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 - 생애, 혼탁한 벼슬길에서 고군분투하다, 도산에 깃들다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4.24 / 2015.04.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3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 퇴계 이황 ]
출생-사망
1501(연산군 7)년 ~ 1570(선조 3)년
이칭
자:경호(景浩),
호:퇴계(退溪),
호:퇴도(退陶),
시호:문순(文純)
관련인물
이자수, 이계양, 이식, 이우, 이해, 권질, 권전, 이순
관련유물
신륵사, 도산서원
1. 이황의 생애
⑴ 출생 : 퇴계의 성은 이, 이름은 황(李滉 : 1501~1570),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도옹(陶翁), 퇴도(退陶), 청량산인(淸凉山人) 등이며, 관향은 진보(眞寶)이다.퇴계는 1501년(연산군 7년)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현 노송정 종택 태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진사 이식(李植)이고, 어머니는 의성 김씨와 춘천 박씨 두 분이다. 김씨는 잠, 하, 신담부인 등 2남 1녀를 두고 별세하였고, 재취로 들어온 박씨가 서린(일찍 죽음), 의, 해, 증, 황 등 5형제를 낳았는데 퇴계는 그 막내이다.
⑵ 초년기 : 출생에서 33세 때까지 유교경전을 연구하는데 열중하였던 수학기
퇴계의 부친은 서당을 지어 교육을 해 보려던 뜻을 펴지 못한 채, 퇴계가 태어난지 7개월 만에 40세의 나이로 돌아가시고, 퇴계는 홀어머니 아래서 자라게 되었다. 부친이 돌아가시던 당시 맏형 한 분만 결혼하였을 뿐 다른 형제는 모두 어려서, 가족의 생계를 어머니가 홀로 농사와 누에치기로 이어가는 어려운 형편이었으나 어머니는 전처에서 난 자녀를 차별하지 않고 길렀다고 한다.퇴계가 "나에게 영향을 가장 많이 준 분은 어머니"라 할만큼 어머니는 "과부의 자식은 몇 백배 더 조신해야 한다."는 엄한 가법을 세워 자녀를 교육하였다.
퇴계는 6살 때 이웃에 사는 노인에게 천자문을 배우는 것으로 학문을 시작했으며, 12살 때 병으로 휴직하고 집에 와 있던 숙부에게 논어를 배웠다. 13세와 15세 때에는 형과 사촌 자형을 따라 청량산에 가서 함께 독서할 만큼 성장하였고, 16세 때에는 사촌 동생과 친구를 데리고 천등산 봉정사에 들어가 독학하기도 하였다.17세 때 안동 부사로 재임 중이던 숙부가 별세하여 물을 곳도 없게 되어 스승 없이 대부분을 혼자 공부하였다.
그 때문에 퇴계는 글자 한 자도 놓치지 않고 자기 힘으로 연구하게 되었고, 비록 옛 성현의 글이라도 의심을 가지고 파고들어 재해석하는 학문 방법을 개척하게 되었다. 19세 때 성리대전의 첫 권 태극도설 송나라 주돈이(周敦)의 학설로서, 무극(無極)인 태극에서 음양오행과 만물이 생성,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태극도설은 성리학의 근원으로서 <근사록(近思錄)>에 실혀 있다. 주돈이는 성리학의 시조로서, 그의 제자로는 정호(程顥), 정이(程), 주자(朱子) 등이 있다.
과 마지막 권 시찬함명부의 두 권을 구해 읽고 나서는,"모르는 사이에 기쁨이 솟아나고 눈이 열렸는데, 오래 두고 익숙하게 읽으니 점차 의미를 알 게 되어 마치 들어가는 길을 얻은 것 같았다. 이 때부터 비로소 성리학의 체계를 친숙하게 알 게 되었다."고 하였다.
20세 때 용수사에서 먹고 자는 것도 잊고 주역을 연구하는데 몰두하여 건강을 해치게 되고, 이로 인해 평생 동안 몸이 마르고 쇠약해지는 병에 시달리게 되었다. 21세에 허씨 부인과 결혼하고 23세에 잠시 성균관에 유학하였고, 27세에 향시, 28세에 진사 회시, 32세에 문과 별시, 33세에 경상도 향시에 합격하였고, 수 개월간 다시 성균관에 유학하였다.
⑶ 중년기 : 34세에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여 49세 때 풍기 군수를 사직하고 귀향할 때까지의 임관기
퇴계는 34세에 대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로 벼슬을 시작하여 43세 때까지 대체로 순탄한 관료 생활을 보낸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작가론] 이현보
  • 이황에 의하여 「陶山十二曲」 창작으로 계승되고 다시 이황의 제자인 權好文의「獨樂八曲」과「閑居十八曲」, 李淑樑의 「汾川江湖歌」의 창작으로 이어져 내려가면서 국문학사에서 영남가단이라고 불리우는 국문시가 창작의 전통으로 확립되어, 송순-정철-윤선도로 이어지는 호남가단과 함께 조선후기 한국문학을 풍성하게 하는 기폭제가 되었다는 사실이다.刊行委員會, 韓國時調作家論, 國學資料原, 1999김하명, 조선문학사, 한국문

  • [중국근세문학사] 송대 성리학과 조선 주자학 분석
  • 이황은 조선 시대 사대부의 전형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34세에 처음으로 벼슬길에 나아가 여려 벼슬을 역임한 뒤 48세에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 여러 차례 조정에서 불렀지만 그는 한사코 응하지 않고 고향에서 머물러 성리학 수양에만 몰두하였다. 이처럼 그가 벼슬을 거부하고 자연에 은거하게 된 되에는 무엇보다도 혼탁한 정치현실이 크게 작용한 듯 하다. 이상을 중시하는 주리론자 이황에게 그러한 혼탁한 현실은 견디기

  • [고전문학사] 시가사의 전개와 시조의 발전
  • 이황)라든가二曲은 어드메오 花巖애 春挽커다碧波애 고즐 어 野外예 보내노라사이 地를 모니 알에  엇더리 (이이)처럼, 비록 산수자연에 은거하여, 생활하지만 세상을 아주 잊어버리고, 또한 그것을 단절하여 생활하지는 않는다.조선사대부들은 자연 속에 은거하여 그 곳을 소요하면서, 자연을 즐기는데, 산과 수를 겸비한 곳을 좋아하였다. 퇴계는 그의 에서 어떤 이가 말하기를, “옛날의 산을 사랑하는 이는 반드시 명산

  • 16세기 사림파의 내적 분화와 문학적 지향
  • 도산십이곡과 구산구곡가 역시 강호에서의 진락을 읊은 작품이다. 문학사에서도 중요한 사림파의 내적분화는 그들의 문학적 지향을 알 수 있었고 그들의 사상과 문학과의 관계를 살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참고문헌한국문학통사2 조동일 지식산업사 1983한국사28 국사편찬 위원회 고석규 고영진 외 1996http://blog.naver.com/osj1952/100003686134 (서회출처)한국의 옛 시조 이상보 범우사 2004한국의 사상사 http://my.dreamwiz.com/ohjs7/꿈앤땀사랑그릇 http://cafe.nav

  • [고전시가론] 시조
  • 퇴계 이황의 , 율곡 이이의 , 고산 윤선도의 , 노계 박인로의 , 송강 정철의등이 이에 속한다. 그리고 현대시조는 거의가 연시조로 창작되어짐을 볼 수 있다. 도산십이곡 其一이런들 엇더며 저런들 엇더료草野(초야) 愚生(우생)이 이러타 엇더료하물며 泉石(천석) 膏肓(고황)을 교텨 므슴료 其二煙霞(연하)로 지블 삼고 風月(풍월)로 버들 사마太平聖代(태평성대)에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