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의 사상적 배경 고찰] - 중세적 가치관 속에서의 근대적 정신의 발현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연암의 사상적 배경 고찰>
- 중세적 가치관 속에서의 근대적 정신의 발현 -
Ⅰ. 서론
Ⅱ. 연암의 사상적 배경
1. 생애와 사상
2. 철학적 배경
1) 실학 - 성리학의 부정
2) 장자
Ⅲ. 연암의 사상적 한계
- 연암의 사유에 대한 반성적 고찰
Ⅳ. 결론
Ⅰ. 서론
연암은 실학의 선구자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연암을 철저한 근대적인 정신을 가진 인물로 인식하려는 것은 조선대에 근대적 정신을 소유한 인물이 있었음을 자랑으로 여기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인식에서 나온 자만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단편적인 시각으로 인해 오히려 연암이 가지고 있었던 사상이 한 편으로만 매도되곤 했다는 것 사실이다. 그의 사유는 근대적인, 즉 실학적 측면을 가지고 있기도 했지만 중세적 사유도 역시 그 속에 내재되어 있었다. 그의 진보적이고 현실비판적인 면은 이런 중세적 가치관 속에서 발현된 것이기 때문에 더욱 가치 있는 것이라 평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그의 모순적이지만, 중세를 살았던 인물로서 중세적 세계관 속에서 근대적 사유를 하려했던 연암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그 기층에 깔려있는 사상을 고찰함으로써 연암소설을 이해하는 바탕으로 삼고자 한다.
Ⅱ. 연암의 사상적 배경
1. 생애와 사상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선조부마(宣祖駙馬)인 금양위(錦陽尉) 박미(朴)의 후손으로, 조부가 지돈녕부사를 지낸 서인노론계로 인물성동론을 주장하는 낙론계열에 속한다. 특히 연암의 숙부 박사근(朴師近)이 낙론의 일거두(一巨頭)였던 박필주(朴弼周)의 양자가 된, 고무가 김창협의 고제(高弟) 어유봉(魚有鳳, 1672~1744)의 집안으로 출가하였으며, 그 자신은 어유봉의 고제이며 사위인 유안재(遺安齋) 이보천(李輔天, 1714~1777)의 사위가 되었던 것이다.
연암은 양반가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셨기 때문에 조부의 슬하에서 성장했으며, 어려서는 매우 병약했으므로 조부께서는 그에게 일체의 공부를 시키지 않았다고 한다. 그가 학문을 접하게 된 것은 조부의 상을 마친 뒤인 16세 때 이보천의 딸과 결혼한 후 처삼촌인 이양천으로부터이다. 그는 이때부터 발분역학(發憤力學)하여 3년 남짓한 사이에 경사(經史), 백가서(百家書)를 두루 통달하고 천문(天文), 지리(地理)와 경세요무(經世要務) 등을 강구하지 않음이 없었다고 한다. 그의 학문에 대한 열정은 “학문의 길은 다른 것이 없다. 모르는 것이 있으면 길가는 사람이라도 붙잡고 묻는 것이 옳다. 비록 종이라 할지라도 나보다 글자 하나라도 많이 알면 우선 그에게 배워야 한다. 자기가 남과 같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하여 자기보다 나은 사람에게 묻지 않는다면 이는 종신토록 고루하고 아무 방법도 없는 그런 속에 스스로 갇히는 결과가 된다.” 『燕巖集』卷7, 「北學議序」, “學問之道無他, 有不識, 執塗之人而問之, 可也. 僕多識我一字, 姑學汝. 恥己之不若人, 而不問勝己, 則是終身自固於固陋, 無術之地也.”
라고 한데서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연암은 학문에 대한 열정 못지않게 학문에 임하는 태도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그의 셋째 아들인 종채(宗采)가 쓴『과정록(過庭綠)』에 의하면, “나는 번거롭고 꾸밈을 제거하고 오로지 실사(實事)에 힘쓰고자 한다”라고 하여 번거롭고 꾸밈을 좋아하는 허례의식을 배격하였으며, 그가 대상으로 삼은 학문의 내용은 그 당시 조선 사회를 풍미하였던 성리학이 아니라, “글을 읽고서 실용(實用)을 알지 못하는 것은 학문 연구가 아니다. 학문의 연구를 귀중히 여기는 것은 실용을 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성(性) 명(命)이나 요란히 떠들고 이(理) 기(氣)나 시비하여 각기 자기 견해가 옳다 하고, 그 의견으로 통일시키려 애쓴다면, … 이는 학문 연구의 해독이다.” 『燕巖集』卷10, 雜著,「原士」, “讀書而不知實用者, 非講學也. 所貴乎講學者, 爲其實用也. 若復高談性命, 極辨理氣, 各主己見務欲歸一, … 此講學害之也.”
라고 하여, 그가 관심을 가지고 연마한 학문은 오로지 실학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학] 연암 박지원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계급의식
  • 정신을 보여주는 일면이다. 박지원 소설의 두드러진 특징을 이루는 것은 풍자적 성격과 사실주의적 특성이다. 박지원에게 있어 풍자란, 중세적 봉건 사회가 무너져 가고 그 속에서 새로운 사회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하는 역사적 변화의 시대에 살면서, 그 모든 추억들을 직시했던 비판적 태도로 나타난다. 또한, 그는 서민들의 삶의 세계를 향하여 새로운 의식 세계를 확장하면서 당대 평민층의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하는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뛰어

  • 근대화에 대한 성찰과 21세기 한국사회의 발전
  • 사상적 원류로부터 다양한 논거들이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근대성 논의의 맥락에서 대체로 공통적으로 인식했던 것은, 서구사회는 근대화 이론에서 후진국에 대하여 전근대적이라고 진단했던 바와 마찬가지로 현대의 근대적 서구사회도 역시 신화 속에 사로잡혀 있으며 경직성과 발전장애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설과 함께 개도국이나 후진국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근대성은 이제 더 이상 바람직한 파난처가 되지 않고 서구사회

  • [연암 박지원, 박지원, 실학사상, 실학, 평등안, 열하일기, 양반전] 연암 박지원의 생애, 연암 박지원의 실학사상, 연암 박지원의 평등안(平等眼),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에 관한 고찰
  • 연암에 있어서 풍자란 중세적 봉건사회가 무너져 가고 그 속에서 새로운 사회의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하는 역사적 변화의 시대에 살면서 그 모든 추이들을 직시했던 비판적 태도로 나타난다. 또한, 그는 서민들의 삶의 세계를 향하여 새로운 의식 세계를 확장하면서 당대 평민층의 삶과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하는 사실주의적 기법으로 뛰어난 소설적 성과를 이룩했다.Ⅲ. 연암 박지원의 실학사상연암의 사상적 특질은 실학, 곧 실사구시의 학문이다.

  • 고소설론과작가3공통-강의와 교재에 소개된 고소설 작가 네 사람김시습허균김만중박지원의 문학관 및 작품 등에 관하여 설명하시오0k
  • 속화하였다. 납속책(納贖策)이나 공명첩(空名帖) 등 합법적 수단 외에도 농민들은 불법으로 신분 상승을 꾀하기도 하였다. 「양반전」에 나타난 것처럼 상업적 농업을 통해 부를 축적한 부농이나 노비들이 관가에 뇌물을 바쳐 호적을 고치거나 족보를 구입하고 홍패(紅牌)를 위조하는 등 갖가지 수단을 동원하여 양반이 되었다.이러한 조선 후기 사회의 분위기를 여과 없이 드러낸 「양반전」의 창작 배경에 대해서 연암은 『방경각외전』 「자서(自序

  • 독서활동상황기록 기재 예시문 모음
  • 가치관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는 의욕이 왕성함. ‘권정생의 삶과 문학(원종찬)’, ‘박범신이 읽는 젊은 작가들(박범신)’, ‘신영복 함께 읽기(강준만)’ 등의 책을 읽음.64. (1학기) 문학, 인문학 등 폭넓은 분야의 책에 관심을 갖고 읽으며, 자신의 사고나 생활 태도를 돌아보면서 지식과 교훈을 얻으려는 독서 의욕이 강함. ‘연암을 읽는다(박희병)’, ‘탐독(이정우)’ 등 저명한 위인들의 지적 사유와 정신 세계를 소개하는 책을 읽음. 65. (1학기)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