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김규식 의 생애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 김규식(金奎植)의 생애
1. 김규식에 대해...
ⅰ. 김규식의 생애 활동
1881년 부산 동래에서 태어났다. 언더우드 학당에서 서양식 교육을 받았고, 서재필(徐載弼)의 권유로 1896년 미국 유학길에 올라 1904년 프린스턴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13년 중국으로 망명, 1918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약소민족대회에 참가했다. 1919년엔 신한청년단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표 명의의 탄원서를 파리 강화회의에 제출했다. 민족혁명당 주석과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냈다.
8·15 직후 그는 반탁(反託)의 입장에 서 있었지만 반소·반미를 뛰어넘어 좌·우익이 힘을 합해 자주적인 임시 정부를 수립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보았다. 1946년 3월 미·소 공동위원회가 개최되자 민주의원의 대표로 여기에 직접 참여했고, 여운형과 협력해 좌우 정치세력들을 규합하기 위한 좌우합작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그 결과로 12월 과도입법의원이 설립되자 의장에 선임됐다. 미 군정은 한때 그를 이승만 대신 과도정부의 대통령에 앉힐 계획도 세웠다고 한다. 1948년 4월 김구와 함께 38선을 넘어 남북협상을 벌였다. 이후 5·10선거에 불참해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했다. 6·25전쟁 중 납북돼 1950년 12월 평북 만포진 부근에서 별세했다.
ⅱ. 신한청년단
독립청원서를 파리강화회의(일명 파리평화회의)와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하고,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한국 대표로 보내는 등 외교활동을 전개했으며, 세계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여운형·장덕수를 각각 러시아와 일본에, 선우혁·서병호 등을 국내에 파견하여 긴밀한 연락체계를 구축했다.
기관지 《신한청년보(新韓靑年報)》를 발행하여 해외동포들에게 독립정신을 고취하였으며, 1919년 3·1운동을 전후하여 상하이로 모인 독립운동가들은 신한청년당을 중심으로 독립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했다. 신한청년당의 핵심 당원들은 1919년 4월 초에 프랑스조계 안에 독립임시사무소를 설치했는데, 이것은 뒤이어 4월 19일에 결성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모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부는 중국 상하이에 있었다.
ⅲ. 대한민국 임시정부
3·1운동 이후 일제에 조직적으로 항거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을 구성하고 각도 대의원 30명이 모여서 임시헌장 10개조를 채택하였으며, 4월 13일 한성임시정부와 통합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 선포하였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李東寧), 국무총리 이승만(李承晩), 내무총장 안창호(安昌浩), 외무총장 김규식(金奎植), 법무총장 이시영(李始榮), 재무총장 최재형(崔在亨), 군무총장 이동휘(李東輝), 교통총장 문창범(文昌範) 등이 임명되었다. 6월 11일 임시헌법을 제정, 공포하고 이승만을 임시대통령으로 선출하는 한편 내각을 개편하였다. 9월 6일에는 노령정부와 통합하고 제1차 개헌을 거쳐 대통령중심제의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1926년 9월 임시대통령제를 폐지하고 국무원제를 채택하였으며, 이후 의원내각제가 정부형태의 주류를 이루었다.
1945년 8·15광복까지 상하이(1919)·항저우[杭州, 1932]·전장[鎭江, 1935]·창사[長沙, 1937]·광둥[廣東, 1938]·류저우[柳州, 1938]·치장[1939]·충칭[重慶, 1940] 등지로 청사를 옮기며 광복운동을 전개하였다.
국내외동포를 모두 관할하기 위한 기구로 연락기관인 교통국을 두고 지방행정제도인 연통제를 실시하였으며 국외에 거류민단을 설치하였다. 교통부 내에는 지부를 설치하고 전국 각 군에 교통국을, 면에 교통소(交通所)를 신설하였으며, 군자금 모집, 국내 정보수집, 정부문서 국내 전달, 인물발굴 및 무기수송 등의 활동을 하였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교직]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레포트
  • FILE:CMS.HWP이승훈(李昇薰)I. 생애와 사상1811년 정주성(定州城)에는 홍경래란(洪景來亂)이 있었는데 한때 폐허로 있다가 차츰 인가들이 모여들어 10년 후에는 다시 옛 성읍의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철종 3년 임자년 가을에 선천(宣川)에서 여주 이씨(驪州 李氏) 한 가난한 가정이 정주읍의 조그만 집에 이사왔는데, 젊은 내외가 홀어머니를 모시고 여기에 온 것이다. 남강은 1864년에 이 가난한 가정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여주 이석주(李碩柱)요, 어

  • [사범] 교육사상
  • FILE:29139.HWP에라스므스북구 인문주의의 제일인자인 에라스므스는 1466년 10월 27일에 화란의 항구 도시인 로텔담에서 태어났다. 에라스므스는 어렸을 때에 자신의 출신지가 불란서에서 독일로 옮겨졌다. 에라스므스의 출생과 유년기에 대하여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출생 년도도 1466년설과 1469년설이 있으며, 에라스므스 자신이 자기의 생년에 대하여 언급한 기록도 여러 가지로 년도가 달리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14

  • [조선대학교]인물로보는 호남역사
  • 제 1 주 호남, 망각과 기억의 변주(變奏) 1차시. 근현대 민족ㆍ민주운동과 호남의 위상 2차시. 태조의「훈요십조(訓要十條)」와 백제사론(史論)3차시. 호남 인심ㆍ풍속론 1. 근현대 민족ㆍ민주운동과 호남의 위상 1-1. 일제 강점기 호남에서의 민중운동정순제,「호남종횡관(湖南縱橫觀)」: “전남은 과거 갑오운동과 현금의 농민운동의 진원지로서 무산의 소작인들은 지금으로부터 4년 전부터 약자의 무기는 오직 단결뿐이라는 표어를 내걸고 면 단위

  • 1940년대 일제 해방전후 정치 지도자 연구
  • 의열단의 김원봉 등을 중심으로 한 통합운동으로 번져 1935년 7월에는 민족혁명당이 결성됐다. 9개 단체(의열단, 한국국민당, 조선혁명당, 신한독립당, 대한독립당, 뉴욕대한인교민단, 미주국민회, 하와이국민회, 하와이혁명동지회) 대표들은 민족혁명당 성립과 동시에 당 해체선언을 발표했다. 또한 민족혁명당에는 임시정부 국무위원 중 양기탁, 김규식, 조소앙, 최동오, 유동열 등 5인도 사표를 내고 동참하여 임시정부에는 겨우 송병조와 차이석만 잔

  •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1940년대 한국시 시대벅 배경 1940년대 한국시 친일시 저항시
  •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목 차1. 1940년대의 시대적 배경과 시문단의 상황1.1 『해방기념시집』2. 해방 전ㆍ후 문학2.1. 친일시2.1.1. 친일시의 전개2.1.2. 친일 작가2.1.2.1. 이광수 2.1.2.2. 김동환 2.1.2.3. 김종한 2.1.2.4. 노천명2.1.2.5. 서정주 2.1.3. 교과서에 수록된 친일시 2.2. 저항시2.2.1. 저항시의 전개2.2.2. 저항 시인2.2.2.1. 이육사2.2.2.2. 윤동주 2.3. 좌익계열 (조선문학가동맹)2.3.1. 임화 2.3.2. 오장환2.3.3. 김기림 2.3.3. 정지용 2.4. 우익계열2.4.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