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김소월(金素月) - 민족을 노래하다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5.03.29 / 2015.03.29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본문내용
시인 김소월(金素月)
- 민족을 노래하다 -
목 차
Ⅰ. 생애 : 소월의 삶, 그리고 그 후
Ⅱ. 시대 : 소월과 1920년대
Ⅲ. 사유 : 소월의 시세계
Ⅳ. 감상 : 소월의 시와 그 의미
Ⅴ. 의의 : 소월과 우리
- 참고문헌
김소월이란 인물은 소위 ‘수능 세대’라 일컬어지는 이들에게 있어서 결코 낯설지 않다. 비단 국문학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그의 이름과 작품에 대해서 알고 있다. 설령 그 이름은 모른다할지라도, ‘진달래꽃’이라는 노래를 흥얼거릴 수는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만으로, 자신 있게 김소월에 대해서 잘 안다고 할 수 있는가? 우리가 아는 것은 김소월의 작품 텍스트 혹은 2차 창작물일 뿐이다. 그의 삶은 어떠했는지, 왜 그런 작품을 지었는지, 어떤 세계를 지니고 있는 지 등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과연 김소월은 어떤 인물인가? 나라 잃은 시대가 배출해낸 민족의 ‘천재’인가 아니면 비관적 현실에 굴복한 채 자살을 택한 ‘의지박약’인가?
잘 안다고 할 수도, 그렇다고 모른다고 할 수도 없는 그와 우리 사이의 거리가 조금이라도 줄어들기를 바라며 본 리포트를 전개한다.
Ⅰ. 생애 : 소월의 삶, 그리고 그 후
김소월(金素月, 1902~1934)의 본명은 정식(廷湜)으로, 음력 1902년 8월 6일 평안북도 정주의 공주 김씨 문중의 장손으로 출생하였다. 어렸을 때 소월의 별명은 ‘갓놈’으로, ‘갓 낳은 귀여운 아기’라는 뜻이다. 소월이 명랑한 성격에 총명했기에 귀염둥이 대신으로 붙은 별명이라고 한다. 그는 대갓집의 장손으로 태어나 많은 기대와 총애를 한 몸에 받으면서 성장하였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 김성도(金性燾)가 철도 공사장에서 일본인들에게 개통도 안한 철길을 조선 놈이 먼저 건넜다고 폭행을 당해 정신질환을 앓게 되면서, 공주 김 씨 가문 및 소월에게는 암울한 영향력이 미치게 된다. 소월은 광증을 보이는 아버지 대신 할아버지의 훈도를 받으며 유년기를 보냈다.
소월은 소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 할아버지가 개설한 독서당에서 한문수학을 받다가 남산학교에 입학하였다. 남산학교는 공주 김 씨 문중에서 세운 학교로, 은연중 민족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여 민족지도자인 이승훈이나 독립운동가인 소월의 큰 고모부 김시참 등이 강연을 하기도 했다. 소월은 남산학교 시절을 통해 피압박 민족에 대한 막연한 자각을 하게 되었다.
남산학교를 졸업하고 오산학교 중학부에 진학한 소월은, 안서 김억(金億) 시인이자 평론가. 한국 최초의 근대시집 『해파리의 노래』의 저자.
과의 만남을 통해 시인으로서의 위치를 굳히게 된다. 소월의 대표작 「가는 길」, 「진달래꽃」, 「접동새」, 「엄마야 누나야」 등은 이미 오산 시절에 쓰인 작품들이다. 오산학교에 재학 중이던 1916년, 소월은 할아버지에 의하여 결혼을 하게 된다. 그는 1919년에 첫 딸을 얻었고 그 해 터진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데, 그 후 오산학교는 31운동을 이유로 폐교하게 된다.
소월은 1920년, 『창조』의 동인이었던 김억의 추천으로 『창조』 5호에 「낭인의 봄」 등 5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에 처음 등장하였다. 작품발표가 활발해지기 시작한 것은 1922년 배재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부터인데, 주로 『개벽』을 무대로 활약하였다. 소월의 시작활동은 1925년 시집 『진달래꽃』을 내고, 1925년 5월 『개벽』에 시론 「시혼(詩魂)」을 발표함으로써 절정에 이르렀다.
오산학교의 폐교 후 배재고보에 편입한 소월은 졸업 후 1923년 3월, 동경유학길에 올라 일본 도쿄 상과대학 예과에 입학한다. 상과대학으로의 진학은 시를 쓰되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그리고 종가를 대표하는 장손으로서의 책임감의 발현이었다. 그러한 입신의 꿈은 몇 개월간의 방탕한 생활과 피압박 민족의 설움으로 4~5개월 만에 끝나고 만다.
고향으로 돌아온 소월은 1925년 그의 첫 사업으로 동아일보 지국을 개설했으나 경영 미숙으로 사업이 부진하였고, 그 이후 동아일보 지국에서 손을 떼고 고리대금업을 시작했으나 그 역시 이리저리 돈만 떼이고는 실패했다. 현실적 빈곤에 대한 비관으로 소월은 부인과 함께 술을 마시기 시작, 특별한 직업도 없이 논밭을 팔아가며 술 마시는 일에만 전념하였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1920년대 시문학
  • 시인을 얻게 된 것은 하나의 문학적 축복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김소월은 1918년에 발간된 『태서문예신보』에 창작시와 서구시의 번역을 발표한 김억에게 사사하며 데뷔한 시인으로, 정형률의 민요시를 고수한 스승의 영향을 받아서 그도 전통적인 민족정서를 75조의 정형적인 민요 가락에 실어서 노래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그러나 김소월은 스승에게 배운 시형에다 자기 나름의 노력으로 시어의 분절법을 시도하여 독자적인 형식을 만들어냈다.

  • [김소월, 김소월시, 김소월작품]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 내용과 해석, 김소월의 시 산유화 내용과 해석, 김소월의 시 금잔디 내용과 해석, 김소월의 시 접동새 내용과 해석, 김소월의 시 왕십리 내용과 해석, 김소월의 시 산 내용과 해석 분석
  • 김소월의 산유화2. 김소월 산유화의 해석Ⅳ. 김소월의 시 금잔디 내용과 해석1. 김소월의 금잔디2. 김소월 금잔디의 해석Ⅴ. 김소월의 시 접동새 내용과 해석1. 김소월의 접동새2. 김소월 접동새의 해석Ⅵ. 김소월의 시 왕십리 내용과 해석1. 김소월의 왕십리2. 김소월 왕십리의 해석1) 1연2) 2연3) 3연4) 4연Ⅶ. 김소월의 시 산 내용과 해석1. 김소월의 산2. 김소월 산의 내용과 해석Ⅷ. 결론참고문헌Ⅰ. 서론김소월(金素月) 시인 본명 정식(廷式)

  • 현대시론3공통) 다음 시집 중 한 권을 선택 -진달래꽃-하여 읽고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시를 분석하여 비평문을 작성하시오0K
  • 노래50 구 름55 가을 저녁에56 꿈꾼 그 옛날58 사랑의 선물59 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60 장별리61 먼 후일63 옛 이야기64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66 꿈으로 오는 한 사람67로 구성되어 있다. 김소월의 시는 보통 사람들에게 쉽게 이해되는 간결한 시어를 구사하고 있다. 또한 청춘 남녀가 가장 좋아한 시를 쓰기도 하여 대한민국의 최고의 시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인박명(美人薄命)이라는 말이 있듯이 김소월 처럼 뛰어난 시인이 오래 살아 주

  • [국문학사] 20년대 시의 특징 조사-주요한, 김소월, 한용운을 중심으로
  • 민족주의 세력에는 최남선, 이광수, 염상섭, 한용운, 이상화 등이 있고, 사회주의 세력에는 최서해, 임화, 이기영, 김남천 등이 있다. 20년대 한국시는 식민지 현실을 직시하면서 한국인에게 새로운 비전을 보여 주어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되는데, 이것은 새로운 시형의 탐구로 이어졌다. 새로운 형식을 찾는다는 것은 식민지 초기의 시인들의 중요한 임무였다. 본고에서는 식민지 현실과 같은 시대적 특징을 바탕으로 20년대 시의 특징을 주요한, 김소월,

  • [현대문학] 김소월 연구
  • 김소월, 그 삶과 문학 2000 p95~96둘째, 김소월의 시는 개인적인 정감의 세계를 중요시하고, 그 정서의 폭과 깊이는 서정시가 도달할 수 있는 궁극적인 경지에 맞닿아 있다고 한다. 세번째로 김소월이 민족의 슬픔을 이해하고 그것에 대해 노래하고 있는 것 역시 빼놓지 않았고, 꿈과 현실의 엄청난 이율배반을-그것이 외적인 요인이든, 김소월 자신의 개인사적 요인에 의한 것이든 간에-술회하고 있다는 것 역시 언급하고 있다. 덧붙여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