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3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생애生涯와 시가詩歌
-목차-
1. 머리말
2. 농암의 시가와 생애
3. 농암의 작품세계
4. 농암 시가의 문학사적 위상
5. 맺음말
1. 머리말
聾巖 李賢輔(1467~1555)는 한국 시가사에서 ‘江湖歌道의 唱導者’ 또는 ‘嶺南歌壇의 중심인물 중 한 사람’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 趙潤濟, 『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248쪽; 趙潤濟, 退溪를 中心으로 한 嶺南歌壇, 『靑丘大學 論文集』8, 1965, 1~13쪽; 崔珍源, 江湖歌道와 風流, 『成均館大學校 論文集』11, 1966, 27~32쪽 등 참조. (成昊慶, 聾巖 李賢輔의 삶과 詩歌, 『진단학보』93, 2002, 222쪽에서 재인용)
이에 따라 그의 국문시가인 時調 <效歌>, <聾巖歌>, <生日歌>, 그리고 <漁父短歌> 5수.
와 漢詩懸吐體인 <漁父歌>, 『聾巖集』에 수록된 漢詩 작품들의 특질과 시가사적 의의, 그에 대한 작가론과 문학사적 위치에 관한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농암과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 성과의 상당수는 안동대문화연구소 編, 『聾巖 李賢輔의 文學과 思想』(안동대 안동문화연구소, 1992)에 재수록되어 있고, 그밖에도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曺圭益, 聾巖 李賢輔의 歌曲, 『淵民學志』2, 淵民學會, 1994; 이종건, 농암(聾巖) 시의 문학사적 가치, 『온지논총』2, 온지학회, 1996; 여기현, 聾巖 李賢輔 한시의 표현특성, 『泮矯語文硏究』10, 반교어문학회, 1999; 成昊慶, 聾巖 李賢輔의 삶과 詩歌, 『진단학보』93, 진단학회, 2002; 鄭武龍, 聾巖 李賢輔의 長·短 <漁父歌> 硏究, 『韓民族語文學』43, 한민족어문학회, 2003; 김유경, 농암 이현보의 국문시가와 우리말로 노래하기의 전통, 『열상고전연구』38, 열상고전연구회, 2013.
국문시가의 경우 전하는 작품 수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농암이 차지하는 위치는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니다. 농암이 활동했던 15세기 후반~16세기 중반은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였을 뿐만 아니라 우리 시가의 통시적 맥락에서도 중요한 시기였다. 고려 이래의 俗樂들이 쇠퇴하고 본격적인 조선 노래들이 자리 잡기 시작한 시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기에 민간에서 불리던 <漁父歌>를 개작하고 <效歌>, <聾巖歌>, <生日歌> 등을 지은 만큼 시가사에 있어 농암의 위상은 각별하며, 본격적인 문헌 기록이 확인된다는 점 역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농암은 조선왕조 초중반에 오랫동안 관직에 임한 文臣이기도 했다. 內外職을 두루 거치고 나서 晩年에는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하였는데, 그가 남긴 시가 작품에는 전원생활에 대한 希求의 뜻을 오래 전부터 품고 있었음이 잘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 시가사의 주요 작가인 농암에 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그가 살았던 시대가 정치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가고 있었는지, 또 그러한 정치현실에 처했던 농암의 생애는 어떻게 흘러갔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의 대표적인 시가 작품들을 제시하고 각각의 창작 배경과 관련지어 검토해 본 다음, 농암과 그의 시가가 차지하고 있는 문학사적 위상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시하는 구체적인 작품은 국문시가를 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2. 聾巖의 時代와 生涯 이 장은 안동대문화연구소 編, 『聾巖 李賢輔의 文學과 思想』(안동대 안동문화연구소, 1992)의 제1부 聾巖의 時代와 作家論에 수록된 글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2.1. 시대적 배경
오랜 관직 생활을 했던 聾巖의 생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무렵의 정치적 현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농암이 생존했던 시기는 世祖부터 明宗까지의 재위기로, 왕조 창건과 기틀 확립이 이루어진 직후 정치사상문화면에서 ‘조선적’ 특성이 분명하게 드러난 시기였다. 事大交隣의 국책으로 문물과 시설이 정비되고, 新儒學 사상으로 무장한 학자들이 양반체제에 흡수되었다. 王權과 臣權이 조화를 꾀하면서 국가 사회 체제가 균형을 유지하고 학문 및 문화 진흥에 힘쓸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산 윤선도]고산 윤선도의 생애, 작품연구, 고산 윤선도의 문학세계, 어부사시사의 원문, 고산 윤선도 어부사시사의 특징, 어부사시사 감상평, 고산 윤선도 어부사시사 평가, 어부사시사 교육적 가치, 교육방안
  • 시가 특수하고 고도의 것임은 사실이다. 그러나 시의 언어는 일상의 언어와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어가 지닌 다양한 요소들이 예술적으로 결정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계절마다 펼쳐지는 어촌의 아름다운 경치와 어부생활의 흥취를 참신한 구어체의 시어와 다양한 시적 기교를 살려 표현하고 있다. 학생들은 「어부사시사」에 쓰인 언어를 통하여 문학작품에 쓰이는 언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

  • [문학] 한국문학과 자연
  • 시가흥(四時佳興)이 사람과 한가지라.하믈며 어약연비(魚躍鳶飛) 운영천광(雲影天光)이야 어내그지 이시리.현대어 풀이 이 장에서도 활짝 핀 자연의 모습이 여과 없이 드러난다. 자연이 흥에 겨운 모습을 묘사함으로써 진정한 자연의 즐거움과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솔개는 날아가고 물고기가 뛰는 자연의 모습을 그림으로써 자연과 합일되는 경지를 노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이 구절이 시경에 나오는 중용의 모습을 나타낸 것

  • [한국문학] 한국문학과 자연
  • 시가흥(四時佳興)이 사람과 한가지라.하믈며 어약연비(魚躍鳶飛) 운영천광(雲影天光)이야 어내그지 이시리.현대어 풀이 이 장에서도 활짝 핀 자연의 모습이 여과 없이 드러난다. 자연이 흥에 겨운 모습을 묘사함으로써 진정한 자연의 즐거움과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솔개는 날아가고 물고기가 뛰는 자연의 모습을 그림으로써 자연과 합일되는 경지를 노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이 구절이 시경에 나오는 중용의 모습을 나타낸 것

  • [고전작가론] 이현보
  • 농암에 대한 연구는 퇴계에 비해 빈약한 편이다.영남 사림파의 巨木으로서, 또한 전형적인 士大夫의 모습을 지키면서 江湖 世界의 創始者 역할을 한 농암의 생애와 그 당시 시대상황을 통한 그의 사상과 詩精神을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시정신이 작품에는 어떠한 양상으로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2. 生涯 한국시조작품론, 국학자료원. p.97 , 李相國및 時代的 背景聾巖 李賢輔는 1467년(세조 13년)7월 29일 安東 禮安 汾川里에서 태어났

  • [고전문학] 농암 이현보 연구
  • 농암의 작품은 바로 이러하다. 개작 전후를 비교하여 개작자의 정서나 독창성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개작의 풍토는 새로운 개작을 낳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개작의 문을 열어놓은 것이다. 그리하여『어부가』는 고산에 의하여 다시 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2) 마무리이현보의 시가는 그의 노경인 76세 이후에 지었거나 개작한 것들이어서 그의 노후의 인생관을 엿볼 수 있다. 이 가운데 강호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것이 주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