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 실학의 집대성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6.07.15 / 2016.07.15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실학의 집대성
1. 다산 정약용의 생애
다산 茶山 정약용 丁若鏞은 1762(영조 38)년에 태어나 1836(헌종 2)년에 7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다산의 이름은 약용 若鏞이고 자는 미용 美庸, 송보 頌甫이며, 호는 사암 俟菴, 다산茶山, 당호는 여유 與猶이며 본관은 압해 押海이다. 태어난 곳은 오늘날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래리이다. 다산은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나 역법과 산술, 경서와 시율을 공부하였다. 丁奎英편 俟菴先生年譜.
다산은 원시 유학인 수사학 洙泗學으로 돌아가 유학의 본질을 파헤쳐 후인에 의하여 왜곡되고, 날조된 이론을 바로 잡으려고 하였다. 다산은 경세학적 태도를 이어받아 새 시대의 새 학문을 건설하려고 하면서, 당시 중국에 유입되고 있던 서양의 종교, 과학 등에 접촉하여 이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새 학문의 목적을 고증 考證·경세 經世·목민 牧民 등에 두고 공자로부터 재 출발하여 전연 독자적인 체계를 수립하였다. 茶山 丁若鏞의 禮學과 哲學思想 硏究. 배남규 21p
2. 실학과 다산
1) 실학의 등장
조선조는 창업과 안정을 위해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성리학적 이념과 체제를 채택한다. 그러나 양란을 거치면서 새로운 민의 民意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실질적인 사상적 움직임이 일기 시작한다. 이러한 사상적 태동은 17세기 이후에 경세치용과 이용후생을 목표로 해서 당시 조선조의 유교 정치체제의 이론적 기반을 이루고 있었던 주자학 사상의 사변적 성격을 비판하고 있었다. 이 같은 현실주의적 입장은 정치, 경제, 사회적인 실천론을 전개한 일련의 사상적 경향 思想的 傾向으로 발전하게 된다.
여기에는 청대 淸代 주자학적 실사구시의 사상적 영향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당시 조선이 안고 있는 정치체제의 모순에 대응하여 독자적인 영역을 창출하고, 성리학의 군자학적 君子學的 정치사상 政治思想을 경세치용의 학문으로서 조선후기 실학의 등장에 중요한 계기를 안겨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 산물로서의 실학사상 기저에는 성리학적 이념과 통치이데올로기의 사상적 배경들과 맥이 상통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곧 정치사상으로서의 실학사상의 철학적 기조가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학이란 주자학과의 상대적 의미로만 쓰여진 것이 아니라, 본질을 따지고 들어간다면, 그 안에는 실로 다양한 내용이 내포되어 있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茶山 鄭若鏞의 實學에 나타난 牧民思想의 牧會神學的 適用 정재현. 20p
2) 정약용의 실학사상
다산은 당시 성리학적 학문 풍토에서 벗어나 독자적 학문 탐구를 통해 실학을 집대성 하였다. 성리학적 풍토에서 벗어났다는 것은 크게는 성리학뿐만 아니라 오학 五學을 비판하고 새로운 학문을 집대성 하였다는 것이다. 다산의 전반적인 사상 전개는 그의 경학관을 바탕으로 한 주재천 主宰天의 상정에서부터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성기호설 性嗜好設에 있어 인간의 본성 本性은 하늘이 명령한 것, 그 하늘은 곧 이법 理法이라는 성리학의 견해에 반대하여 본성은 하나의 기호 嗜好라는 성기호설, 기호를 가진 인간이 선택할 능력이 있다는 자주지권, 기호와 자유 의지를 갖추고 행한 결과로 나타나는 덕 德, 그리고 이러한 덕을 쌓기 위해 행해야 하는 수양론과 실천 사상이 정약용 수기론의 핵심이다. 경학관을 바탕으로 한 정약용의 수기론은 경세론으로 연결된다. 유교 儒敎의 이념인 내성외왕 內聖外王에 입각한 그의 사상은 수기치인의 사상이다.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에 담긴 실학(實學) 연구 : 정약용을 중심으로 우동섭. 24p
3.정약용 사상의 전개
1)경학관과 상제
다산에 있어 경학 사상은 수기하는 데 있어 핵심을 이룬다. 『與猶堂全書』, 「詩文集」, “六經四書, 以之修己, 一表二書, 以之爲天下國家, 所以備本末也.”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사]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 집대성하였고 이현일(李玄逸), 이재(李栽), 이상정(李象靖), 유치명(柳致明), 이진상(李震相), 이항로(李恒老) 등에게 계승되었다.*주기론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에서 이와 기를 일원적으로 파악하고 기의 작용을 강조하는 이론.기(氣)만이 능동성을 가지고 발동할 수 있으므로 모든 현상은 기가 움직이는 데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理)는 단순히 기를 주재하는 보편적 원리에 불과하다는 주장.이이에 의해 집대성되었으며, 김장생(金長生), 정엽(鄭

  • [문화유적답사기]화성(수원성) 문화유적 답사기
  • 실학파 학자들의 실용성을 추구한 학문적 관심 그리고 이 모든 생각들을 집대성할 수 있었던 조선후기의 대학자 정약용이 참여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었다. 임진왜란을 겪고 난 조선은 왜적의 침입에 무력하게 무너진 조선의 방어체제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되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성곽의 방어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중에 재상을 맡아 백성들의 처절한 고통을 체험한 유성룡(1542 ~ 1607)은 난이 끝난 후 징비

  • 고대의 교육 레포트
  • 교육이다. 그리고 인간형성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은 교육자이다.③ 교육을 사회생활의 근본기능으로 사회의 동화작용으로 보았다.④ 저서: 『문화민족의 교화조직』『인간형성』『비교철학』『문화민족의 교화조직』『인간형성』은 비교교육학의 새분야-이 자료는 정보유통 활성화를 위해 레포트 천국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정보아이디어지식 복합 포탈의 리더 다자바컴(www.dajaba.com)

  • 전라도 역사의 수수께끼2
  • 실학의 위상 정립과 연구의 과제들호남의 정신사와 조선후기 실학호남의 역사와 정신사를 조망하려 할 때 조선후기의 실학도 그 중요한 대상이 아닐 수 없다. 조선시대의 선비정신과 관련하여 호남정신을 논의하는 경우 조선전기의 정신사적 전통을 대개 기묘사림들에게서 찾으려는 것처럼, 조선후기사회와 호남의 정신사적 맥락은 실학에서 큰 연결고리가 맺어지고 있다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지난 호(1990년 2월호)에서 오종일 교수는 호남실학의

  • 한국 근대의 서양 과학 수용에 대하여
  • 사상」, 歷史學報 45, 1970,51면.박종홍,「최한기의 과학적인 철학사상」전집 5권, pp.303-350 및 p.376.姜在彦,「한국의 개화사상」, 比峰출판사, 1984.한국철학회편,「한국철학사」(下), 동명사. 1986.趙明基 外33人箸,「한국사상의 심층연구」, 宇石출판사, 1990.-이 자료는 정보유통 활성화를 위해 레포트 천국에서 가져온 자료입니다.정보아이디어지식 복합 포탈의 리더 다자바컴(www.dajaba.com)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