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의 율격 검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4.24 / 2015.04.24
  • 12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고려속요의 율격 검토
Ⅰ. 서론 Ⅳ. 고려속요의 여음
Ⅱ. 연구사 검토 Ⅴ. 결론
Ⅲ. 고려속요의 율격적 특성 참고문헌
Ⅰ. 서론
문학작품을 이해하고자 할 때 먼저 그 형식을 논의하는 것에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형식은 작품이 의도하는 내용을 완성시키는 구실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시가 문학에서는 형식 논의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타 장르에 비해 큰데, 이는 형식이 내용을 지배하는 경우가 많은 까닭이다. 형식 논의에서 가장 중심을 차지하는 것은 운율 체계에 대한 것인데, 시가는 율격을 통해 다른 장르와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다.
고려속요는 『高麗史』樂志에 소개되어 있거나 『樂章歌詞』, 『時用鄕樂譜』, 『樂學軌範』등의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국문으로 된 속악가사 작품들을 말한다. 민속가요를 궁중악곡의 가사로 轉用함에 따라 생겨난 새로운 형태의 시가장르로서, 원래 노래의 가사가 가지고 있던 의미를 유지한 채 구조적으로 완결성을 지닌 새로운 형식으로 개작되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하층문화와 상당한 연관을 가지고 민요다운 모습을 적지 않게 지니고 있으나 속악정재의 방식으로 개편되어 상층문화로 변모하였으므로, 고려속요는 우리 시가문학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중적인 성격의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시가 장르가 본격적인 형식론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노래(song)를 배제한 문학적 가사(poetry)로서의 작품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려속요의 경우 본래 노래로 불렸던 것인 만큼 노랫말 중 가창을 위해 필요했던 여음, 후렴, 첨가어구 등의 요소들을 살펴보는 것에도 소홀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려속요의 운율 논의로 음수율, 음보율, 분장형태에 관한 것을 알아보고, 더불어 고려속요에 있어 형식적으로 특징있는 장치인 여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연구사 검토
고려속요에 나타나는 율격은 일정한 형식을 발견하기 어려울 만큼 다양하여, 형태적인 분류가 어느 하나로 규정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작품 간에 외형상 상이한 점이 너무 많기 때문에 정형을 찾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고, 달리 말하자면 현전하는 작품의 수가 매우 적다 고려속요는 『樂章歌詞』, 『樂學軌範』, 『時用鄕樂譜』 등에 20여 수가 수록되어 현재까지 전하며 그밖에 『益齋集』, 『謹齋集』, 『高麗史』樂志, 『世宗實錄』樂志, 『琴合字普』, 『樂學便考』, 『大樂後譜』, 『東國通鑑』, 『增補文獻備考』, 『芝峯類說』, 『林下筆記』, 『星湖集』, 『退溪集』, 『西浦集』, 『東國輿地勝覽』, 『大東韻府群玉』, 『五東衍文長箋散考』 등에서 이와 관련된 기사와 몇몇 한역된 작품들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본고에서는 앞의 세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학자들은 속요 장르 내부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공통성 및 다른 시가 장르와 변별되는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많은 연구를 시도해 왔다. 이 장에서는 고려속요의 형태 유형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1. 조윤제 조윤제, 『國文學 槪說』, 동국문화사, 1955
① 개별적인 노래가 후렴구를 붙여서 몇이고 달아나가는 것 : <동동>, <청산별곡>, <쌍화점>, <만전춘>
② 한 수의 노래가 후렴구를 붙여서 몇 절에 분단되며, 때로는 그런 것이 여러 무리 합쳐 나가는 것 : <가시리>, <정읍사>, <서경별곡>, <정석가>
③ 처음부터 분절됨이 없이 자유로 연장할 수 있는 것 : <처용가>, <이상곡>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 [국어] 가사에 대하여
  • 검토와 문예학적 연구에 있다고 볼 수 있다.(출처 : 국어국문학 자료 사전, 한국사전연구사)가사(歌詞(개념))우리 나라 전통 성악곡의 한 갈래. 사설은 가곡이나 시조에 비하여 매우 길어서, 그 음악적 구조도 가곡이나 시조보다 확대된 형식을 보여준다. 노래의 양식이 가곡만큼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시조나 가곡과 함께 정가(正歌)의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사설의 길이가 대체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가곡이나 시조에서와 같이 하나의 고정된 가락

  • [고전문학] 고려속요 `쌍화점` 분석 및 현대적 의의
  • 검토 (1) 창작 연대「쌍화점」의 제작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고려사』의 기록을 근거로 하여 대체로 고려 충렬왕조의 소산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2) 출처「쌍화점」은 현존하는 고려 속요 중에서 ‘만전춘별사’와 함께 그 노골적인 표현으로 말미암아 조선조 양반계층에 의해 사리부재(詞俚不載)로 거론된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쌍화점」의 노랫말이 실려 전하는 문헌은『악장가사』,『악학편고』, 『대악후보』이고,

  • 고려가요의 이해, 주요작품 분석
  • Ⅰ. 서론 Ⅱ. 본론1. 고려가요의 이해 (1) 고려가요의 개념(2) 고려속요(3) 경기체가2. 고려속요의 내용별 주요작품 분석(1) 연주(戀主) - 정과정곡(2) 모정(母情) - 사모곡 상저가 (3) 무축(巫祝) - 처용가 (4) 삶의 고뇌(苦惱) - 청산별곡(5) 연정(戀情) - 쌍화점만전춘별사이상곡동동(6) 풍유(諷諭) - 유구곡(7) 이별(離別) - 가시리서경별곡(8) 송도(頌禱) -정석가3. 경기체가(1) 경기체가의 개념 (2) 경기체가의 형식적 특성과 율격 (3) 경기체가의 형식

  • [고전시가론] 시조
  • 목 차 ꊱ 시조의 명칭과 개념1. 시조의 정의.12. 시조의 명칭.2ꊲ 시조의 기원1. 외래기원설 .31) 한시기원설2) 불가기원설2. 재래기원설 .41) 민요․신가기원설2) 향가기원설3) 고려속요기원설ꊳ 시조의 발생시기1. 시조 발생설 .61) 삼국시대설2) 고려조 발생설3) 조선조 발생설2. 사설시조 발생.81) 17 ․ 18 세기 설2) 평시조 병존 설ꊴ 시조의 형식과 율격1. 시조의 형식.91) 장, 구의 의미2) 시조의 형태적 분류2. 시조의 율격.131) 음

  •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
  • 고전시가 심층 분석Ⅰ. 서론Ⅱ. 고전시가 형식1. 운, 리듬, 율격1) 운2) 리듬3) 율격2. 시행 및 시편 구성1) 시행2) 시편3. 음악과의 관계Ⅲ. 고전시가와 설화Ⅳ. 작품분석1. 고대가요1) 구지가2) 정읍사2. 향가1) 서동요2) 처용가3. 고려가요4. 고려 속요1) 정과정2) 가시리3) 동동4) 청산별곡5) 서경별곡5. 경기체가6. 시조1) 이화에 월백하고 ~이조년2) 이 몸이 죽어죽어 정몽주3) 방안에 혓는 촉불 ~4) 어져 내일이야 ~5) 동짓 기나긴 밤에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