우본기≫)
無傷也! 是乃仁術也. (孟子, 梁惠王上, 7章)
- “상처받지 않으셔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명령문에 화자의 판단이 개재되어 있고, 따라서 어기사 也를 동반한다.
여기서 也는 명령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판단의 어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명령문에 也를 더하면 단순하게 명령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확정의 어기를 갖게 됨
명령문의 也
也가 없는 의문문은 어떨까?
牛何之? (孟子, 梁惠王上, 7章)
- 소는 어디로 가는가?
王何必曰利? (孟子, 梁惠王上, 1章)
- 왕께서는 어찌 꼭 利를 말씀하십니까?
許子奚爲不自織? (孟子, 文公上, 4章)
- 허자는 왜 스스로 옷감을 짜지 않는가?
위 문장들은 객관적인 질문으로서 이에는 판단의 어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의문문의 也
그렇다면 也가 있는 의문문은?
(8) 南冠而者, 誰也? (≪좌전ㆍ성공 9년≫)
- 의문사의문문
(9) 不識臣之力也, (…)君之力也? (≪한비자ㆍ난(難) 2≫)
- 선택의문문
時子惡知其不可也? (孟子, 公孫丑下, 10章)
- 시자가 그것이 불가하다는 것을 어찌 알았겠는가?
(시자가 그것이 불가하다는 것을 어찌 안다고 생각하겠는가?)
- 의문사의문문
當今之世, 舍我其誰也? (孟子, 公孫丑下, 13章)
- 이 시기에 나를 버리면 그 누가 그 일을 하겠는가?
(이 시기에 나를 버리면 그 누가 이 일을 하리라고 생각해야 하는가?)
- 의문사의문문
모두 화자의 판단의 어기가 개입되어 있고, 也는 이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也는 의문의 어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판단의 어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의문문의 也
也가 쓰인 의문문의 특징
: 의문사의문문, 선택의문문 두 종류에만 쓰인다.
의문사의문문 - 의문대명사가 쓰임
선택의문문 - 예상되는 대답을 제시하고 문제에 대답하는 사람에게 선택을 요구함
두 의문문의 특징
: 의문의 성격이 강하다.
이때 也가 나타내는 것은 확신과 판단의 어기.
(순수하게 의문의 어기를 나타내는 어기사와는 완전히 다르다)
의문문의 也
이전 상황이 완료되어 새로운 상황이 출현하였음을 나타내는 경우
(부사 旣, 已, 嘗과 함께 쓰임. 이 부사들은 矣만을 문말에 허사로 취함)
장래 어떤 새로운 상황이 출현하거나 상황이 변화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인 경우에 쓰임
(幾, 殆는 어떤 상황이 “거의” 발생하기에 이르렀다는 뜻 -> 새로운 상태의 출현을 강조 - 矣만을 문말에 취할 수 있음)
가정문의 결과절에 사용
(則, 乃 등 가정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와 함께 쓰이기도)
감탄문에도 종종 쓰임 (묘사문에 쓰여 감탄의 어기 표현)
(허사 哉와 함께 쓰이기도) - 화자의 예상을 벗어난 새로운 상황이라서 감탄하는 것
명령문에 쓰인 矣도, 명령을 기능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상황의 출현을 나타냄. 명령의 의미는 문맥에 의한 것일 뿐
의문문에도 쓰이지만 역시 矣 자체는 의문을 전문적으로 나타내지 않음
☞ 상황이 변했음을 나타내는 것이 矣의 본질!
(2) 矣
矣와 也의 비교


동태를 나타냄
정태를 나타냄
현 단계가 새로운 상황으로 바뀌었음을 알려줌
사물에 대해 진행한 판단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줌
已와 함께 쓰일 때 已矣
已와 함께 쓰일 때 也已
어떠한 상황의 완료나 새로운 상황의 발생으르 나타냄
동사술어 뒤에서 상태가 지속불변함을 나타냄
未와 함께 쓰일 수 X
未와 함께 쓰일 수 O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법 정리 레포트
  • 사와 명사가 결합할 때 받침이 없을 경우 ‘ㅅ’을 윗말에 받쳐 씀: 곶, 즘겟가재②유성자음(공명음) 아래에서┌앞말의 받침으로:  , 아바 뒤└뒷말의 초성과 병서: 엄쏘리, 혀쏘리, 장, 부텨③선행명사가 한자로 적혀 있을 경우┌가운데 독립표기: 동해(東海)ㅅ , 적인(狄人)ㅅ 서리└뒷말의 초성과 병서: 두 鐵圍山 ※특이한 사잇소리 ‘ㅅ’: 관형사형 어미 또는 인용조사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어말어미 ‘-다, -

  • 국어학개론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0점) 2. 형태소에 대해 설명하시오.(10점)
  • 어미로, 위치상 단어의 끝에 오는 모든 어미를 일컫는다. 이는 그 앞에 오는 선어말어미와 대립되는 용어로 붙여진 이름이다. 어말어미에는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 등이 있다. (12) 문장의 종결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 주고, 상대경어법을 실현하며 문장의 시제를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한다.종결어미는 하나의 문장을 끝맺으면서 말하는 이의 태도에 따라 평서문(서술문) 어미, 의문문 어미, 명령문 어미, 청유문 어미, 감탄문 어미로 나눈다.

  • 고전문법 정리
  • 사와 명사가 결합할 때 받침이 없을 경우 ‘ㅅ’을 윗말에 받쳐 씀: 곶, 즘겟가재②유성자음(공명음) 아래에서┌앞말의 받침으로:  , 아바 뒤└뒷말의 초성과 병서: 엄쏘리, 혀쏘리, 장, 부텨③선행명사가 한자로 적혀 있을 경우┌가운데 독립표기: 동해(東海)ㅅ , 적인(狄人)ㅅ 서리└뒷말의 초성과 병서: 두 鐵圍山 ※특이한 사잇소리 ‘ㅅ’: 관형사형 어미 또는 인용조사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어말어미 ‘-다, -

  • 한국어 문법론 (강의정리 과제 토론 퀴즈 중간고사 기말고사 중간시험 기말시험)
  • 어미 ‘-아, -게, -지, -고’, 받침 없는 일부 부사 뒤에 붙어, 강조하는 뜻을 나타낸다는 차이가 있다.밑줄 친 ‘에서’의 의미가 다른 하나는?1 가게 앞에서 만나기로 했다.2 정부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3 어제 시장에서 사온 물건이다.4 동창회에서 그녀를 다시 만났다.서술격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1 한국어의 서술격조사는 ‘이다’ 하나뿐이다.2 앞에 오는 명사와 분리될 수 없다.3 활용을 하는, 용언과 같은 성격을 가지고

  • 무의식속 의식적 의사소통
  • 사와 대명사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이 제기된다. 인칭지시관계에서 어떤 명사의 Genus와 그 명사의 Sexus 지시관계 사이에 어떤 상관 관계가 성립하며, Gesus와 Sexus 사이에 대칭적 분배관계를 통해 여성과 남성들이 그 의미된 것에 대하여 동일한 기회를 갖게되는 가에 대한 것과 같은 질문이다. 예를 들어 남성적 인칭관계를 사용하는 Lehrer, Student/en, Professor/en와 같은 직업명칭이 여성들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거론될 수 있는가 하는 것과, 이들이 ‘e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